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2014년의 ‘중·고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의 일부 개정안’ 발표 이후에 일본 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독도 관련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논문에서는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리 및 공민, 역사교과서의 기술내용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14년에 개정된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서는 일본정부의 견해가 교과서에 반드시 반영되도록 하는 교과서 검정기준에 따라 독도를 일본 “고유의 영토”로 명기하도록 하였으며, “한국이 불법 점거하고 있다”고 기술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검정기준과 학슬지도요령 해설서에 따라 기술된 교과서에는 일본정부의 우경화된 영토정책을 그대로 답습하면서, 기존의 기술내용과 비교하면 거의 2배 이상의 분량을 할애하여 독도에 대한 일본정부의 주장을 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독도 관련 기술 내용은 일본정부의 요구가 있기 전부터 선제적으로 우경화정책에 대응하고 있었던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2014년에 개정된 검정기준은 이미 2011년에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들에 대한 사후추인적인 성격이 강하며, 2015년에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의 경우는 일본정부의 요구보다 더 우경화된 내용을 게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일본정부의 주도하에 2014년에 개정된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따라 2015년 이후에 검정을 통과하고 간행된 교과서들은 독도문제에 대한 일본정부의 견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대대적인 대국민 홍보물로 전락해버린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ctual situation of Dokdo - related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revision bill of 'Commentary on Middle and Higher Education Guidance' in 2014. In this thesis,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echnical texts of geography, citizens, and history textbook which are actually used in educational field. According to the "Guidance on Study Guideline" revised in 2014, according to the textbook certification standards that the views of the Japanese government must be reflected in the textbooks, Dokdo was designated as the "original territory of Japan" and "Korea is illegally occupied" . The textbooks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se guidelines and the instruction manuals of the school guidebooks follow the Japanese government's right-wing territorial policies and almost twice as much as the existing contents of the textbooks. have. However, these textbooks of Japanese middle school textbooks showed a tendency to respond to the right - wing policy preemptively before the request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refore, the revised standards in 2014 are post-testicular textbooks that passed the screening test in 2011, and textbooks that passed the screening test in 2015 are more accurate than those of the Japanese government. . As a result, under the leade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 textbooks that passed the test after 2015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Guidance on Teaching Guidance Revised in 2014 became a massive publicity material that criticized the Japanese government's views on the Dokdo issue. I have done i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나카이 요자부로(中井養三郞)의 '죽도어렵해려합자회사'와 '죽도어업조합'의 조직과 운영 = Nakai Yozaburo`s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Jukdo fishery and sea lion joint-stock company" and "Jukdo fishing association" 김영수 p.53-88
일본이 부정하는 한국의 독도교육 = Korea's Dokdo education denied by Japan 심정보 p.281-308

일제의 독도 해군망루 설치와 독도부근 러·일 대해전 = Construction of navy watchtower at Dokdo and Russo-Japan War around the sea of Dokdo. 2 신용하 p.7-52
울릉도쟁계의 조일 간 교환문서에 대한 논의의 재검토 = A review of the discussion on documents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Japan on Ulleungdo Janggye 이성환 p.189-228
일본의회의 국제사법재판소에 대한 인식 = Recognition of the Japanese parliament's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최장근 p.229-251
1905년 '독도편입' 전후 일본 사료에 나타난 울릉도⋅독도의 지리적 인식 = Geographical recognition of Ulleungdo and Dokdo Island appeared in Japanese official records before and after 1905 이태우 p.161-188

남중국해 해양분쟁의 중재판정과 궐석재판의 법적 문제 = Legal issues of "non-participation" and the arbitration of the South China Sea dispute 정갑용 p.253-280
일본 중학교 독도교육의 실태 = The status of Dokdo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 in Japan 박지영 p.309-345

安龍福 제2차 渡日의 성격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hn Yongbok’s 2nd visit to Japan : '조선의 密使' 안용복 崔英成 p.89-127
1900년대 전후 일본 무주지 선점론과 신영토개척의 모순점에 대한 고찰 = An analysis on the contradiction of the Japanese terra nullius theory and the inherent territory claim around the 1900s 서인원 p.129-159
明清時代朝鮮飄流民的海上活動及海洋認知考察 = The investigation about marine activities and cognitive of Korean drifters during Ming & Qing Dynasties : focus on Choi Bu’s Pyo Hae Rok & Choi Doo Chan’s Seung Sa Rok : 以崔溥≪漂海錄≫和崔斗燦的≪乘槎錄≫相關記錄為中心 滕宇鵬, 崔在穆 p.347-379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영수(2013), ‘한국과 일본의 역사 교과서의 독도 관련 내용 비교와 분석’, “동북아 역사문제”(주요 현황 분석) 통권 81호. 미소장
2 김영수(2015), ‘한국과 일본 중학교 역사분야 교육과정과 역사 교과서의 독도 관련내-2014년 전후 한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독도연구” 제19호. 미소장
3 김주식(2013), ‘한일 간의 현안: 독도와 일본 교과서의 역사 왜곡’, “한국해양전략연구”(strategy 21, 제16권 1호, 통권 제31호). 미소장
4 전후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독도 기술 추이와 현황 소장
5 남상구(2014), ‘일본 초·중·고 교과서의 독도기술 현황과 전망’, “교과서 연구” 통권 제76호. 미소장
6 남상구(2016), ‘일본 교과서 독도기술과 시마네현 독도교육 비교 검토’, “독도연구” 제20호. 미소장
7 남상구(2016.5.1.), ‘집요하고 치밀한 일본의 독도 교육’, “한국교원신문”. 미소장
8 노기호(2007), 「일본교육기본법의 개정 내용과 특징」, 『公法學硏究』 第8卷 第2號, 한국비교공법학회. 미소장
9 박병섭(2011),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와 독도문제’, “독도연구” 제11호. 미소장
10 靑木廣治(2004), 「敎育基本法改定提案の遂條的檢討(前文)」, 『敎育基本法改正批判』, 日本敎育法學會編). 미소장
11 일본 문부과학성 홈페이지 (http://www.mext.go.jp) 미소장
12 二葉株式会社, 『中學校 地理』 1955 미소장
13 帝國書院, 『中學校 地理』 2011, 미소장
14 帝國書院, 『中學校 地理』 2015, 미소장
15 日本文敎出版 『中學校 地理』 2011, 미소장
16 日本文敎出版 『中學校 地理』 2015, 미소장
17 東京書籍 『中學校 地理』 2011, 미소장
18 東京書籍 『中學校 地理』 2015, 미소장
19 帝國書院, 『中學校 公民』 2011, 미소장
20 帝國書院, 『中學校 公民』 201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