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다양한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의 정책자금 지원제도를 소개하고 이 제도의 수혜기업들의 재무적 성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강원도 정책자금지원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4년도부터 강원도 산업경제진흥원은 강원도의 중소기업 정책자금을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 기관을 통해 2014년 중소기업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기업들의 재무적 성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강원도의 지원기업과 통제군인 비지원기업의 지원 전, 지원 당해 및 지원 후 3개년간의 재무비율 비교를 통해 정책자금지원이 기업의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 향상에 기여를 하였는지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강원도에서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기업들은 수익성(영업이익률, ROE), 안정성(이자보상배수, 부채비율), 성장성(총자산증가율, 매출액증가율) 어느 지표에서도 비지원기업 대비 개선의 성과를 찾을 수 없었다. 이는 엄격한 중소기업정책자금 대상업체 선정기준 및 지원 이후의 사후관리체계가 부재한 상태에서 기업 대출금의 2~4% 수준의 이자만을 지원해주는 이차보전(利差補塡) 방식의 현 강원도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제도에 개선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종구·정형권(2006). 중소기업 정책금융지원 효과 분석, 금융경제연구 제 250호,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 미소장 |
2 | 곽수근·송혁준·엄철현(2004). 정책자금지원을 받은 코스닥 중소기업의 특성요인 및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경영논집, 38(1),73-93. | 미소장 |
3 | 권선주·이천우(2006).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효과분석: 기업미시자료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19(6), 2571-2590. | 미소장 |
4 | 길운규·배홍범·심용호·김서균(2018). 창업기업 지원 정책 개선 방안연구 ICT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3(4),117-128. | 미소장 |
5 | 김민창·성낙일(2012). 정부 R&D 자금지원과 중소기업의 성과, 중소기업연구, 34(1), 39-60. | 미소장 |
6 | 김준기·이영범·이석원·장경호·이민호(2008). 중소기업 정책 자금 지원 사업의 효과성 평가 정책 자금 지원 방식의 차이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48(1), 1-32. | 미소장 |
7 | 김성인(2019). 전라남도 여성기업 자금지원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립목포대학교. | 미소장 |
8 | 김영문·강태균(2018).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지원제도가 소상공인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 소상공인에대한 분석 결과, 한국창업학회지, 13(3), 1-27. | 미소장 |
9 | 김정은(2015). 기업진단 방식의 중소기업정책자금 지원의 효과성에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미소장 |
10 | 김제국·전봉걸(2019). 기업 정책자금 지원 효과 연구: 지방 8개 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5(1), 41-58. | 미소장 |
11 | 김찬수(2009). 중소기업 정책금융의 현황 및 성과, 감사원·감사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002. | 미소장 |
12 | 김현욱(2005). 중소기업 정책금융 지원효과에 관한 연구: 재정자금을 이용한 중소기업 정책금융을 중심으로, 2005년 경제학공동학술대회 프로시딩, 141-188. | 미소장 |
13 | 노현섭·최상렬(2009). 중소기업 정책자금지원의 재무성과: 자금별분석, 재무와회계정보저널, 9, 1-20. | 미소장 |
14 | 박남규·김명숙·고종욱(2015).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창업가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0(6),89-98. | 미소장 |
15 | 박재성·신현길(2014). 경기지역의 중소기업지원 정책자금 현황 및발전과제, 한국은행 경기본부. | 미소장 |
16 | 박재필·박의성(2016). 전북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성과 결정요인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30(4), 393-410. | 미소장 |
17 | 백준성·윤병섭(2013). 정책자금 지원과 재무성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역할, 기업경영연구, 10, 139-158. | 미소장 |
18 | 손종웅(2012). 중소기업 자금지원정책의 경영안정 및 경쟁력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 미소장 |
19 | 송혁준·김이배·오웅락(2006).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이 경영성과 개선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28(4), 65-80. | 미소장 |
20 | 유영중·황성수(2009).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의 성과분석, 상업교육연구, 23(1), 219-237. | 미소장 |
21 | 이종신(2014). 기업 정책자금의 효과적 금융지원모델에 관한 연구:전라북도 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 미소장 |
22 | 윤현덕·김문겸·김영·박종훈·허광복(2006). 중소기업진흥공단 사업별성과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 미소장 |
23 | 위봉수(2012).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운영성과 분석과 정책방향에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 미소장 |
24 | 위평량(2014). 중진공의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성과 분석과 그 시사점, 기업지배구조연구, 49, 20-31. | 미소장 |
25 | 장우현(2014). 중소기업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II), KDI연구보고서 2014-10. | 미소장 |
26 | 전재환(2012). 중소기업 정책자금 재무성과 효과성 분석 및 정책적시사점 도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미소장 |
27 | 조덕희․양현봉(2008).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지원성과 분석: 중소기업진흥공단 지원 정책자금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 미소장 |
28 | 조이현․신기철(2008). 지방중소기업 육성지원자금 실태조사 및 성과분석, 중소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8-22. | 미소장 |
29 | 중소벤처기업부(2017) 월드클래스 300 프로젝트 지원사업, 2017.3.10., https://www.mss.go.kr. | 미소장 |
30 | 중소벤처기업부(2019) 2016년도 중소기업 통계, https://www.mss.go.kr. | 미소장 |
31 | 채광기(2010). 중소기업진흥공단 정책자금 지원이 중소․벤처기업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한정화,이춘우,김문현,심충진,이동일(2005). 중소기업진흥공단 사업별 성과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 미소장 |
33 | 황규선(2016) 강원도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운용 현황과 과제, 정책메모, 2016-58, 강원발전연구원. | 미소장 |
34 | 황인표․한경석․Lee, S. H.(2003).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효과와 기업조직들과의 관련성 연구, 중소기업연구, 25(4). 113-132. | 미소장 |
35 | Campbell, D. T., & Stanley, J. C.(1963).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for Research. Chicago: Rand Mcnally and Company.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