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봉철․문주원․최명일(2014). TV홈쇼핑 방송의 시청동기가 시청만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100호, pp.264-291. 미소장
2 김용찬․신인영(2013). 스마트폰 의존이 전통적 미디어 이용과 전통적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27권 2호, 115-156. 미소장
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소장
4 박자람․차미영(2013). 온라인 소셜미디어에서의 이모티콘 사용.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537-539. 미소장
5 배진희․최원규(2004). 청소년의 이모티콘 사용과 확산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1권 2호, 279-299. 미소장
6 안원미․김종완․한광희(2010). 인지 및 생물심리 행복을 전달하는 이모티콘. 한국심리학회 연차 발표대회 논문집. 미소장
7 우공선․강재원(2011). 이동형 SNS의 이용 충족, 의존, 그리고 문제적 이용: 트위터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8권 4호, pp.89-127, 미소장
8 우종필(2017).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미소장
9 이상봉(2011). TV홈쇼핑 채널의 이용과 충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권 12호, pp.241-249. 미소장
10 이인숙(2004). 이모티콘(emoticon)의 감성적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미소장
11 이은지(2017). 이모티콘 사용자의 이용동기에 대하여: 이용동기와 친밀도에 따른 이모티콘 이용태도와 행태 차이. 「한국HCI학회 논문지」, 12권 2호, pp.5-12. 미소장
12 이혜경․고은영(2015). 인스턴트 메신저 이모티콘 사용에 있어 20대와 장년층의 특성비교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3권 2호, 145-156. 미소장
13 소원금․김하균(2014). 모바일 특성이 m-commerce 신뢰와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3권 2호, pp.63-79. 미소장
14 장혜진․채규만(2006). 기술중독에 빠진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권 4호, pp.839-852. 미소장
15 장훼영․김종무(2017). 시나 웨이보(Sina Weibo)에서 유명인의 제품 사용 후기 포스팅과 기업 제품 광고 포스팅에 관한 분석.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60호, pp.252-261. 미소장
16 전종우(2018). 이모티콘 캐릭터의 친숙도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이원적 태도와 애니메이션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9권 1호, pp.45-68. 미소장
17 정보희․배정호(2016).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신뢰, 이모티콘 사용태도와 이모티콘 구매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10호, 311-325. 미소장
18 주지혁․최명일․김봉철(2008). 성인여성의 TV홈쇼핑 속성 인식이 시청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위험, 지각된 유용성을 중심으로. 「광고학 연구」, 19권 1호, pp.37-53. 미소장
19 최지은(2015).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이모티콘 사용에 대한 소비자 반응연구: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2권 1호, pp.199-214. 미소장
20 한국인터넷진흥원(2018). 인터넷사용실태조사 보고서. 미소장
21 황하성․박성복(2008). 문자메시지의 이모티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동기와 사회적 현존감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9호, pp.133-162. 미소장
22 허경호(2009). 대학생의 인터넷 의존도의 이용과 충족 시각적 특성.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6권 4호, pp.195-233. 미소장
23 홍장선․이종윤(2014).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통한 자아표상과 이에 따른 기호특성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5권 4호, pp.493-505. 미소장
24 THE ORIGINS OF INDIVIDUAL MEDIA-SYSTEM DEPENDENCY 네이버 미소장
25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네이버 미소장
26 Comesafia, M., Soares, A. P., Perea, M., Pifieiro, A. P., Fraga, I., and Pinheiro, A.,(2013), ERP Correlates of Masked Affective Priming with Emoticons. Computers in Humna Behavior, 29(3), 588-595. 미소장
27 Organizational Information Requirements, Media Richness and Structural Design 네이버 미소장
28 Computers in human behavior 네이버 미소장
29 Ekman, P. & Friesen, W. V.(1996), The repertoire of nonverbal behavior: Categories, origins, usage and codings. Semiotica, 1(1), pp.49-98. 미소장
30 Fischer, A. H., Manstead, A. S. R., Evers, C., Timmers, M. & Valk, G.(2004), Motives and norms underlying emotion regulation. In P. Philippot and R. S. Feldman(Eds). The regulation of emotion.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3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네이버 미소장
32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Use of E-Mail: An Extension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네이버 미소장
33 Grant, A. E.(1996). Media dependency and multiple media sources. In A. Crigler(Ed.), The psychology of political communication, 199~210, 1996.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미소장
34 Television Shopping 네이버 미소장
35 Philosophical dimensions of anonymity in group support systems: Ethical implications of social psychological consequences 네이버 미소장
36 Lea, M., & Spears, R.(1995). Love at first? Building personal relationships over computer networks, In J. T. Wood & Suck(Eds.). Understanding relationship: off the beaten track(pp.197-233). Newbury Park, CA:Sage. 미소장
37 Lo, S. K.(2010), The Nonverbal communication functions of emoticons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1(5), pp.11-18. 미소장
38 The uses and dependency model of mass communication 네이버 미소장
39 Xu, L., Yi, C. & Xu, Y.(2007), Emotional expression online: The impact of task, relationship and personality perception on emoticon usage in instant messenger. PACIS 2007 Proceedings, 79, 2007. 미소장
40 Goldberg, I.(1996), Internet addiction disorder. http://www.webs.ulpgc.es/aeps/JR/Documentos/ciberadictos.doc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