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인식론적 자연주의와 항구적 오류가능성 = Epistemological naturalism and the permanent possibility of mistakes / 이병덕 1

[요약] 1

1. 들어가는 말 1

2. 대체 논제와 인식적 수반 논제 3

3. 인식론적 수반 논제에 관한 레러의 비판 6

4. 이유의 논리적 공간과 항구적 오류가능성 11

5. 나오는 말 20

참고문헌 22

Abstract 2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회남자의 통치철학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ule Philosophy of Huainanzi : against the interpretation that the rule philosophy of Huainanzi is an articulated ideology of autistic paternalism : 자폐적 가부장주의라는 해석에 대한 반론을 중심으로 정우진 p.1-22

보기
데카르트의 두 번째 성찰(Meditatio II, AT VII, 25, 513)에서 "나는 존재한다(ego sum)"와 "나는 현존한다(ego existo)"가 이중적으로 말해지는 이유에 대하여 = The reason why "I am" and "I exist" are doubly said in Descartes' Meditatio II(AT VII, 25, 5-13) 이재훈 p.23-45

보기
선택의지(Willkür)의 자유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 How to understand the freedom of Willkür : a new interpretation of a paragraph in Kant's "Metaphysics of Morals" (MS VI 226∼7) : 칸트의 『윤리형이상학』의 한 문단(MS VI 226~7)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 정대훈 p.47-74

보기
철학자의 시간과 물리학자의 시간 = Philosopher's time and physicist's time : Bergson and Poincaré on time, simultaneity and relativity : 베르그손과 푸앵카레의 상대성이론 해석 이지선 p.75-99

보기
롤즈의 차등의 원칙의 근거로서의 상호성 = On reciprocity in Rawls's theory of justice : its relation to the difference principle : 그 내용과 역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주동률 p.125-151

보기
실험 도덕 철학(experimental moral philosophy)의 도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que of the challenges posed by the experimental moral philosophy 한곽희 p.153-177

보기
예술의 언어와 상징의 불투명성 = The languages of art and the non transparency of symbols 김혜영 p.179-204

보기
인식론적 자연주의와 항구적 오류가능성 = Epistemological naturalism and the permanent possibility of mistakes 이병덕 p.101-124

보기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병덕. 2013. 『현대인식론』.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미소장
2 이병덕. 2019. 「상호주관적 정당화와 객관적 정당화」, 『논리연구』 제22집 제1호: 125-150. 미소장
3 Alston, William. 1976. “Two Types of Foundationalism.” Journal of Philosophy 73: 165-185. 미소장
4 Brandom, Robert. 1994. Making It Explici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미소장
5 Brandom, Robert. 2011. Perspectives on Pragmatism.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미소장
6 Feldman, Richard. 2003. Epistemology. Upper Saddle River: PrenceHall. 미소장
7 Goldman, Alvin. 1979. “What is Justified Belief?” In George S. Pappas (ed.), Justification and Knowledge. Dordrecht: Reidel, pp. 1-23. 미소장
8 Goldman, Alvin. 1986. Epistemology and Cognitio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9 Goldman, Alvin. 2002. “The Sciences and Epistemology.” In Paul Moser (ed.), The Oxford Handbook of Epistem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144-176. 미소장
10 Kim, Jaegwon. 1988. “What is ‘Naturalized Epistemology’?” In James Tomberlin (ed.), Philosophical Perspectives 2. Atascadero: Ridgeview, pp. 381-405. 미소장
11 Kornblith, Hilary. 1985. “Introduction: What is Naturalistic Epistemology?” In Hilary Kornblith (ed.), Naturalizing Epistemology. Cambridge: MIT Press, pp. 1-13. 미소장
12 Lee, Byeong D. 2014. “Epistemic Principles and Epistemic Circularity.”Philosophia 42, pp. 413–432. 미소장
13 Lee, Byeong D. 2017. “The TruthConduciveness Problem of Coherentism and a Sellarsian Explanatory Coherence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Philosophical Studies 25: 63–79. 미소장
14 Dialogue 네이버 미소장
15 Lehrer, Keith. 1997. Self-Trust: A Study of Reason, Knowledge, and Autonomy. Oxford: Clarendon Press. 미소장
16 Lehrer, Keith. 1999. “Reply to Van Cleve.”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59: 1068-1071. 미소장
17 Lehrer, Keith. 2000. Theory of Knowledge, Second Edition. Boulder: Westview Press. 미소장
18 Lehrer, Keith. 2003. “Reply to Sosa.” In Erik J. Olsson (ed.), The Epistemology of Keith Lehrer. Dordrecht: Kluwer, pp. 317-320. 미소장
19 Maffie, James. 1990. “Recent Work in Naturalized Epistemology.” American Philosophical Quarterly 27: 281-293. 미소장
20 Quine, W. V. O. 1969. “Epistemology Naturalized.” In his Ontological Relativity and Other Essay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p. 69-90. 미소장
21 Sellars, Wilfrid. 1963a. “Empiricism and the Philosophy of Mind.” In his Science, Perception and Reality. Routledge & Kegan Paul, pp. 127-196. 미소장
22 Sellars, Wilfrid. 1963b. “Some Reflections on Language Games.” In his Science, Perception and Reality. Routledge & Kegan Paul, pp. 321-358. 미소장
23 The Raft and the Pyramid: Coherence versus Foundations in the Theory of Knowledge 네이버 미소장
24 Sosa, Ernest. 1991. Knowledge in Perspectives: Selected Essays in Epistem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5 Sosa, Ernest. 2003. “Epistemology: Does It Depend on Independence?” In Erik J. Olsson (ed.), The Epistemology of Keith Lehrer. Dordrecht: Kluwer, pp. 23-30. 미소장
26 Turri, John. 2010. “Epistemic Supervenience.” In Jonathan Dancy, Ernest Sosa, and Matthias Steup (eds.), Blackwell Companion to Epistemology, Second Edition. Oxford: Blackwell, pp. 340-343. 미소장
27 EPISTEMIC SUPERVENIENCE AND THE CIRCLE OF BELIEF 네이버 미소장
28 Van Cleve, James. 1999. “Epistemic Supervenience Revisited.” Philosoph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59: 1049-105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