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권재일, 「새로 짓는 길 이름의 사이시옷 표기」, 도로명의 사이시옷 표기, 성씨의 로마자 표기 공개 토론회(문화관광부 국립국어연구원), 2001, 15~18쪽. |
미소장 |
2 |
김선철, 표준 발음 실태 조사, 국립국어연구원, 2003. |
미소장 |
3 |
김정현,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연구 성과 고찰」, 한어문교육 12,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04, 107~136쪽. |
미소장 |
4 |
김창영, 한국어의 발음 현황 조사, 국립국어원, 2016. |
미소장 |
5 |
김한샘,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2, 국립국어원, 2005. |
미소장 |
6 |
김형배, 「현행 한국어 어문규정의 문제점: 국어 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2, 한민족문화학회, 2007, 31~58쪽. |
미소장 |
7 |
박동근, 「웹 검색 엔진을 활용한 어문규범 오류 실태의 계량적 추출 방법」, 언어과학연구 63, 언어과학회, 2012, 145~170쪽. |
미소장 |
8 |
박동근, 「웹 검색을 이용한 맞춤법 오류의 변화 양상 연구: 사이시옷 표기를 중심으로」,문법 교육 21, 한국문법교육학회, 2014, 67~93쪽. |
미소장 |
9 |
양순임,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한글 293, 한글학회, 2011, 117~167쪽. |
미소장 |
10 |
엄태수, 「현대국어 사이시옷 현상의 검토」, 국제어문 28, 국제어문학회, 2006, 165~200쪽. |
미소장 |
11 |
엄태수, 「사이시옷 현상과 한글 맞춤법」, 시학과 언어학 13, 시학과 언어학회, 2007, 239~288쪽. |
미소장 |
12 |
이관규, 한글 맞춤법 영향 평가, 국립국어원, 2014. |
미소장 |
13 |
이동석, 「현행 사이시옷 규정과 관련된 몇 문제」, 민족문화연구 5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185~226쪽. |
미소장 |
14 |
최남희, 「‘사잇소리’에 대하여」, 한말연구 1, 한말연구학회, 1995, 219~242쪽. |
미소장 |
15 |
최형용, 「사잇소리 현상과 표기」, 한중인문학연구 23, 한중인문학회, 2008, 151~175쪽. |
미소장 |
16 |
최형용,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과 표기의 원리」, 한중인문학연구 26, 한중인문학회, 2009ㄱ, 167~183쪽. |
미소장 |
17 |
최형용,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은 과연 형태소인가」, 형태론 11-1, 형태론연구회, 2009ㄴ, 61~78쪽. |
미소장 |
18 |
최형용, 「문법에서 유추의 역할은 무엇인가: 블레빈스 외 편(2009), Analogy in Grammar를중심으로」, 형태론 17-2, 형태론연구회, 2015, 285~335쪽. |
미소장 |
19 |
최형용, 사이시옷 표기 실태 조사 및 규정 개선 방안 연구, 국립국어원. 2017. |
미소장 |
20 |
최형용,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한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개선 방안에 대하여」, 언어와 정보 사회 34,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ㄱ, 363~396쪽. |
미소장 |
21 |
최형용, 사잇소리 관련 어휘의 발음 및 표기 실태 연구, 국립국어원, 2018ㄴ. |
미소장 |
22 |
최형용・김혜지, 「구성족 개념에 따른 사이시옷의 실현과 비실현」, 국어학 80, 국어학회, 2016, 195~227쪽. |
미소장 |
23 |
하세경, 「현대국어 사잇소리 현상의 형태론과 음운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