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최형용(2008, 2018ㄱ)에서 일관적으로 ‘한자어+고유어’의 경우에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말아야 한다고 한 주장이 미등재어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형용(2018ㄴ)의 미등재어에 대한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사이시옷의 표기 양상, 사잇소리 현상에 따른 발음의 실현 양상, 사잇소리 현상에 따른 발음의 실현과 사이시옷 표기와의 상관관계를 따져 보았다. 그 결과 미등재어의 사이시옷 표기 빈도는 전체적으로 등재어의 경우보다 낮았지만 그 양상은 이전의 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어 최형용(2008, 2018ㄱ)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등재어의 사잇소리 현상에 따른 발음의 실현 양상은 등재어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사이시옷의 표기로 이어진 경우는 더 적어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적용이 원활하지 않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는 곧 현행 규정에서 사이시옷을 표기해야 하는 경우 가운데 ‘한자어+고유어’에서부터 사이시옷을 적지 않도록 하고 점진적으로는 사이시옷 표기를 줄여 나가는 쪽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터키인 학습자를 위한 의미범주에 따른 한국어 감정표현 어휘 난이도 위계화 = Hierarchy of difficulty level of Korean emotion words in relation to meaning for Turkish learners Essiz Dursun p.277-306

데이터 디스토피아와 신체 정치 = Data dystopia and body politics in the animation Psycho-pass : 애니메이션 「사이코패스(Psycho-pass)」를 중심으로 황지영 p.101-126

『속몽구분주(續蒙求分註)』의 교육적 활용 방안 =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Sok-Monggu-Bunju : 현행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성어(成語)'의 개발 가능 분야를 중심으로 이연순 p.257-276

LGBT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바디의 상상력과 수행성 = Post-body imagination and gender technology in LGBT novels 김윤정 p.73-100

이성복 문학의 정치성 재구 = A reconstitution of politicality in Lee Sung-bok's literature : focused on his essays on poetry : 이성복의 시론을 중심으로 양순모 p.155-183

매체에 기고된 유근(柳瑾,1861~1921)의 한시연구 = A study of Yu Geun's classical Chinese poetry published in the media 이고은 p.127-154

박상륭 소설에 드러난 신화적 상상력과 여성 = The gendered dimension of mythological imagination in Park Sang-ryung's The Scorching Sun series : 「뙤약볕」 연작(민음사, 1971)을 중심으로 양윤의 p.41-71

내 아이큐는 삼만칠천팔백이십구 = My IQ is 37,829 : a discursive identity inquiry of adolescents in everyday talk :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의 일상대화 속 담화적 정체성 탐구 김윤경 p.231-255

「도문대작(屠門大嚼)」의 성격과 성립 배경에 대한 시론(試論) = The features of Domundaejak and its background 안득용 p.5-40

김명화 작품에 나타난 전쟁 기억의 재현 양상 = The representation of memories of war in Kim Myung-hwa's plays : 「침향」, 「냉면」을 중심으로 백소연 p.185-206

미등재어의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 On the 'Sai-sori' phenomena and orthography of 'Sai-siot' based on non-listed words 최형용 p.207-230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재일, 「새로 짓는 길 이름의 사이시옷 표기」, 도로명의 사이시옷 표기, 성씨의 로마자 표기 공개 토론회(문화관광부 국립국어연구원), 2001, 15~18쪽. 미소장
2 김선철, 표준 발음 실태 조사, 국립국어연구원, 2003. 미소장
3 김정현,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연구 성과 고찰」, 한어문교육 12,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04, 107~136쪽. 미소장
4 김창영, 한국어의 발음 현황 조사, 국립국어원, 2016. 미소장
5 김한샘,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2, 국립국어원, 2005. 미소장
6 김형배, 「현행 한국어 어문규정의 문제점: 국어 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2, 한민족문화학회, 2007, 31~58쪽. 미소장
7 박동근, 「웹 검색 엔진을 활용한 어문규범 오류 실태의 계량적 추출 방법」, 언어과학연구 63, 언어과학회, 2012, 145~170쪽. 미소장
8 박동근, 「웹 검색을 이용한 맞춤법 오류의 변화 양상 연구: 사이시옷 표기를 중심으로」,문법 교육 21, 한국문법교육학회, 2014, 67~93쪽. 미소장
9 양순임,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한글 293, 한글학회, 2011, 117~167쪽. 미소장
10 엄태수, 「현대국어 사이시옷 현상의 검토」, 국제어문 28, 국제어문학회, 2006, 165~200쪽. 미소장
11 엄태수, 「사이시옷 현상과 한글 맞춤법」, 시학과 언어학 13, 시학과 언어학회, 2007, 239~288쪽. 미소장
12 이관규, 한글 맞춤법 영향 평가, 국립국어원, 2014. 미소장
13 이동석, 「현행 사이시옷 규정과 관련된 몇 문제」, 민족문화연구 5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185~226쪽. 미소장
14 최남희, 「‘사잇소리’에 대하여」, 한말연구 1, 한말연구학회, 1995, 219~242쪽. 미소장
15 최형용, 「사잇소리 현상과 표기」, 한중인문학연구 23, 한중인문학회, 2008, 151~175쪽. 미소장
16 최형용,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과 표기의 원리」, 한중인문학연구 26, 한중인문학회, 2009ㄱ, 167~183쪽. 미소장
17 최형용,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은 과연 형태소인가」, 형태론 11-1, 형태론연구회, 2009ㄴ, 61~78쪽. 미소장
18 최형용, 「문법에서 유추의 역할은 무엇인가: 블레빈스 외 편(2009), Analogy in Grammar를중심으로」, 형태론 17-2, 형태론연구회, 2015, 285~335쪽. 미소장
19 최형용, 사이시옷 표기 실태 조사 및 규정 개선 방안 연구, 국립국어원. 2017. 미소장
20 최형용,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한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개선 방안에 대하여」, 언어와 정보 사회 34,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8ㄱ, 363~396쪽. 미소장
21 최형용, 사잇소리 관련 어휘의 발음 및 표기 실태 연구, 국립국어원, 2018ㄴ. 미소장
22 최형용・김혜지, 「구성족 개념에 따른 사이시옷의 실현과 비실현」, 국어학 80, 국어학회, 2016, 195~227쪽. 미소장
23 하세경, 「현대국어 사잇소리 현상의 형태론과 음운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