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다산학에서의 예법과 인간 = Humans of courtesy in school of Dasan : focusing on Minor Annotation of Elementary Learning and Private Examination of Classic of the Mind : 『소학지언』과 『심경밀험』을 중심으로 이기원 p.255-283
일제 강점기 조선학과 민족학의 지식 지형에 따른 전설 채집 활동의 의미 = Meaning of legend gathering activity according to knowledge terrain of Joseon study and ethnology in Japanese colonial period : focused on the Dongaillbo's 'Legendary of Joseon' : 『동아일보』 '전설의 조선' 연재물을 중심으로 김경남 p.149-184

내방가사를 통한 여성의 자기표현과 부부관계의 구성 = Women's self-expression and formation of the marital relationship in Naebang-gasa : 『두암제영』 소재 <노부탄>과 <답부사>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애 p.33-53
죽석관 서영보의 문학관 연구 = A study of Seo Young Bo's literary view 최일영 p.55-83

근대계몽기 석정 이정직의 문학사상 = Literary thought of Seokjeong Yi, Jeong Jik in the modern enlightenment 이승용 p.115-148
손진태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번역과 그 성격 = Son Jin-tae's translation of <Nongawolryounga> and its characteristics 유정란 p.185-218

『무예도보통지』 무예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방안 = Strategies and tasks for designating Muyedobotongji martial arts as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곽낙현 p.317-340
선조 초년 남명 조식과 율곡 이이의 정치 인식 비교 = Comparing of the political perceptions of Nammyeong Cho Sik and Yulgok Lee Yi : <戊辰封事>와 『東湖問答』을 중심으로 안외순 p.219-254
한중(韓中) 관우의례(關羽儀禮)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rituals of GuanYu between Korea and China 상기숙 p.285-316
『삼국유사』의 <처용랑과 망해사> 서사 연구 = Narrative studies on Cheoyong and Manghae Temple in Samgukyusa 손승희 p.9-31
정조의 독서론 고찰 = A study on the reading of King Jung-jo 박수밀 p.85-114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역 홍재전서』(『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 미소장
2 『홍재전서』, 민족문화추진회(『한국문집총간』 262~267). 미소장
3 강명관, 「문체와 국가장치 ; 정조의 문체반정을 둘러싼 사건들」, 『문학과경계』2, 문학과경계사, 2001. 미소장
4 김기봉, 「정조의 책읽기 읽기」, 『시민인문학』 25, 경기대 인문학연구소, 2013. 미소장
5 김문식,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문헌과해석사, 2000. 미소장
6 김 영, 『조선후기 한문학의 사회적 의미』, 집문당, 1993. 미소장
7 김인규, 「홍재 정조의 학문관」, 『온지논총』 23, 온지학회, 2009. 미소장
8 김호, 「정조의 속학 비판과 正學論」, 『한국사연구』 139, 한국사연구회, 2007. 미소장
9 김효진, 리상용, 「弘齋全書의 인용문헌분석을 통한 정조의 독서 행태 연구」, 『서지학연구』 53집, 한국서지학회, 2012. 미소장
10 박수밀, 「조선후기 독서론과 독서방식의 변화」, 『국제어문』 33, 국제어문학회,2005. 미소장
11 백민정, 「정조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동양철학』 34, 한국동양철학회, 2010. 미소장
12 백정화, 『조선시대 서연의 독서교육적 의의 탐색 ; 정조의 사례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미소장
13 신양선, 「조선후기 정조의 독서관」, 『역사와실학』 3, 역사실학회, 1992. 미소장
14 정옥자 외, 『정조 시대의 사상과 문화』, 돌베개, 1999. 미소장
15 정옥자, 『정조의 수상록 일득록 연구』, 일지사, 2000. 미소장
16 황성연, 『일득록을 통해본 정조의 선비의식 고찰』, 경희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대학원, 20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