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역 홍재전서』(『한국고전종합DB』(http://db.itkc.or.kr/)) | 미소장 |
2 | 『홍재전서』, 민족문화추진회(『한국문집총간』 262~267). | 미소장 |
3 | 강명관, 「문체와 국가장치 ; 정조의 문체반정을 둘러싼 사건들」, 『문학과경계』2, 문학과경계사, 2001. | 미소장 |
4 | 김기봉, 「정조의 책읽기 읽기」, 『시민인문학』 25, 경기대 인문학연구소, 2013. | 미소장 |
5 | 김문식,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문헌과해석사, 2000. | 미소장 |
6 | 김 영, 『조선후기 한문학의 사회적 의미』, 집문당, 1993. | 미소장 |
7 | 김인규, 「홍재 정조의 학문관」, 『온지논총』 23, 온지학회, 2009. | 미소장 |
8 | 김호, 「정조의 속학 비판과 正學論」, 『한국사연구』 139, 한국사연구회, 2007. | 미소장 |
9 | 김효진, 리상용, 「弘齋全書의 인용문헌분석을 통한 정조의 독서 행태 연구」, 『서지학연구』 53집, 한국서지학회, 2012. | 미소장 |
10 | 박수밀, 「조선후기 독서론과 독서방식의 변화」, 『국제어문』 33, 국제어문학회,2005. | 미소장 |
11 | 백민정, 「정조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동양철학』 34, 한국동양철학회, 2010. | 미소장 |
12 | 백정화, 『조선시대 서연의 독서교육적 의의 탐색 ; 정조의 사례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미소장 |
13 | 신양선, 「조선후기 정조의 독서관」, 『역사와실학』 3, 역사실학회, 1992. | 미소장 |
14 | 정옥자 외, 『정조 시대의 사상과 문화』, 돌베개, 1999. | 미소장 |
15 | 정옥자, 『정조의 수상록 일득록 연구』, 일지사, 2000. | 미소장 |
16 | 황성연, 『일득록을 통해본 정조의 선비의식 고찰』, 경희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대학원, 201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