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가협력전략 (CPS)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의 개선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의 우리나라 CPS와 개별 사업 프로젝트들이 어느 정도 정합성을 가지고 있는 지도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 CPS제도를 새로 개선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PS와 개별프로젝트들의 정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도 강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에티오피아 CPS를 사례로 하였으며, 그동안 에티오피아에서 수행했던 한국 ODA 사업들과 CPS,의 정합성이 있는 지도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CPS는 달성하고자 하는 성과목표들이 지나치게 추상적으로 제시되어 있어서 지침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둘째, 우리의 CPS는 수원국의 발전계획만 반영하여 작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에티오피아에 대한 한국의 CPS와 그동안 에티오피아에서 수행되었던 개별 프로젝트들의 정합성을 검토해 본 결과, 일부 사업들의 경우 CPS와의 정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우리나라 CPS 가 다른 공여기관들의 경우와 같이 구체적인 산출성과 지표들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아울러 타 공여국들의 CPS에 대한 검토결과도 아울러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CPS)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decisions about which ODA projects can be given priority in a recipient country, about which ODA type can be preferred to other on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set out, and about how much resources can should be allocated in the recipient country. It implies that CPS for a recipient country should be alined with development plans of the recipient country, meet the needs of the people in the country, and should be detailed enough so that the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ODA projects provided by donor countries could be able to implement them properly, sensibly and effectively in the recipient countries.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s of the CPS designed by the Korean government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to discover drawback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current CPS system, and to come up with applicable alternatives to cope with challenges confronting Korean government, especially with regard to making the CPS in the next stag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농촌 지역 주민역량이 개발만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rural residents' capacity on development satisfaction 김두순, 김성록 p.61-79

조직문화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moderated effects of leadership :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광국 p.1-22
지속가능한 안전사회를 위한 U-Healthcare 발전 방향 =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U-healthcare in sustainable safe community 이우권, 이재은 p.109-130

촉매적 정책도구로서 넛지의 정책학적 함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s of nudge as a facilitative policy instrument 김이수 p.157-178

한국의 공적개발원조에 있어서 국가협력전략 (CPS, Country Partnership Strategy)의 역할과 향후 개선방향 = Examining the roles of Korean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CPS) for Ethiopia : future directions 최영출, 김학실 p.271-296

연구개발특구 연구소기업 설립 활성화를 위한 기술이전·기술사업화 정책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olicy factors of technology transfe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or innopolis : focusing on the use of public technology from government-invested research institutes in Jeonbuk area : 전북지역 정부 출연(연) 공공기술 활용을 중심으로 임진호 p.179-198

정부조직의 세대간 조직문화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organizational culture among generation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 focused on Korea Forest Service : 산림청 본청을 중심으로 주효진, 장봉진 p.225-244
Determinant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provincial areas in China = 환경오염 결정요인 분석 : 중국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Bo Wang, Jong Youl Lee, Hee Chan Kang, Chad David Anderson p.39-59

중국 공무원 시험 임용제도 운영현황과 함의 =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Chines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조신, 주상현 p.245-270

A study on the Confucian cultural factors of Chinese cultural policies after '18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제18차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이후 중국 문화정책의 유교적 문화요인에 대한 연구 Can Wang, Joonho Jeong p.131-156

What explains local governments' involvement in collaborative commitments for a sustainable environment =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협력적 결속에 대한 지방정부들의 참여요인 분석 Hyunsang Ha p.81-108

자치, 그리고 공동체주의 논거와 실천모색 = A study of the practices on local autonomy and communitarianism 임승빈 p.23-38

모바일 기기 활용역량이 시민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 of mobile device utilization on citizen's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 소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p.199-224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무조정실. (2016). 에티오피아 국가협력전략. 관계부처합동 전략서 미소장
2 국무조정실. (2019). 19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국무조정실. 미소장
3 권율·이상미·유애라. (2018). 「아시아 취약국 ODA 지원전략과 CPS 개선방향」.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미소장
4 김학실·최영출. (2017). ODA 사업추진의 효과성 강화를 위한 정책 시뮬레이션. 「한국자치행정학보」, 31(3): 25-52. 미소장
5 이시온. (2017). 제2기 국가협력전략에 근거한 KOICA 국별협력사업 증기 예산연구 및 정책시사점. KOICA 섹터포커스 미소장
6 이현주·김숙연. (2017). ODA 사업평가 전문가의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1): 63-68. 미소장
7 장지현. (2017).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사회적 기업 지속가능성 시나리오 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1): 63-86. 미소장
8 장지현. (2019). 저개발국가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ODA) 연구경향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1): 121-146. 미소장
9 정지선·오태현. (2013). 「ODA 국별 성과관리체제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세종 : KIPE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미소장
10 최영출. (2018). OECD 국가들의 ODA 효과성 영향 결합조건 분석: QCA 분석 방법의 적용. 「한국비교정부학보」. 22(3): 1-20. 미소장
11 최영출·이상엽. (2015).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에 미치는 영향 요인: QCA 방법의 적용. 「한국비교정부학보」, 19(1): 157-178. 미소장
12 ADB. (2016a). Operational Manual Bank Policies. ADB Strategy and Policy Department. 미소장
13 ADB. (2016b). Revised guidelines for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results framework. ADB. Working Paper. 미소장
14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18). Quality of ODA Effectiveness. https://www.cgdev.org/ 미소장
15 Applying contribution analysis: Lessons from five years of practice 네이버 미소장
16 Funnell, S. & Rogers, P. (2011). Purposeful program theory: Effective use of theories 미소장
17 Hussain, M. (2013). Lessons learnt from implementation of the DFID Results Framework. DFID. 미소장
18 Irish Aid. (2011). Evaluation of Countryf Strategy Paper 2007-2010 미소장
19 ITAD. (2012). Evaluation of the Irish Aid Ethiopia Country Strategy 2008-2012: Contribution of a results-based management approach to strategy development. 미소장
20 Jun, Woo Seok & Choi, Oe-Chool. (2019). A Case Study on Saemaul Undong Policy Training in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 Ethiopia. Social Economy & Policy Studies, 9(1): 237-260. 미소장
21 Mayne, J. (2001). Assessing attribution through contribution analysis: Using performance measures sensibly. Canadian Journal of Program Evaluation. 16(1): Available at: http://old.evaluationcanada.ca/site.cgi?s=4&ss=21 미소장
22 Evaluation in Europe 2000 네이버 미소장
23 Mayne. J. (2008). Contribution analysis: An approach to exploring cause and effect. ILAC(Institutional Learning and Change) Brief 16. May 2008. 미소장
24 Ministry of Foreign Affairs, European Union and Cooperation. (2018). Manual for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Country Partnership Frameworks. http://www.maec.es 미소장
25 OECD. (2018). OECD Development Co-operation Peer Reviews Korea 2018. OECD: Paris. 미소장
26 ИСТОРИЯ ИРЛАНДИИ (АНГЛИЙСКИЙ ЯЗЫК (ENGLISH))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