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국무조정실. (2016). 에티오피아 국가협력전략. 관계부처합동 전략서 |
미소장 |
2 |
국무조정실. (2019). 19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국무조정실. |
미소장 |
3 |
권율·이상미·유애라. (2018). 「아시아 취약국 ODA 지원전략과 CPS 개선방향」.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미소장 |
4 |
김학실·최영출. (2017). ODA 사업추진의 효과성 강화를 위한 정책 시뮬레이션. 「한국자치행정학보」, 31(3): 25-52. |
미소장 |
5 |
이시온. (2017). 제2기 국가협력전략에 근거한 KOICA 국별협력사업 증기 예산연구 및 정책시사점. KOICA 섹터포커스 |
미소장 |
6 |
이현주·김숙연. (2017). ODA 사업평가 전문가의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1): 63-68. |
미소장 |
7 |
장지현. (2017).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사회적 기업 지속가능성 시나리오 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1): 63-86. |
미소장 |
8 |
장지현. (2019). 저개발국가에 대한 공적개발원조 (ODA) 연구경향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1): 121-146. |
미소장 |
9 |
정지선·오태현. (2013). 「ODA 국별 성과관리체제 및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세종 : KIPE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미소장 |
10 |
최영출. (2018). OECD 국가들의 ODA 효과성 영향 결합조건 분석: QCA 분석 방법의 적용. 「한국비교정부학보」. 22(3): 1-20. |
미소장 |
11 |
최영출·이상엽. (2015).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에 미치는 영향 요인: QCA 방법의 적용. 「한국비교정부학보」, 19(1): 157-178. |
미소장 |
12 |
ADB. (2016a). Operational Manual Bank Policies. ADB Strategy and Policy Department. |
미소장 |
13 |
ADB. (2016b). Revised guidelines for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results framework. ADB. Working Paper. |
미소장 |
14 |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18). Quality of ODA Effectiveness. https://www.cgdev.org/ |
미소장 |
15 |
Applying contribution analysis: Lessons from five years of practice  |
미소장 |
16 |
Funnell, S. & Rogers, P. (2011). Purposeful program theory: Effective use of theories |
미소장 |
17 |
Hussain, M. (2013). Lessons learnt from implementation of the DFID Results Framework. DFID. |
미소장 |
18 |
Irish Aid. (2011). Evaluation of Countryf Strategy Paper 2007-2010 |
미소장 |
19 |
ITAD. (2012). Evaluation of the Irish Aid Ethiopia Country Strategy 2008-2012: Contribution of a results-based management approach to strategy development. |
미소장 |
20 |
Jun, Woo Seok & Choi, Oe-Chool. (2019). A Case Study on Saemaul Undong Policy Training in Southern Nations, Nationalities, and People’s Region, Ethiopia. Social Economy & Policy Studies, 9(1): 237-260. |
미소장 |
21 |
Mayne, J. (2001). Assessing attribution through contribution analysis: Using performance measures sensibly. Canadian Journal of Program Evaluation. 16(1): Available at: http://old.evaluationcanada.ca/site.cgi?s=4&ss=21 |
미소장 |
22 |
Evaluation in Europe 2000  |
미소장 |
23 |
Mayne. J. (2008). Contribution analysis: An approach to exploring cause and effect. ILAC(Institutional Learning and Change) Brief 16. May 2008. |
미소장 |
24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European Union and Cooperation. (2018). Manual for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Country Partnership Frameworks. http://www.maec.es |
미소장 |
25 |
OECD. (2018). OECD Development Co-operation Peer Reviews Korea 2018. OECD: Paris. |
미소장 |
26 |
ИСТОРИЯ ИРЛАНДИИ (АНГЛИЙСКИЙ ЯЗЫК (ENGLISH))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