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金 構, 觀復齋遺稿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2 | 金萬重, 西浦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3 | 南龍萬, 活山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4 | 睦萬中, 餘窩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5 | 方 回, 瀛奎律髓 , 장서각본. | 미소장 |
6 | 成 俔, 虛白堂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7 | 蘇世讓, 陽谷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8 | 申 濡, 竹堂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9 | 申宅權, 樗庵漫藁 , 규장각본. | 미소장 |
10 | 吳尙濂, 燕超齋遺稿 국립중앙도서관 필사본. | 미소장 |
11 | 尹 愭, 無名子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12 | 李景奭, 白軒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13 | 李睟光, 芝峯類說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14 | 李獻慶, 艮翁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15 | 李玄錫, 游齋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16 | 李 滉, 退溪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17 | 鄭百昌, 玄谷集 , 한국고전번역원 DB. | 미소장 |
18 | 신승운 역, 예기집설대전 (1), 전통문화연구회, 2010. | 미소장 |
19 | 전규호, 이기범, 김학경 역, (국역) 저암만고 상・하, 鄕脈 26, 양평문화원, 2016. | 미소장 |
20 | 안대회,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 소명출판, 1999. | 미소장 |
21 | 이종묵, 한국 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 태학사, 2002. | 미소장 |
22 | 강경훈, 「중암 강이천 문학 연구」, 동국대 박사 논문, 2001. | 미소장 |
23 | 강성위, 「方回의 시학이론 연구」, 서울대 박사 논문, 1996. | 미소장 |
24 | 김근태, 「西陂 柳僖의 江西詩派 수용 양상에 대하여」, 한문고전연구 20, 한국한문고전학회, 2010. | 미소장 |
25 | 김근태, 「19세기 조선시단의 江西詩派 수용양상 연구」, 한문학논집 51, 근역한문학회, 2018. | 미소장 |
26 | 김덕수, 「택당 이식의 한시론과 택풍당비해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 논문, 2007. | 미소장 |
27 | 김덕수, 「西陂 柳僖의 江西詩 학습과 한시 작법의 특징」, 한국실학연구 32, 한국실학학회, 2016. | 미소장 |
28 | 김병건, 「無名子 尹愭의 思想과 文學」, 성균관대 박사 논문, 2004. | 미소장 |
29 | 김상일, 「 영규율수 와 조선시대 수용의 의미」, 한국문학연구 23,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0. | 미소장 |
30 | 김진홍, 「艮翁 李獻慶의 生涯와 詩世界 硏究」, 고려대 석사 논문, 2007. | 미소장 |
31 | 남윤수, 「樗庵 申宅權의 生涯와 詩文」, 고서연구 22, 한국고서연구회, 2004. | 미소장 |
32 | 박혜숙, 「다산 정약용의 노년시」, 민족문학사연구 44, 민족문학사학회, 2010. | 미소장 |
33 | 박혜숙, 「매월당 김시습의 노년시」, 한문학논집 41, 근역한문학회, 2015. | 미소장 |
34 | 백승호, 「조선시대 영규율수 간행과 율수간오정선 」, 서지학보 30, 한국서지학회, 2006. | 미소장 |
35 | 안대회, 「18세기 후반 서울의 도시상과 尹愭의 시선」, 대동문화연구 89, 대동문화연구회, 2015. | 미소장 |
36 | 여운필, 「李獻慶의 삶과 詩」, 한국한시작가연구 17, 한국한시학회, 2013. | 미소장 |
37 | 이규필, 「無名子 尹愭의 의식 세계 고찰」, 대동한문학 36, 대동한문학회, 2012. | 미소장 |
38 | 이미진, 「朝鮮中期 雜體詩 創作에 대한 硏究」, 경북대 박사 논문, 2014. | 미소장 |
39 | 이새롬, 「睦萬中 노년기 시의 특징 소고」, 정신문화연구 37,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 미소장 |
40 | 이종묵, 「樗庵 申宅權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 17, 한국한시학회, 2013. | 미소장 |
41 | 이종묵, 「늙음에 대한 인식과 格物의 공부」, 한문학논집 44, 근역한문학회, 2016. | 미소장 |
42 | 이현일, 「 三溟詩話 로 본 18세기 漢詩史」, 고려대 민족문학사연구 27, 민족문학사연구소, 2005. | 미소장 |
43 | 장유승, 「17세기 古詩 硏究」, 한국학대학원 석사 논문, 2002. | 미소장 |
44 | 정호준, 「 영규율수 소재 두보 영물시 소고 -방회의 평어를 중심으로」, 중국연구42, 한국외국어대 중국연구소, 2008. | 미소장 |
45 | 최종호, 「남용만의 문학관과 시세계」, 동악어문학 38,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