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용비어천가>에 나타난 주체성 고찰 = A study on subjectivity manifested in <Yongbiuchunga> 박찬수 p.173-197

충남 금산지역의 비보설화 고찰 = A study on the story complemented the terrain in Geumsan area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박종익 p.151-171

정지용 문학에서의 '조선'이라는 기표의 의미 = The meaning of 'Chosun' as a signifiant in the literature of Jeong Ji-yong : focusing on 'travel essays' and 'hometown poetry' : '기행 산문'과 '고향 시편'을 중심으로 한주영 p.305-335

영화 <기생충> 연구 = A study on the film <Parasite> : impossibility of coexistence between classes reenacted by tragic comedy : 희비극으로 재현한 계급 공존의 불가능성 이다운 p.283-303

매체에서의 유행어 사용에 대한 국어 교육적 접근과 해석 = An usage of fashionable words in the media and its Korean educational approach and interpretation 강연임 p.337-365

이해인 시론(詩論)을 위한 시론(試論) = Trial to discuss poetics of Lee Hae-in 박종덕 p.257-282

해방 이후 하와이 한인의 국어학교 운동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school movement in Hawaii : focusing on the articles on the Korean National Herald between 1945 and 1960s : ≪國民報≫ 보도 기사를 중심으로 윤금선 p.367-403

북한의 띄어쓰기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word spacing in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linguistic norms and textbooks of Korean and grammar : 어문 규범과 국어·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송미영 p.5-38

수량어 '만큼' 구성의 의미 통사적 기능 연구 = A study on the meaning and the syntactic functions of quantifier 'mankum' 신혜선 p.39-71

<유광전>의 구성적 특징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Yugwangjeon and its meaning 차충환 p.231-256

연결어미 '-ㄴ달' 구문의 통시적 고찰 = A historical study on conjunctive ending '-ndʌl' 이금영 p.73-98

금강산의 사찰전승에서 聖의 引入과 俗의 배척 양상 = The story of Mt. Geumgang attracts sanctity and rejects insubordination : focusing on holy places : 聖境지향을 중심으로 김승호 p.99-121

<게우사>의 작중극(作中劇) 기법과 서사적 효용 = A study on the narrative utility of a play within a play in Gewoosa 김진영 p.123-149

18세기 한일 교류에서 雨森芳洲의 역할에 대한 일고찰 = The role of Amenori Hoshu(雨森芳洲) in Tongshinsa exchange 이효원 p.199-229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단국대 율곡기념도서관 소장본(42장본) <유씨전>. 미소장
2 단국대 율곡기념도서관 소장본(53장본) <이계룡전>. 미소장
3 단국대 율곡기념도서관 소장본 <저승전>. 미소장
4 <지선젼>의 짜임새와 의미 소고 네이버 미소장
5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 민음사, 2007. 미소장
6 김병국 교주·역, 구운몽 , 서울대출판문화원, 2009. 미소장
7 박용식 역주, 한국고전문학전집 16,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 미소장
8 박종수 편, 나손본필사본고소설자료총서 37권, 보경문화사, 1993. 미소장
9 인권환 외편, 한국고소설선 , 태학사, 1995. 미소장
10 임방 저, 정환국 역, 천예록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5. 미소장
11 곽정식, 「고소설에 나타난 冥府의 형상과 작중 역할」, 어문학 94, 한국어문학회, 2006, 175-200쪽. 미소장
12 곽정식, 「저승설화의 전승양상과 현실주의적 성격」, 어문학 101, 한국어문학회, 2008, 55-90쪽. 미소장
13 김기종, 「조선후기 문학작품의 지옥 형상화와 그 성격」, 동양고전연구 66, 동양고전학회, 2017, 129-162쪽. 미소장
14 김도환, 「<화옥쌍기>의 창작 경로와 소설사적 의의」, 우리어문연구 36, 우리어문학회, 2010, 63-94쪽. 미소장
15 김성철, 「고소설과 신소설의 혼종 양상과 담당층」, 우리어문연구 52, 우리어문학회, 2015, 229-260쪽. 미소장
16 김진영, 「<김용주전>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국학연구론총 11, 택민국학연구원, 2013, 1-39쪽. 미소장
17 박상석, 「짜깁기방식의 활판본 역사소설 연구」, 영주어문 20, 영주어문학회, 2010, 145-178쪽. 미소장
18 서신혜, 「<옥포동기완록>의 작품 창작 방식 연구-기존 작품을 재구성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31, 한국고소설학회, 2011, 245-271쪽. 미소장
19 소인호, 「새 자료 <백운전> 연구」, 우리문학연구 40, 우리문학회, 2013, 135-161쪽. 미소장
20 소인호, 「저승체험담의 서사문학적 전개-초기소설과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7, 우리문학회, 2009, 106쪽. 미소장
21 오인옥, 「<유광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미소장
22 이강옥, 「저승생환담의 서사적 특징과 죽음 명상 텍스트로서의 가능성」, 우리말글 63, 우리말글학회, 2014, 181-223쪽. 미소장
23 이민호, 「<三花奇緣> 연구-<홍백화전>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논문, 2016. 미소장
24 이영수, 「저승설화의 전승양상에 관한 연구」, 비교민속학 33, 비교민속학회, 2007, 535-574쪽. 미소장
25 정환국, 「17세기 이후 귀신이야기의 변모와 ‘저승’의 이미지-단편 서사류를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31, 한국고전문학회, 2007, 99-128쪽. 미소장
26 조동일,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 지식산업사, 1996. 미소장
27 조상우, 「<저승전> 연구」, 동양고전연구 14, 동양고전학회, 2000, 5-30쪽. 미소장
28 조재현, 「고전소설에 나타난 저승계 연구」, 어문연구 182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167-193쪽. 미소장
29 차충환, 「<효우창선록> 연구」, 고소설연구 44, 한국고소설학회, 2017, 265-299쪽. 미소장
30 한의숭, 「<지봉전>의 성격 재고」, 어문론총 72, 한국문학언어학회, 2017, 214-235쪽.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