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하이데거는 「사물」에서 인간의 사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이성적인 생명체는 우선 죽을 자들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하지만 이 주장은 이성적인 생명체는 불멸을 추구한다는 것을 전제하기에, 이상하게 들린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어떻게 위의 주장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하이데거의 논문인 「시에서의 언어: 게오르그 트라클의 시에 대한 논구」를 토대로 정신과 영혼의 관계를 논의할 것이다. 이와 함께 하이데거가 어떤 의미에서 정신과 영혼의 연관을 사유하는지에 대해 다룰 것이다. 우리의 논의의 핵심은 정신과 영혼의 관계에 관한 하이데거의 해석은 죽을 자들과 사방에 관한 사유와 관련이 있다는 데 있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간은 불멸을 추구하는 이성적인 생명체가 아닌 사멸하는 존재라는 것을 사람들은 받아들여야 한다. 인간의 사멸의 강조는 인간이 비로소 인간으로서 규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이데거는 「시에서의 언어」에서 사멸하는 영혼의 규정을 토대로 이 영혼을 지닌 새로운 “인간종족”과 새로운 이상적인 “저녁의 나라”를 사유하길 시도한다. 그에게 있어 이 저녁의 나라는 사방세계와 다르지 않다.
Im Aufsatz “Das Ding” erläutert Heidegger den Aspekt der Sterblichkeit des Menschen: “Die vernünftigen Lebewesen müssen erst zu Sterblichen werden.” Diese Behauptung klingt aber ungewöhnlich, weil sie sich ausschließlich unter der Bedingung aufstellen lässt, dass sich das vernünftige Lebewesen nach Unsterblichkeit sehnt.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wir uns ansehen, wie man die von ihm aufgestellte Behauptung verstehen kann. Dazu werden wir anhand von Heideggers Aufsatz “Die Sprache im Gedicht. Eine Erörterung von Georg Trakls Gedicht” das Verhältnis zwischen Geist und Seele erläutern. Dabei gilt es sichtbar zu machen, in welchem Sinne Heidegger dieses Verhältnis denkt. Der Kernpunkt unserer Auffassung liegt darin, dass seine Interpretation des Verhältnisses zwischen Geist und Seele im Zusammenhang mit dem Gedanken über die Sterblichen und das Geviert zu verstehen ist.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