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하이데거는 「사물」에서 인간의 사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이성적인 생명체는 우선 죽을 자들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하지만 이 주장은 이성적인 생명체는 불멸을 추구한다는 것을 전제하기에, 이상하게 들린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어떻게 위의 주장을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하이데거의 논문인 「시에서의 언어: 게오르그 트라클의 시에 대한 논구」를 토대로 정신과 영혼의 관계를 논의할 것이다. 이와 함께 하이데거가 어떤 의미에서 정신과 영혼의 연관을 사유하는지에 대해 다룰 것이다. 우리의 논의의 핵심은 정신과 영혼의 관계에 관한 하이데거의 해석은 죽을 자들과 사방에 관한 사유와 관련이 있다는 데 있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간은 불멸을 추구하는 이성적인 생명체가 아닌 사멸하는 존재라는 것을 사람들은 받아들여야 한다. 인간의 사멸의 강조는 인간이 비로소 인간으로서 규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이데거는 「시에서의 언어」에서 사멸하는 영혼의 규정을 토대로 이 영혼을 지닌 새로운 “인간종족”과 새로운 이상적인 “저녁의 나라”를 사유하길 시도한다. 그에게 있어 이 저녁의 나라는 사방세계와 다르지 않다.

Im Aufsatz “Das Ding” erläutert Heidegger den Aspekt der Sterblichkeit des Menschen: “Die vernünftigen Lebewesen müssen erst zu Sterblichen werden.” Diese Behauptung klingt aber ungewöhnlich, weil sie sich ausschließlich unter der Bedingung aufstellen lässt, dass sich das vernünftige Lebewesen nach Unsterblichkeit sehnt.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wir uns ansehen, wie man die von ihm aufgestellte Behauptung verstehen kann. Dazu werden wir anhand von Heideggers Aufsatz “Die Sprache im Gedicht. Eine Erörterung von Georg Trakls Gedicht” das Verhältnis zwischen Geist und Seele erläutern. Dabei gilt es sichtbar zu machen, in welchem Sinne Heidegger dieses Verhältnis denkt. Der Kernpunkt unserer Auffassung liegt darin, dass seine Interpretation des Verhältnisses zwischen Geist und Seele im Zusammenhang mit dem Gedanken über die Sterblichen und das Geviert zu verstehen ist.

Nach Heidegger muss man annehmen, dass der Mensch kein vernünftiges Lebewesen ist, das sich nach Unsterblichkeit sehnt, sondern sterblich ist. Die Betonung der Sterblichkeit des Menschen besagt, dass jeder Mensch erst als solcher bestimmt werden kann. Das ist nur möglich, insofern die Sterblichkeit im Menschen die Hoffnung darauf wecken kann, dass er ein Verständnis der Geviert-Welt zeigen kann. Im Trakl-Aufsatz versucht Heidegger folglich, aufgrund der Bestimmung der sterblichen Seele das neue “Menschengeschlecht”, das erst diese Seele hat, und sein neues, ideales “Abendland” zu denken. Dieses Abendland ist für ihn nichts anderes als die Geviert-Welt.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재철. 김동한. 「현존재에 대한 시적 해명-게오르크 트라클의 시에 대한 하이데거의 논구를 중심으로」. 「철학논총」. 제84집. 새한철학회. 2016. 미소장
2 데리다, 자크. 「정신에 대해서」. 박찬국 옮김. 동문선. 2005. 미소장
3 박유정. 「하이데거의 트라클 시에 대한 해석」.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32집. 한국현상학회. 2007. 미소장
4 최상욱. 「하이데거 존재사유의 구조적 내용에 대한 고찰-트라클 해석과 유비적으로」. 「하이데거 연구」. 제12집. 한국하이데거학회. 2005. 미소장
5 플라톤. 「플라톤의 네 대화편. 에우티프론・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파이돈」. 박종현 옮김. 서광사. 2003. 미소장
6 하이데거, 마르틴. 「존재와 시간」. 이기상 옮김. 까치. 1998. 미소장
7 하이데거, 마르틴. 「이정표 1・2」. 신상희・이선일 옮김. 한길사. 2005. 미소장
8 하이데거, 마르틴. 「횔덜린의 송가 〈이스터〉」. 최상욱 옮김. 동문선. 2005. 미소장
9 하이데거, 마르틴. 「강연과 논문」. 이기상・신상희・박찬국 옮김. 이학사. 2008. 미소장
10 하이데거, 마르틴. 「숲길」. 신상희 옮김. 나남. 2008. 미소장
11 하이데거, 마르틴. 「횔덜린의 송가 《게르마니엔》과 《라인 강》」. 최상욱 옮김. 서광사. 2009. 미소장
12 하이데거, 마르틴. 「언어로의 도상에서」. 신상희 옮김. 나남. 2012. 미소장
13 Appelhans, J., Martin Heideggers ungeschriebene Poetologie. Tübingen. 2002. 미소장
14 Brugger W. u. a.(hrsg.), Philosophisches Wörterbuch. Freiburg/München. 2010. 미소장
15 Heidegger, M., Vom Wesen der menschlichen Freiheit. Einleitung in die Philosophie. hrsg. v. H. Tietjen. Frankfurt/M. 1982. 미소장
16 Heidegger, M., Einführung in die Metaphysik. hrsg. v. P. Jaeger. Frankfurt/Main. 1983. 미소장
17 Heidegger, M., Unterwegs zur Sprache. hrsg. v. F.-W. von Herrmann. Frankfurt/Main. 1985. 미소장
18 Heidegger, M., Beiträge zur Philosophie. hrsg. v. F.-W. von Herrmann. Frankfurt/Main. 1989. 미소장
19 Heidegger, M., Reden und andere Zeugnisse eines Lebensweges. hrsg. v. H. Heidegger. Frankfurt/Main. 2000. 미소장
20 Kalogerakos, I. G., Seele und Unsterblichkeit. Stuttgart/Leipzig. 1996. 미소장
21 Klun, B., Metaphysikkritik und biblisches Erbe. Wien/Berlin. 2010. 미소장
22 Littek, G. S., Existenz als Differenz. Marburg. 1995. 미소장
23 Der Schmerz und das Christentum 네이버 미소장
24 Sembera, R., Unterwegs zum Abend-Lande. Freiburg. 2002. 미소장
25 Trawny, P., Heidegger und Hölderlin oder der europäische Morgen. Würzburg. 200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