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KOBACO) announced that 2018 consumer trends are ‘comfortable’ and ‘convenient’. These days, people seek for convenient services in their hectic daily routine, and the online to offline (O2O) services have met such consumer needs and wants. The O2O services have provided diverse reservation services such as delivery, transportation and accommodations by connecting the online and offline worlds. They are also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cosmetology industry by improving business systems for small salons and correcting problems such as ‘no show’. This study investigated if such interesting aspect of the O2O services can be expanded to other fields in cosmetology. For this, it has investigated the most famous O2O services in cosmetology – Kakao Hair Salon Booking, Naver Hair Salon Booking – and other services which are forming stable O2O market such as delivery/taxi reservation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it has analyzed the factors establishing such O2O service market in cosmetology in three aspects (economic aspect, market size, platform) and examined their growth potential.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뷰티산업에서의 Online to Offline (O2O) 서비스 확장 가능성 연구 = A study on the expansion possibility of online to offline (O2O) service in cosmetology industry 염나경, 전선영, 신규옥 p.49-61

헬스&뷰티 스토어의 소비성향이 제품선호도와 구매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nsumption propensities on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decision factors in health & beauty store 하종경 p.119-132

모낭충 관련 특허 동향 분석 = Analysis of the patent trends for demodex 김정원, 문재원 p.75-85

프로폴리스(Propolis)를 처방한 트리트먼트제가 손상모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propolis-treated hair conditoner on damaged hair 박미연, 이재남, 최원준 p.87-103

차크라 각성과 자율신경면역의 상관관계에 대한 문헌고찰 = A study of literature about correlation between chakra awakening and autonomic nervous immune system 정문성, 이거룡 p.193-206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를 응용한 네일 디자인 연구 = Analysis of vanitas art-based nail design 지승희, 도주연 p.207-217

성인 남·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두피 및 모발 손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average characteristics of hair and scalp damage in adult men and women 최지연, 박은준 p.39-47

1인 미용실 이미지가 고객 만족도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ingle-person beauty career 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한아름, 박은준 p.147-157

미용학원 수강생의 학원선택이 진로결정 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cademy selection 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smetology academy students 정지유, 이인희 p.219-236

중국 미용전공 대학생의 교육과정 및 교육만족도와 직무효능감 연구 = A study on curriculum,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job efficacy of Chines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전선영, 염나경, 신규옥 p.237-249

한국 단청무늬 중 꽃문양을 응용한 업스타일 디자인 연구 = A study of up-style design using Dancheong pattern from flower patten 박기원 p.279-290

추출방법에 따른 Neem의 항산화, 항균 활성 및 항염 효과 비교 = Comparison of antioxidant,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n neem(Azadirachta indica)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김미경 p.265-278

한국 전통 담장의 조형성을 모티브로 한 남성 헤어 타투 디자인 작품 연구 = Analysis of hair tattoos for men based on the formative features of Korean traditional fences 오명식, 이재숙 p.7-21

그라비올라 껍질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 A study on the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Annona Muricata bark extracts 김소은, 이인철 p.179-192

연령에 따른 항노화서비스의 필요성과 건강증진행위 수행도의 비교 = Comparison of the need for anti-aging services and the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age 허은실, 오윤경 p.251-264

피부미용사의 심리적 특성과 성과 간 인과적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estheticia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 moderate effects of NCS based job competencies :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른 직무능력의 조절효과 김신희 p.23-37

대학 교양 교과목으로서의 미용교육 교과모형개발 = Development of cosmetology course model as curriculum for general education : focusing on the use of organization of the NCS-based training course : NCS 기반 훈련과정편성 방법의 활용 전유진, 조현정 p.63-74

네일고객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가 네일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appearance interest on nail care behavior in nail salon customers 홍다검 p.105-118

스파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wareness and reality of spa 김유진, 김주덕, 한채정 p.133-145

뷰티산업 종사자의 성취목표지향성 및 뷰티산업 발전 가능성, 융복합산업 중요도, 개인역량 중요도 인식 간의 구조관계 연구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smetologists' perception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smetology industry growth potential & importance of convergence industry and importance of personal competency 김민정 p.159-178

참고문헌 (5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윤희.(2016). O2O 서비스 (Online to Offline)생활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20, pp.1-4. 미소장
2 The role of personality traits and perceived values in persuasion: A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perspective on online shopping 네이버 미소장
3 신승만, 노화봉, 박선영.(2015). 외식업 자영업자의 배달앱 서비스 이용실태 및 수수료의 적정수준에 대한 정책탐색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18(4), pp.41-50. 미소장
4 Pew Research Center.(2019). Smartphone Ownership Is Growing Rapidly Around the World, but Not Always Equally, http://www. pewglobal.org/2019/02/05/smartphone-ow nership-is-growing-rapidly-around-theworld-but-not-always-equally/, (자료검색일:2019.02.18). 미소장
5 김기만.(2018). 2018 소비자행태조사 보고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pp.1-180. 미소장
6 곽성문.(2017). 2017 소비자행태조사 보고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pp.1-143. 미소장
7 이상규, 이경원.(2016). 플랫폼의 O2O 서비스 경쟁과 이용자 후생. 산업조직연구, 24(3), pp.57-84. 미소장
8 임지선, 홍정의, 안소영.(2017). O2O 서비스의경제적 효과분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7(6), pp.121-145. 미소장
9 김동수, 김관호, 최동욱, 정재윤.(2016). 국내 O2O 서비스 이슈 진단 및 산업활성화 정책 방향 제안.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1(4), pp.137-150. 미소장
10 김대원.(2016). O2O 예약 체계의 ‘노쇼(No- Show)’방지 기능에 대한 수수료 지불의사. 정보사회와미디어, 17(3), pp.27-48. 미소장
11 김경인.(2018). 카오헤어의 O2O 서비스품질이사용자 만족과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2), pp.43-53. 미소장
12 A. Rampell.(2010). Why Online2Offline Commerce Is A Trillion Dollar Opportunity. Techcrunch, https://techcrunch.com/2010/08/07/why-o nline2offline-commerce-is-a-trillion-doll ar-opportunity/, (자료검색일: 2019.02.20). 미소장
13 H. Zhang.(2016). Research on the O2O Model of Consumer Behavior under the Perspectives of Culture and Values. DEStech Transactions on Social Science. Education and Human Science (isetem). 미소장
14 황지현.(2015). O2O 커머스를 넘어 On-Demand Economy로. 디지에코보고서. KT 경제경영연구소, p.9. 미소장
15 국립중앙박물관. O2O, https://smart.science.go. kr/science Subject/iot/view.action?menuCd=DOM_000000101001012000&subject_sid=1331, (자료검색일: 2019.02.20). 미소장
16 김재영, 박승봉.(2018). O2O 비즈니스 기회분석프레임워크 개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8(1), pp.157-172. 미소장
17 김진형, 김헌.(2018). O2O 서비스의 경험 가치요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1), pp. 155-167. 미소장
18 박진호.(2018). 카카오 ‘O2O’ 잘못된 선택이었나…가는 길마다 ‘골목상권’신음. 중소기업신문, http://www.smedaily.co.kr/news/articleView. html?idxno=78954, (자료검색일: 2019.03.19). 미소장
19 민혜정.(2019). O2O “큰 손된 1인 가구를 잡아라”. 아이뉴스 24, http://www.inews24.com/view/1156277, (자료검색일: 2019.03.18). 미소장
20 이지민.(2018). [유튜브 만난 O2O] 배달 ·숙박업체, 유튜브스타 손잡고 B급 감성 마케팅 ‘대박’. 이투데이,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41832, (자료검색일:2019.02.28). 미소장
21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https://www.work.go. kr/, (자료검색일: 2019.03.05). 미소장
22 공중위생관리법 시행령 제4조 <개정 2013.09.26., 2014.10.15.>, (자료검색일: 2019.03.05). 미소장
23 통계청.(2017). 2017 서비스업조사,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 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 =M_01_01#SelectStatsBoxDiv, (자료검색일: 2019. 03.05). 미소장
24 박경원, 노용진, 곽형심.(2016). 영세미용업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동조합 형태의 공동체 구축고용효과. 한국노동연구원, pp.9-17. 미소장
25 박정희.(2013). 미용 산업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5-30. 미소장
26 윤명순, 한필구.(2010). 미용서비스 소상공인의개인적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6(2), pp.384-395. 미소장
27 곽진만.(2017). 창업가 개인적 틍성 요인, 경영관리적 요인, 자본적 요인이 창업성과에 미치는영향 연구 – 미용서비스업 분야 소상공인지원정책의 개선방향 중심으로 -. 한밭대학교 대학원, pp. 18-21. 미소장
28 그라피.(2018). 2018년 카카오헤어샵 탄생 2주년보고서. https://1boon.daum.net/graphy/193(자료검색일: 2019.02.22.). 미소장
29 kakao.(2018). 카카오헤어샵, ‘기존 고객 재방문시 0%’ 신규 수수료 제도 도입, https://www. kakaocorp.com/kakao/prChannel/pressRele asesView?boardIdx=9794, (자료검색일: 2019. 03.04). 미소장
30 네이버 예약 공식 블로그.(2018). [예약 교육] 미용실 예약, 오프라인 교육 신청하세요!, https://blog.naver.com/n_bookingmt01/ 221316221272, (자료검색일: 2019.03.03). 미소장
31 한진주.(2018). 뷰티 예약 서비스 뛰어든 NHN엔터…카카오·네이버에 도전. 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12915263947165, (자료검색일: 2019.03.06). 미소장
32 김민수.(2018). 마사지 할인 정보 어플 하이타이, 캐릭터 출시 이벤트. 시사매거진, http://www. 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 idxno=135846, (자료검색일: 2019.03.06). 미소장
33 이예화.(2018). 베이스인베스트먼트가 첫 투자한네일아트 플랫폼. VENTURE SQUARE, http://www.venturesquare.net/763569, (자료검색일:2019.03.06). 미소장
34 이병준, 박미영.(2018). 온라인 검색광고 플랫폼과 소상공인의 보호. 유통법연구, 5(1), pp.93-135. 미소장
35 서근하, 윤성욱.(2002). 소상공인 창업성공 결정요인과 성과향상을 위한 탐색적 연구. 동아대학교경영대학 경영연구, 15, pp.19-40. 미소장
36 박성제.(2013). 우리나라 벤처기업 경쟁력은 세계최고 대비 ‘67점’. 연합뉴스, http://www.kiet. re.kr/kiet_web/main.jsp?sub_num=42&stat e=view&idx=43091, (자료검색일: 2019.02.22). 미소장
37 송연숙.(2008). 미용서비스업의 내부마케팅, 내부고객 만족, 서비스품질, 재방문의도의 관계.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2-18. 미소장
38 김연철.(2015). 치킨 프랜차이즈 배달앱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배제대학교 국제통상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1-41. 미소장
39 신다영, 정연자.(2015). 온라인 소통 인프라 구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6, pp.129-145. 미소장
40 시사경제용어사전.(2017). 노쇼(No-Show),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57078&cid=43665&categoryId=43665, (자료검색일:2019.02.22). 미소장
41 공정거래위원회.(2018).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 ·시행, http://www.ftc.go.kr/www/select ReportUserView.do?key=10&rpttype=1&rep ort_data_no=7690, (자료검색일: 2019.03.06). 미소장
42 공정거래위원회.(2018). 2018년 기준 가맹현황자료 발표, http://www.ftc.go.kr/www/select ReportUserView.do?key=10&rpttype=1&rep ort_data_no=8091, (자료검색일: 2019.03.06). 미소장
43 이승자, 박용.(2011). 여성의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와 피부인식 및 피부관리행동.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2, pp.101-112. 미소장
44 정진수.(2018). 크리에이터의 시대 2019 SNS 트렌드를 읽다. 서울: 천그루 숲, pp.64-65. 미소장
45 네이버.(2018). 2017년 NAVER 사업보고서. 미소장
46 김상태, 김남조.(2018).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적용한 관광분야 공유경제 플랫폼의 성장과정 분석-에어비앤비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2(3), pp.163-183. 미소장
47 전현모, 최형민.(2017). 모바일 배달앱 서비스에대한소비자 수용–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 (UTAUT2)을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3(1), pp.67-82. 미소장
48 조민지, 이영주.(2016). 카카오택시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불만족 요인이 서비스 지속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 연구, 17(3), pp.93-116. 미소장
49 안경민, 주재훈.(2017). 카카오택시의 O2O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7(3), pp.87-105. 미소장
50 김세미, 김태희, 최우석.(2011). 피부관리실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2, pp.215-22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