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과 성서번역 이후 독일문학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마다 위대한 종교문학을 탄생시켰으며, 독일문학은 성서의 기반위에서 탄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일 계몽주의 이후 18세기 클롭슈톡의 『메시아』를 비롯해 괴테의 『파우스트』, 횔덜린의 시, 19세기의 낭만주의 작품들을 걸쳐 20세기 릴케의 시, 토마스 만의 『요셉과 그의 형제들』은 성서적 모티브를 통해 새롭게 탄생된 작품들이다. 전후 서독의 하인리히 뵐의 『아담아, 너는 어디에 있느냐?』와 동독의 슈테판 하임의 『다윗 왕』, 페터 학스의 『아담과 이브』 역시 성서적 소재를 통해 히틀러의 파시즘과 동독의 전체주의에 항거하고 있다. ‘종교와 문학’에 대한 독일의 논의는 1980년대에야 비로소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84년 튀빙엔대학에서의 ‘신학과 문학. 20세기의 대화가능성과 한계들’이라는 주제로 문학인과 신학자들의 시대에 대한 진단과 반성, 책임을 토대로 문학과 신학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을 보였다. 튀빙엔에서의 심포지엄을 토대로 1980년대 후반부터 ‘문학과 종교’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척되었다. 또한 연구의 활성화는 독일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독일어권 문화에 해당하는 오스트리아에서도 확대되어 나갔다.

After the Reformation and the translation of the Bible by Luther in 1517, German literature has produced great religious literature through the ages,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German literature was born on the basis of the Bible. After the Enlightenment in Germany, Goethe’s Faust, the romantic works in the 19th century, Rilke’s poems in the 20th century, Joseph and his brothers by Thomas Mann are the works created from the motives of the Bible. The discussion of ‘religion and literature’ in Germany has been active as late as in the 1980s, which results from the distinct character restricts of German history. Based on the symposium in Tübingen, studies on ‘literature and religion’ have actively progressed since the late 1980s. In addition, beyond Germany active research was expanded to Austria in the 2000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움직이는 城』에 나타난 현대적 유랑 특성의 긍정성 고찰 = A study on the positiveness of modern drift traits in Moving Castle 강준수 p.1-32

『나를 보내지마』 = Never Let Me Go : post-truth, literature & the reflection of religious perspective : 탈진실, 문학 그리고 종교적 관점의 성찰 정신희, 한상수 p.341-353

『욥기』와 『바빌로니아 욥기』의 자연에 나타난 신 이미지 = Divine imagery in nature in the Book of Job and Babylonian Job 박춘식 p.127-146

사무엘 베케트의『고도를 기다리며』에 나타난 언어와 시공간의 고찰 = A study of language, time and space as reflected in Samuel Beckett's Waiting for Godot 신애경 p.199-214

세계화, 분자 파시즘(네오-파시즘)과 저항 = Globalization, molecular fascism (neo-fascism), and revolution : Félix Guattari and molecular revolution : 펠릭스 가타리와 분자 혁명 신명아 p.169-197

예이츠의 시에 나타난 성서적 인유 = The biblical allusions in Yeats's poems : "The Everlasting Voices" : 「영원한 음성」을 중심으로 유병구 p.245-263

허무주의, 초인사상, 정교사상의 중첩구조 = Accumulative structure of nihilism, superman theory, and orthodox principle : unfinalizability of resurrection in Crime and Punishment : 『죄와 벌』에 나타난 '부활'의 비종결성 이상룡 p.287-312

블레즈 파스칼의 내기 이론으로 읽는 피터 캐리의『오스카와 루신다』 = Peter Carey's Oscar and Lucinda in light of Blaise Pascal's wager : hiddenness of God and incompleteness of humans : 숨은 신과 인간의 불완전성의 문제 박선화 p.83-107

기형도 시의 '자기혐오'에 대한 존재론적 연구 = An ontological study on the self-hatred in Hyeong-do Ki's poetry : from the perspective of Levinas' ontology : 레비나스의 존재론의 관점을 중심으로 오주리 p.215-244

『불운한 쥬드』에 나타난 이상적 신의 부재와 비극에 작용하는 희극의 효과 = The absence of ideal God and comic effect on tragedy in Jude the Obscure 이관수 p.265-285

신의 섭리를 정당화하는 매개로 읽는 밀턴의『실낙원』에 나타난 이브의 꿈 = Reading Eve's dream with justifying the ways of God to men in Milton's Paradise Lost 김시현 p.33-51

'서자여사(逝者如斯)'의 대순사상적 해석 = Interpretation of 'Seoja-yeosa(逝者如斯)' from the view of Daesoon thought : 기성 해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영수 p.109-125

오늘날 이웃사랑은 어떻게 가능한가 = How is neighbor-love possible today : focusing on Slavoj Žižek's ethics of neighbor-love : 지젝의 이웃사랑의 윤리를 중심으로 마상룡 p.53-81

성경 속 자살을 부른 혐오 양태 = Aspects of disgust that triggers suicides in the Bible 장만식, 김병선 p.313-340

『루나사에서 춤을』에 나타난 종교적 제의와 수행성으로서의 몸 = Religious rituals and the body as theatrical performance in Dancing at Lughnasa 정윤길 p.355-374

독일문학과 성서 = German literature and the Bible : dialogue between literature and theology : 문학과 신학의 대화 송희영 p.147-168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uerochs, Bernd. Religio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Tübingen: Mohr Siebeck, 2002. Print. 미소장
2 Begrich, Gerhard. Schönheit gilt es zu schauen. Theologie und Poesie. Stuttgart:Radius, 2010. Print. 미소장
3 Brecht, Bertolt. Werke. Große kommentierte Frankfurter und Berliner Ausgabe. Frankfurt: Suhrkamp Verlag, 1988-1998, Bd.21. Print. 미소장
4 정경량. 헤르만 헤세의 문학과 종교연구 . 『문학과 종교』 18.2 (2013): 1-12. [Cheong, Kyung-Yang. “Hermann Hesse’s Literature and Religious Study.” Literature and Religion 18.2 (2013): 1-12. Print.]. 미소장
5 정경량. 헤르만 헤세의 상대주의적 종교관 . 『문학과 종교』 7.2 (2002): 85-102. [Cheong, Kyung-Yang. “Hermann Hesse‘s Relativistic Point of View in Religion.” Literature and Religion 7.2 (2002): 85-102. Print.] 미소장
6 진상범. 괴테 작품 『파우스트 1부』에 나타난 파우스트의 그레트헨과의 비극적 사랑을통한 고난의 여정과 구원의 탐색고찰 —엘리아데의 성년식의 이론의 관점에서 . 『문학과 종교』 20.2 (2015): 107-33. [Chin, Sang-bum. “A Study of Faust’s Suffering Journey through the Tragic Love with Gretchen and a Quest towards Redemption Appeared in Goethe’s Faust I —From the Perspective of Initiation by M. Eliade.” Literature and Religion 20.2 (2015): 107-33. Print.] 미소장
7 조두환. 릴케와 기독교 사상: 『신시집』에 나타난 성서적 모티브를 중심으로 . 『독일문학』 77 (2001): 101-29. [Cho, Doo-hwan. “Rilke und das christliche Gedankengut - in bezug auf die biblischen Motive in den Neuen Gedichten.” Koreanische Zeitschrift für Germanistik 77 (2001): 101-29. Print.] 미소장
8 Ebach, Jürgen. Bibel und Literatur. München: Kindler, 1995. Print. 미소장
9 Gössmann, Wilhelm. Welch ein Buch! Die Bibel als Weltliteratur. Stuttgart: Radius, 1991. Print. 미소장
10 Jens, Walter und Küng, Hans: Dichtung und Religion. Pascal, Gryphius, Lessing, Hölderlin, Novalis, Kierkegaard, Dostojewski, Kafka. München: Kindler, 1985. Print. 미소장
11 Jens, Walter und Küng. “Die bleibenden Aufgaben.” In: Walter Jens, Hans Küng und Karl-Josef Kuschel(Hrsg.). Theologie und Literatur. Zum Stand des Dialogs. München:Kindler, 1986, 264-65. Print. 미소장
12 정인모. 하인리히 뵐 작품에 나타나는 종교성- 『어릿광대의 고백』을 중심으로 . 『독일언어문학』 81 (2018): 65-81. [Jeong, In-mo. “Die Religiosität bei H. Böll.” Zeitschrift fü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81 (2018): 65-81. Print.] 미소장
13 발터 옌스·한스 큉. 문학과 종교, 멀리 떨어져서 . 『문학과 종교』. 김주연 옮김. 서울:문학과지성사, 2019. 438-48. [Walter Jens und Hans Küng. “Literature und Religion, weit weg.” Dichtung und Religion. Trans. Kim, Joo-youn. Seoul: Moonji, 2019, 438-48. Print.] 미소장
14 김경재. 폴 틸리히의 문화신학: ‘궁극적 관심’을 중심으로 . 『문학과 종교』 2 (2003): 1-16. [Kim, Kyung-jae. “Paul Tillich’s Theology of Culture with a Focus on ‘Ultimate Concern.’” Literature and Religion 8.2 (2003): 1-16. Print.] 미소장
15 김철자. 文學과 宗敎: 獨逸基督敎文學理論과 文學神學. 『서울大學校人文學硏究所』24 (1990): 95-114. [Kim, Tschol-za. “Literature und Religion. Theorie der deutschen christlichen Dichtung und Literaturtheologi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ies 24 (1990): 95-114. Print.]Kleffmann, Tom. Das Buch der Büucher. Seine Wirkungsgeschichte in der Literatur. Göttingen: Universitätsverlag Göttingen, 2004. Print. 미소장
16 고익환. 되블린의 서사시 『마나스』에 나타난 성서적 영향 . 『독일어문학』 3 (1995):21-37. [Ko, Ick-hwan. “Der biblische Einfluß in Alfred Döblins Epische Dichtung 『Manas』.”Deutsche sprach-und literaturwissenschaft 3 (1995): 21-37. Print.] 미소장
17 Kunz, Edith A. Goethe und die Bibel. Stuttgart: Radius, 2005. Print. 미소장
18 Kurz, Paul Konrad. “Theologie und Literatur: Kritische Anmerkungen.” Eds. Walter Jens, Hans Küng und Karl-Josef Kuschel(Hrsg.). Theologie und Literatur. Zum Stand des Dialogs. München: Kindler, 1986, 223-29. Print. 미소장
19 Langenhorst, Georg. “Theologie und Literatur 2001–eine Standortbestimmung.”Stimmen der Zeit 219 (2001): 121-32. Print.. 미소장
20 Langenhorst, Georg. Literarische Texte im Religionsunterricht. Freiburg: Herder, 2011. Print. 미소장
21 임영금. 폴 틸리히의 문화의 신학 . 『한국문화신학회 논문집』 13 (2009): 137-58. [Lim, Young-gum. “Paul Tillich's theology of culture.” Culture & Theology 13(2009): 137-58. Print.] 미소장
22 매택시스, 에릭. 『디트리히 본회퍼』. 김순현 옮김. 서울: 포이에마, 2011. [Metaxas, Eric. Bonhoeffer: Pastor, Martyr, Prophet, Spy. Trans. Sun-hyun Kim. Seoul: Poiema, 2011. Print.]Moses, Stephane. Spuren der Schrift. Von Goethe bis Celan. Frankfurt: Athenäum, 1987. Print. 미소장
23 박종소. 괴테의 『베르터』에 나타난 성서적 표현과 그 의미 —성서적 암시를 통해서 본베르터의 죽음 . 『독일문학』 117 (2011): 57-82. [Park, Chong-so. “Bibelsprache und deren Bedeutung in Goethes Werther —Werthers Tod anhand biblischer Anspielungen betrachtet.” Koreanische Zeitschrift für Germanistik 117 (2011): 57-82. Print.] 미소장
24 Rohse, Eberhard. Der frühe Brecht und die Bibel. Studien zum Augsburger Religionsunterricht und zu den literarischen Versuchen des Gymnasiasten.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83. Print. 미소장
25 Schirrmacher, Thomas. Hitlers Kriegsreligion. Die Verankerung der Weltanschauung Hitlers in seiner religiösen Begrifflichkeit und seinem Gottesbild. Band 1. Bonn: VKW, 2007. Print. 미소장
26 Schmidinger, Heinrich. Die Bibel in der deutschsprachigen Literatur des 20. Jahrhunderts, 2 Bde. Mainz: Matthias-Grünewald-Verlag, 1999. Print. 미소장
27 슈미트, 쿠어트 디트리히. 『교회사. 살아있는 역사』. 정병식 옮김. 서울: 성서와신학연구소, 2004. [Schmidt, Kurt Dietrich. Grundrib der Kirchengeschichte. Trans. Byung-sik Cheong. Seoul: Bible and Theology Institute, 2004. Print.] 미소장
28 서정일. 종교윤리의 미학적 수용과 문학적 재해석 -베르톨트 브레히트, 요하네스 보브롭스키, 슈테판 하임을 중심으로 . 『독일언어문학』 46 (2009): 289-311. [Seo, Jung-il. “Die ästhetische Rezeption und Literarische Interpretation der Religionsethik.” Zeitschrift fü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46 (2009):289-311. Print.] 미소장
29 송희영. ‘소돔 베를린'과 삶의 정체성을 찾아서-이반 골의 『소돔 베를린』을 중심으로 . 『뷔히너와 현대문학』 51 (2018): 157-76. [Song, Hi-young. “Sodom Berlin und die Suche nach der Identität.” Büchner und moderne Literatur 51 (2018): 157-76. Print.] 미소장
30 송희영. 전쟁과 인간, 전쟁의 잔혹성과 인간의 책임성 —하인리히 뵐의 『아담아, 너는어디에 있었느냐?』를 중심으로 . 『독일어문학』 26.2 (2018): 71-90. [Song, Hi-young. “Krieg und Mensch —Heinrich Bölls Wo warst du, Adam?” Deutsche sprach-und literaturwissenschaft 26.2 (2018): 71-90. Print.] 미소장
31 틸리히, 폴. 『문화신학』. 남성민 옮김. 서울: IVP, 2018. [Tillich, Paul. Theology of Culture. Trans. Sung-min Nam. Seoul: IVP, 2018. Print.]Tillich, Paul. Die religiöse Substanz der Kultur. Stuttgart: Evangelisches Verlagswerk, 1975. Print. 미소장
32 Tillich, Paul. “Über die Idee einer Theologie der Kultur.” Die religiöse Substanz der Kultur. Stuttgart: Evangelisches Verlagswerk, 1975, 13-31. Print. 미소장
33 유재덕. 『거침없이 빠져드는 기독교의 역사』. 서울: 브니엘, 2008. [Yu, Jae-deok. History of Christianity We Fall Unhesitatingly into. Seoul: Peniel, 2008. Print.] 미소장
34 발만, 요한네스. 『종교개혁 이후 독일교회사』. 오영옥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6. [Wallmann, Johannes. Kirchengeschichte Deutschlands seit der Reformation. Trans. Young-ock Oh. Seoul: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2006. Print.]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