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에도시대(江戸時代) 문학에 보이는 의약 학지(學知)의 모빌리티스(Mobilities) : 일본 드라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영란 p.3-19
유곽(遊廓)과 모빌리티 시스템 김진영 p.21-45
『源氏物語』宇治十帖と「あて」 : 「あて」なる人々とその特徴 尹勝玟 p.209-229
모빌리티로 본 미야모토 유리코문학의 재해석 김주영 p.277-294

귀환자가 표상하는 한·일 근대 소설의 특질 : 비교 연구 관점에서 : 감정 공유 공간으로서의 도쿄를 중심으로 조헌구 p.317-335
일본 의약품의 고 모빌리티 : 대중 의약 서적과 약 광고를 중심으로 김학순 p.47-65
일본 葬祭에 있어서 고양이에 관한 俗信 노성환 p.337-362

가부키(歌舞伎)의 공간성 : 꿈속 장면을 중심으로 편용우 p.67-84
<風神雷神もの>黄表紙と『御膳浅草法』 康志賢 p.231-256
문자/비문자 텍스트에 나타난 '젠더횡단'의 가능성 연구 : 2007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Ⅰ·Ⅱ』를 중심으로 이은주 p.295-316

日本語敎科書の意思疎通機能と日本文化に関する硏究 이경수 p.141-163
한국인 일본어 초급학습자의 일본어 파열음에 관한 연구 : 조음위치와 음성 환경을 중심으로 김윤영 p.85-103
日本語の様態の「そうだ」の使用実態について 金昌男 p.105-121
接触場面における成員カテゴリーの変容 :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と日本語母語話者の初対面会話から 松下由美子 p.165-185
『大和物語』126段「零落した筑紫の檜垣」攷 閔丙勲 p.187-208
근대 일본의 번역과 지나(支那)론 : 스에마쓰 겐초의 『일본문장론』을 중심으로 김성은 p.257-276
日本語と韓国語のフィラーの機能に関する研究 : 接触場面に着目して 朴成泰 p.123-139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성수(2012) 「신성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조선의 만병통치약-」 『인문논총』 제67집,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p.81, p.109. 미소장
2 이경록(2010), 「조선 세종대 향약 개발의 두 방향」 『태동고전연구』 제26집, 한림대학교태동고전연구소, pp.216-217. 미소장
3 貝原益軒著・伊藤友信訳(1982) 『養生訓』 講談社, p.25. 미소장
4 新村拓(2013) 『日本医療史』 吉川弘文館, pp.58-61. 미소장
5 神保五彌校注(1989) 『浮世風呂 戯場粋言幕の外 大千世界楽屋探』 岩波書店, p.251. 미소장
6 鈴木昶(2005) 『日本の伝承薬-江戸売薬から家庭薬まで-』 薬事日報社, pp.308-309. 미소장
7 宗田一(2001) 『日本の名薬』 八坂書房, p.25. 미소장
8 田代和生(1999) 『江戸時代 朝鮮薬材調査の研究』 慶應義塾大学出版会, pp.17-20, pp.23-24. 미소장
9 土岐隆信・木下浩 『備中売薬-岡山の置き薬-』 日本文教出版, p.16, p.21. 미소장
10 長友千代治(2002) 『江戸時代の図書流通』 思文閣出版 p.309. 미소장
11 花咲一男(1956) 『江戸売薬志』 近世風俗研究会, p.110. 미소장
12 水野稔編(2003) 『山東京傳全集』 第十七巻, ぺりかん社, p.297. 미소장
13 水巻中正(1991) 『くすりの文明誌』かんき出版, p.27. 미소장
14 ルネ・ファーブル/ジョルジュ・ディルマン著:奥田潤・奥田陸子訳(1994) 『薬学の歴史』 白水社, p p.117-118, pp.130-13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