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미용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work value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cision for student whose major is beauty / 이희아 ; 김수연 ; 이명주 1

[요약] 1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2

1. 직업가치 2

2. 진로결정 수준 2

3. 사회적 지지 2

III. 내용 및 방법 2

1. 연구대상 2

2. 조사도구 3

3. 자료 분석 방법 3

IV. 결과 및 고찰 3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치 3

3. 직업가치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3

4.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4

V. 결론 6

참고문헌 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체줄기세포배양액을 함유한 화장품의 제형에 따른 임상적 효용성 = Clinical effectiveness of cosmetics containing the human stem cell conditioned media in accordance with formulation 김현정, 정민숙 p.1027-1039

보기
헤어살롱의 서비스 품질과 이용만족의 관계에서 지각가치의 매개효과 = Effects of perceptual val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in hair salon 최정하, 장미여, 박은준 p.1221-1228

보기
저가헤어살롱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Quality of service for low-cost hair salons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development 성금주, 진용미 p.1086-1092

보기
장미 허브 (Plectranthus tomentosa)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의 주름 개선, 보습 및 피부 장벽 보호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 Skin anti-aging, moisturizing, and barrier protective effects of Plectranthus tomentosa : a comparative stud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박소은, 백명선, 양지혜 p.1061-1607

보기
지실 추출물과 Naringin의 주름 개선 효과 = Poncirustrifoliata immature fruit extract and anti-aging effect of naringin 박상희 p.999-1008

보기
미용종사자의 웰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wellness on the quality of life of beauticians 김경희, 윤영한, 박은준 p.1100-1108

보기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의 연관성 =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adolescents 김선형 p.1201-1211

보기
신체존중감, 신체왜곡 정도가 미용성형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body esteem and body distortion on attitudes to cosmetic surgery 안현경 p.1009-1019

보기
수소수 세안이 피부에 미치는 피부 개선 효과 연구 = Study on skin improvement effect of hydrogen water cleansing on skin 최인정, 강상모 p.1040-1053

보기
필링이 피부 각질 제거 및 스킨케어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peeling on skin exfoliation and skin care 박선위, 정홍자 p.1068-1077

보기
미용 직업능력개발 계좌제 교육만족도와 실무적합도가 미용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beauty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account system on career decision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ractical relevance 신정옥, 이재은, 전해정 p.1093-1099

보기
앙트러프러너십에 따른 뷰티행동 및 관리적·기술적 역량 연구 = Beauty behavior and managerial technological competence according to entrepreneurship : for beauty service workers : 미용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김세은, 오수연, 박철우 p.1131-1140

보기
소비자 의사결정유형이 화장품 광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nsumer decision making types on the admission behavior of cosmetics 박현아, 이인희 p.1141-1151

보기
미용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work value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cision for student whose major is beauty 이희아, 김수연, 이명주 p.1162-1168

보기
미용서비스 분야의 감정표현불능증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Associations between beauty service type and alexithymia among beauty workers 최예지, 정민수 p.1054-1060

보기
FDM 3D 프린팅을 활용한 아트메이크업의 아이 오브제 제작 기법 연구 = A study on the eye object fabrication technique of art make-up using FDM 3D printing 김보경, 최은미 p.1078-1085

보기
헤어미용 종사자의 위생관리행동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hygiene management behavior on health state in hair beauticians 나해윤, 김서희 p.1109-1118

보기
미용종사자의 삶의 만족도, 조직 내 친밀감, 장기근속의 관계 = The desirability of a hairdresser's life, the closeness of organization, the relationship of long-term service 임윤경, 조현진, 박은준 p.1020-1026

보기
여대생의 친환경 화장품 소비가치가 규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f eco-friendly cosmetics on norm in female college students 김희지, 이인희 p.1119-1130

보기
Relation between sensory analysis and efficacy evaluation of glycolic acid eye patch = 글릭콜릭산 아이패치의 효능과 관능 평가의 비교 Hye-yeon Yeo, Jeong-hee Kim p.1196-1200

보기
맞춤형 화장품과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제도에 관한 인식도 조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customized cosmetics and the system of preparation manager who dispense the customized cosmetics 최에스더 p.1229-1238

보기
미용관련 고등학생의 미용교육만족도가 직업 및 직무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beauty-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 on job and job-understanding in beauty-related high schools 김도희, 윤미영 p.1152-1161

보기
헤어크리에이티브 디자인 선의 흐름영역 및 컬의 형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rea and flow of curls shape of hair creative design line : based on points by design area : 디자인 영역별 포인트를 기준으로 이숙자, 나명석 p.1169-1185

보기
자수정 듀 온열요법이 20대 여성의 안면피부상태 개선효과 = Improvement effects of amethyst dew heat therapy on face skin conditions in women in their 20s 장신, 김경란 p.1186-1195

보기
20, 30대 중국 여성 관광객들의 화장 행동에 따른 한국 화장품의 구매 동기와 구매 만족도 = Purchase motivation for and purchase satisfaction with Korean cosmetics in Chinese female tourists in their 20s and 30s according to makeup behaviors 김미지 p.1212-1220

보기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명희, 강민정. (2015).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방법연구, 27(4), 489-510 미소장
2 강이영. (2008). 대학생의 자살 사례 연구. 생명연구, 10, 2-11 미소장
3 강종수. (2018).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수준이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9(2), 447-455 미소장
4 강차연, 박경. (2001). 대학생들의 애착과 진로발달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51-69 미소장
5 고향자. (1993).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 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2-114 미소장
6 김남이. (2011). 일반계 고등학생의 대뇌반구 특성과 직업흥미 및 직업가치와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0-51 미소장
7 김민정. (2018).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유형과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7-79 미소장
8 Career Counseling in Twenty - first Century 소장
9 김연수. (1995).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0-82 미소장
10 김유경, 전미애. (2014). 직업가치가 사회복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2, 79-102 미소장
11 김현주. (2007). 기혼여성의 직업가치가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6-57 미소장
12 나태균, 문성원. (2012). 외식조리 전공자가 인지한 교수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분석. 한국조리학회지, 18(2), 114 미소장
13 류진혜, 김태성. (1998).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 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6(1), 211-232 미소장
14 박동열, 김대영. (2006).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직업교육연구, 25(2), 1-32 미소장
15 박민아. (2002).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대처방식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34 미소장
16 박수길. (2001).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7 미소장
17 박은정, 오인하. (2015). 대학생의 진로선택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12(2), 21-46 미소장
18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14 미소장
19 박현주. (2007).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에 따른 직업정보요구도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4-67 미소장
20 양동은. (2012). 정보통신서비스 재직자의 직업가치가 개인-환경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미소장
21 유영란, 강명희. (2014).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 영향력,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2), 225-247 미소장
22 유영미, 문승태. (2005).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수준과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18(2), 1-19 미소장
23 이경민, 범철호. (2017). 골프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수준 간의 관계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3), 265-273 미소장
24 이선영. (2004).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6 미소장
25 이순희, 손은령. (2013). 대학생의 낙관성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4), 2525-2544 미소장
26 이연옥, 최보영. (2017). 대학생의 내·외적 직업가치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5(2), 185-201 미소장
27 윤지영. (2016).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32 미소장
28 손보영, 윤수란. (2018).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人間理解, 39(2), 149-166 미소장
29 신정옥. (2011).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적 관계. 교육연구, 19(2), 109-141 미소장
30 장연정. (2002).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53 미소장
31 전덕순. (2007). 재직자의 직업가치가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6-67 미소장
32 최옥현, 김봉환. (2007). 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8(3), 1064-1084 미소장
33 Ben-sham, I. and Avi-Itzhak, TE. (1991). On work values and career choice in freshmen students: The case of helping vs other professions. J. Vocat. Behav., 39(3), 369-379 미소장
34 Caplan, G. (1974). Support systems & community mental health:Lectures on concept development. New York: Behavioral Publications. 미소장
35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 Med., 38(5), 300-314 미소장
36 Cohen, S. and Hoberman, H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stress. J. Appl. Soc. Psychol., 13(2), 99-125 미소장
37 Toward a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네이버 미소장
38 Harren, V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 Vocat. Behav., 14(2), 119-133 미소장
39 Hoyt, KB. (1974). An introduction to career education. U. S. Office of Education Policy Paper. Washington, D C: The Office 미소장
40 Kahn, RL. and Antonucci, TC. (1980). Convoys over the life course:Attachment, roles, and social support.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Boston: Lexington Press. 미소장
41 Kluckhohn, C. (1951). Values and value-orientations in the theory of action. In T. Parsons & E.A.Shills (Eds.), Toward a general theory of actio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42 Nolten, PW.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UW-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미소장
43 Osipow, SH., Carney, CG., Winer, J., yanico, B., and Koschier, M. (1980). The Career Decision Scale (3rd rev.). Columbus, OH:Marathon Consulting and press 미소장
44 Super, DE. (1957).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Row 미소장
45 Super, DE. and Nevill, DD. (1970).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 Vocat. Behav., 16(3), 282-29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