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미용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work value and social support on career decision for student whose major is beauty / 이희아 ; 김수연 ; 이명주 1
[요약] 1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2
1. 직업가치 2
2. 진로결정 수준 2
3. 사회적 지지 2
III. 내용 및 방법 2
1. 연구대상 2
2. 조사도구 3
3. 자료 분석 방법 3
IV. 결과 및 고찰 3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치 3
3. 직업가치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3
4.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4
V. 결론 6
참고문헌 6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명희, 강민정. (2015).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방법연구, 27(4), 489-510 | 미소장 |
2 | 강이영. (2008). 대학생의 자살 사례 연구. 생명연구, 10, 2-11 | 미소장 |
3 | 강종수. (2018).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수준이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9(2), 447-455 | 미소장 |
4 | 강차연, 박경. (2001). 대학생들의 애착과 진로발달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51-69 | 미소장 |
5 | 고향자. (1993).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 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2-114 | 미소장 |
6 | 김남이. (2011). 일반계 고등학생의 대뇌반구 특성과 직업흥미 및 직업가치와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0-51 | 미소장 |
7 | 김민정. (2018).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유형과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7-79 | 미소장 |
8 | Career Counseling in Twenty - first Century | 소장 |
9 | 김연수. (1995).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0-82 | 미소장 |
10 | 김유경, 전미애. (2014). 직업가치가 사회복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2, 79-102 | 미소장 |
11 | 김현주. (2007). 기혼여성의 직업가치가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6-57 | 미소장 |
12 | 나태균, 문성원. (2012). 외식조리 전공자가 인지한 교수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분석. 한국조리학회지, 18(2), 114 | 미소장 |
13 | 류진혜, 김태성. (1998).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 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6(1), 211-232 | 미소장 |
14 | 박동열, 김대영. (2006).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실태. 직업교육연구, 25(2), 1-32 | 미소장 |
15 | 박민아. (2002).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대처방식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34 | 미소장 |
16 | 박수길. (2001).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7 | 미소장 |
17 | 박은정, 오인하. (2015). 대학생의 진로선택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12(2), 21-46 | 미소장 |
18 |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14 | 미소장 |
19 | 박현주. (2007).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에 따른 직업정보요구도 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4-67 | 미소장 |
20 | 양동은. (2012). 정보통신서비스 재직자의 직업가치가 개인-환경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 미소장 |
21 | 유영란, 강명희. (2014).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타인 영향력,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공학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5(2), 225-247 | 미소장 |
22 | 유영미, 문승태. (2005).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수준과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18(2), 1-19 | 미소장 |
23 | 이경민, 범철호. (2017). 골프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수준 간의 관계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3), 265-273 | 미소장 |
24 | 이선영. (2004).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6 | 미소장 |
25 | 이순희, 손은령. (2013). 대학생의 낙관성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4), 2525-2544 | 미소장 |
26 | 이연옥, 최보영. (2017). 대학생의 내·외적 직업가치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5(2), 185-201 | 미소장 |
27 | 윤지영. (2016).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32 | 미소장 |
28 | 손보영, 윤수란. (2018).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人間理解, 39(2), 149-166 | 미소장 |
29 | 신정옥. (2011).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적 관계. 교육연구, 19(2), 109-141 | 미소장 |
30 | 장연정. (2002).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53 | 미소장 |
31 | 전덕순. (2007). 재직자의 직업가치가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6-67 | 미소장 |
32 | 최옥현, 김봉환. (2007). 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8(3), 1064-1084 | 미소장 |
33 | Ben-sham, I. and Avi-Itzhak, TE. (1991). On work values and career choice in freshmen students: The case of helping vs other professions. J. Vocat. Behav., 39(3), 369-379 | 미소장 |
34 | Caplan, G. (1974). Support systems & community mental health:Lectures on concept development. New York: Behavioral Publications. | 미소장 |
35 |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 Med., 38(5), 300-314 | 미소장 |
36 | Cohen, S. and Hoberman, H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stress. J. Appl. Soc. Psychol., 13(2), 99-125 | 미소장 |
37 | Toward a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 |
미소장 |
38 | Harren, V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 Vocat. Behav., 14(2), 119-133 | 미소장 |
39 | Hoyt, KB. (1974). An introduction to career education. U. S. Office of Education Policy Paper. Washington, D C: The Office | 미소장 |
40 | Kahn, RL. and Antonucci, TC. (1980). Convoys over the life course:Attachment, roles, and social support.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Boston: Lexington Press. | 미소장 |
41 | Kluckhohn, C. (1951). Values and value-orientations in the theory of action. In T. Parsons & E.A.Shills (Eds.), Toward a general theory of actio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2 | Nolten, PW. (1994).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UW-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 미소장 |
43 | Osipow, SH., Carney, CG., Winer, J., yanico, B., and Koschier, M. (1980). The Career Decision Scale (3rd rev.). Columbus, OH:Marathon Consulting and press | 미소장 |
44 | Super, DE. (1957).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Row | 미소장 |
45 | Super, DE. and Nevill, DD. (1970).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 Vocat. Behav., 16(3), 282-29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