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에서는 먼저, 어휘(단어형)을 통사소를 분석하는 어휘주의적 관점에 기초하여, 명사구와 통합하는 ‘답다, 이다, 같다, 하다’를 의존용언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살폈다.

이렇게 보면, 의존용언은 동사구나 절을 논항으로 취하는 것과 ‘답다’ 부류와 같이 명사구를 논항으로 취하는 것의 두 종류로 분류된다. 두 종류의 의존용언은 부정 부사 ‘안’의 수식을 받을 수 없고, 그것들의 논항인 구를 삭제하면 비문이 되거나, 본래 가진 의미에서 꽤 멀어지게 되며, ‘V-기는 {V-다, 하다}’ 구성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N+답다’ 부류의 구성은 ‘답다’ 부류가 가진 [+의존]의 속성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접어화’로 설명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프라트(Praat)를 활용한 한국어 연구 동향 분석 = A study on trends analysis of Korean language using praat : 국어학, 한국어교육학, 대조언어학 분야를 대상으로 임현진, 이쌍, 이지은 p.229-263
한·터 증거성 표현 대조 연구 = A contrastive study on evidential expressions in Korean and Turkish 에브렌셀 펠린 에브림 p.265-286

갈래별 텍스트 다시쓰기 양상 고찰 = A study on aspects of rewriting by genre 서종훈 p.147-176

한국어 '것은' 분열문에 대한 이동 분석 = Movement analysis on Korean 'Kesun' cleft sentences 김석진 p.75-104

마음에 기반한 의미 연구의 흐름과 전망 = The flow and prospect of semantic research based on the mind 이동혁 p.105-145

한국어교육에서 지역 자료를 활용한 역사문화 교육 방안 = Teaching historical culture using local resour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Busan : 부산 지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차윤정 p.203-227

베트남인 학습자에 대한 한국어 폐찰음 인지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affricates by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박시균, 김지영 p.177-201

『훈민정음』의 각자병서자와 전탁음의 음가에 대한 재론 = A reconsideration of the phonetic value of the double consonantal letters(各自並書字) of the Hunminjeongeum and the Chinese voiced obstruent(全濁) 김유범, 고경재 p.5-45

-답/이/같/하다' 구성의 어휘주의적 분석 = The lexicalism-based analysis on the construction with '-dap/i/gatt/ha-' in Korean 최규수 p.47-74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창수(1992), 「국어의 통사적 어형성」, 국어학 22, 국어학회, 259-269. 미소장
2 김건희(2007), 「‘N 같다’, ‘N같다’에 대한 연구 - 합성어로서 사전에 등재해야 하는‘N같다’ 판별을 중심으로 -」, 국어학 50, 국어학회, 149-180. 미소장
3 김윤경(1948), 나라말본 , 역대한국문법대계 제1부 54책, 탑출판사 (역대 1-54). 미소장
4 김창섭(1996),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 국어학회. 미소장
5 김창섭(2011), 「부접어의 설정과 부접 구성」, 국어학 62, 국어학회, 47-72. 미소장
6 김창섭(2012), 「‘같다’의 의미와 기본 구문」, 진단학보 116, 진단학회, 217-239. 미소장
7 박동근(2000), 「한국어의 통사적 접사 설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말연구 7, 한말연구학회, 149-172. 미소장
8 핵이동과 '-이/답/히/같-'의 형태 ·통사론 네이버 미소장
9 시정곤(2005), 「‘이다' 구문과 통사적 접사설을 다시 논의함」, 한국어학 28, 한국어학회, 55-80. 미소장
10 안주호(2007), 「용언 "같-" 구문의 공시성과 통시성」, 새국어교육 77, 한국국어교육학회, 441-465. 미소장
11 이건수(2008), 「"이다"가 통사적 접사인가?」, 비교문화연구 12-2,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107-140. 미소장
12 이정훈(2006), 「파생접사 ‘-답-’의 통사적 파생」, 생성문법연구 16-3, 한국생성문법학회, 491-513. 미소장
13 정대식(2019), 「어휘주의에 기초한 ‘X하다’의 형태‧통사적 구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4 정렬모.(1946), 신편 고등국어문법 , 역대 1-25. 미소장
15 최규수.(2001), 「형식 품사의 형태 통어론적 지위에 관한 연구 - 접어로 분석하다 -」, 한글 252, 한글학회, 79-108. 미소장
16 최규수(2018), 한국어 형태론의 이해 , 도서출판 역락. 미소장
17 최현배(1978/1937), 우리말본 , 정음사. 미소장
18 황화상(2006), 「통사적 접사 설정의 제 문제」, 한국어학 28. 한국어학회, 269-294. 미소장
19 허웅(1983), 국어학 , 샘문화사. 미소장
20 Sadock, Jerrold M. 1991. Autolexical Syntax, Stanford: CSLI Publications. (최규수․권연진․서민정 옮김. 2009. 자율의미통사론. 한국문화사.) 미소장
21 Sag, Ivan A, Thomas Wasow, and Emily M. Bender. 2003. Syntactic Theory: A Formal Introduction, Stanford: CSLI Publicati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