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내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직업흥미검사 영역과 관련변인을 분석하고, 취업경험 유무, 특수학교의 직업교육·현장실습·취업직종에 대한 만족도 및 적합 직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는 데 있었다. 연구방법: 경기도내 4개 특수학교 전공과에 소속되어 있는 총 50명(남 33명, 여 17명)의 지적장애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검사도구로는 그림직업흥미검사(KEAD-PVIT)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관련변인을 살펴본 결과, 직업흥미 영역 중 세탁영역에서 학년 간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장애학생의 67%는 서비스 직종으로 취업하였으며, 취업경험이 없는 학생과의 비교에서는 직업흥미 영역에 따른 평균의 차이가 없었고, 학생의 만족도는 취업현장과 가까울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직업흥미 영역에서 학생 간 취업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점은 없었으나 직업교육의 만족도는 취업경험이 있는 학생이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직업흥미에 관한 선호직종의 일치도에서는 학생이 교사보다 선호직종에 대한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 등이 제안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발달장애인용 직업흥미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 Psychometric adequacy of the vocational interest tes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세진, 송승민, 박희찬 p.47-67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의사결정 참여도, 조직몰입, 업무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ssociations among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personnel 손인봉 p.149-174

경제활동 참여 고령장애인들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pect, self-efficienc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장애수용 및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성헌, 허준수 p.69-95

경기도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직업흥미와 직종선호도 = Vocational interest and vocational type preferenc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post-secondary special school 오동욱, 최국환 p.225-245

장애관련전문가 5가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분석 = An analysis of disability-related professionals' and general public's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유경, 박승희 p.121-147

발달장애인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장애 수용의 조절효과 = The moderating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김용탁, 전미리 p.25-46

사회적 지지가 장애인 노동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배병규, 이원익 p.201-224

장애인 고용서비스와 직업능력 판정도구에 대한 장애인과 전문가집단의 인식과 경험 =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areer support services and career evaluation based on career aptitude and ability battery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professionals 지은, 변민수, 이지연, 김주선, 송찬미 p.175-199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이동패턴 연구 = A study of mobility patterns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time dimension : 시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이유신 p.97-119

장애인의 여가활동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 Self-esteem as a mediator between leisure activity and subjective well-being :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희철, 이재호, 최인묵 p.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