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내 특수학교 전공과 학생의 직업흥미검사 영역과 관련변인을 분석하고, 취업경험 유무, 특수학교의 직업교육·현장실습·취업직종에 대한 만족도 및 적합 직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는 데 있었다. 연구방법: 경기도내 4개 특수학교 전공과에 소속되어 있는 총 50명(남 33명, 여 17명)의 지적장애 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검사도구로는 그림직업흥미검사(KEAD-PVIT)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관련변인을 살펴본 결과, 직업흥미 영역 중 세탁영역에서 학년 간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장애학생의 67%는 서비스 직종으로 취업하였으며, 취업경험이 없는 학생과의 비교에서는 직업흥미 영역에 따른 평균의 차이가 없었고, 학생의 만족도는 취업현장과 가까울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직업흥미 영역에서 학생 간 취업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점은 없었으나 직업교육의 만족도는 취업경험이 있는 학생이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직업흥미에 관한 선호직종의 일치도에서는 학생이 교사보다 선호직종에 대한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 등이 제안되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