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미나토 가나에(湊かなえ)의 『속죄(贖罪)』(2009)는 데뷔작 『고백』(2008)처럼 각 장마다 등장인물의 독백을 통해 살인사건을 재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사구조는 작품의 미스터리적 요소를 살리기에 충분한 재미와 상상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각자의 내러티브가 한 살인사건의 퍼즐을 맞추는데 개연성을 부여할지는 모르나, 그 이전에 그들이 그럴 수밖에 없었던 개연성 혹은 필연성을 설득하기에는 표면적 이해밖에 할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고는 등장인물의 내러티브, 특히 네 소녀들의 독백의 외연에 존재하는 시골 ‘마을’이라는 장소성(그리고 비장소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장소성 분석이야말로, 네 소녀들의 ‘속죄’에 내재된 살인사건을 비롯하여 앞으로 네 소녀들이 저지른 범죄 원인을 유추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여기서 장소성이란 인간이 장소를 경험하면서 특정 의미를 갖게 되거나 부여된 인식 환경을 갖는 장소적 특징이며, 만일 도시화에 따른 비장소성이 일어날 경우 다른 장소와의 구별이 되지 않는 균질화 혹은 획일화 현상은 물론 그 안에서 생활을 영위하는 인간 또한 자신들의 고유한 정체성이 해체되고 만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도시화로 인한 비장소성은 그 익명성으로 도시 특유의 도시형 범죄가 발생하기도 한다.
작품 『속죄』에 나타난 시골 마을의 비장소성은 도시화로 인해 변해가는 개인의 모습을 통해, 현대 일본 지역 사회의 문제점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는 점에서 추리 소설 이상의 의의와 가치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석환・황기원(1997)「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국토계획」 32(5),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25-179 | 미소장 |
2 | 어정연・여홍구(2010)「장소개념에서의 장소가치에 대한 논의」「국토계획」45(6),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25 | 미소장 |
3 | 마루타 하지메, 박화리・윤상현 역(2011)「‘장소’론」심산출판사, pp.36-115 | 미소장 |
4 |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 외 옮김(2016)「장소와 장소상실」논형, pp.28-109 | 미소장 |
5 | 三浦展(2004)「ファスト風土化する日本」洋泉社, pp.3-5 | 미소장 |
6 | 湊かなえ(2009)「贖罪」東京創元社 | 미소장 |
7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6628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