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프로그램 내·외 광고와 네거티브(Negative) 규제 중심 방송광고 제도 개선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broadcasting advertisement system focusing on internal & external program advertisement and negative regulatory principle / 홍문기 1
[요약] 1
1. 문제의 제기 2
2. 문헌고찰 5
1) 방송광고 규제체계 5
2) 비대칭규제 9
3) 신 유형 광고 도입 10
3. 연구문제 12
4. 연구결과 14
1) 연구문제 1 14
2) 연구문제 2 17
3) 연구문제 3 24
5. 결론 및 논의 29
참고문헌 32
Abstract 34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신규 (2019). 디지털 미디어 시대: 방송광고 가치의 재구성. <방송문화>, 9월호,48-63. | 미소장 |
2 | 강준석, 김호정 (2018). <중장기 방송광고 규제체계 개편 및 관련 법령 개선방안연구>. 진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미소장 |
3 | 공정거래위원회 (2016). <2016년 공정거래백서>. 공정거래위원회. | 미소장 |
4 | 김상훈, 박현수 (2002). 방송광고 운영제도 개선을 위한 총량제와 중간광고의활용. <광고학연구>, 제13권 5호, 137-158. | 미소장 |
5 | 김재영, 강한나 (2007). 매체균형발전과 지상파 역차별의 실체.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8권 2호, 59-79. | 미소장 |
6 | 김준교, 정재하, 문철수, 김효규, 박상호 (2012). <간접광고 실태 및 대응방안연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 미소장 |
7 | 문화체육관광부 (2017). <2016 광고산업통계조사>. 문화체육관광부. | 미소장 |
8 | 박규장, 최세경 (2008). 한국방송정책으로서 매체균형발전론에 대한 평가. <한국방송학보>, 제22권 4호, 49-91 | 미소장 |
9 | 박창희 (2003). 매체 간 균형발전을 위한 지상파방송의 산파적 역할: 지상파방송뉴미디어 참여. <방송연구>, 겨울호, 7-31. | 미소장 |
10 | 방송통신위원회 (2016). <2016년 방송산업 실태조사결과보고서>. 방송통신위원회. | 미소장 |
11 | 방송통신위원회 (2016). <2016년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방송통신위원회. | 미소장 |
12 | 방송통신위원회 (2019). <2018년도 방송사업자재산상황공표집>. 방송통신위원회. | 미소장 |
13 | 서범석, 권호영, 문철수, 박원기, 황근 (2008). 방송재원으로서 중간광고, 간접광고 그리고 총량제 도입의 현실과 한계.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보고서>. | 미소장 |
14 | 서범석, 양병화 (2001). 방송광고총량규제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2권5호, 31-56. | 미소장 |
15 | 손승혜 (2010). DMB 사례를 통해 본 방송통신 융합시장의 비대칭규제 정책. <방송통신연구>, 제71권, 42-71. | 미소장 |
16 | 심영섭 (2019). 철학과 전략의 공유, <방송문화>, 3월호, 136-155. | 미소장 |
17 | 이규완, 박원기 (2004). 지상파TV의 중간광고 재도입시 광고시청량 변화에 관한예측. <광고학연구>, 제15권 3호, 113-133. | 미소장 |
18 | 이수범 (2013). 드라마 간접광고의 시청권 침해. <신문과방송>, 5월호, 41-44. | 미소장 |
19 | 이수범, 이희복, 신명희 (2013). 가상광고의 노출횟수 및 수용자 속성에 따른광고효과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권 1호, 77-107 | 미소장 |
20 | 이시훈 (2014). 외국 지상파방송 광고제도 현황과 함의. <한국광고홍보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발제문>. | 미소장 |
21 | 이희복, 이수범, 신명희, 임정수 (2011). 간접광고 시행에 대한 지상파방송사와독립제작사의 인식 연구. <한국방송학보>, 25권 1호, 205-241. | 미소장 |
22 | 조성동 (2015). 현행 방송광고 관련 규제에 대한 문제점과 현실화 방안: 방송법 시행령 광고제도 개정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2015한국광고홍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규제 현실화 방안 모색>, 442-467 | 미소장 |
23 | 최우정 (2007). 디지털시대에 있어서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저작권과 헌법적인문제점. <공법학연구>, 8권 3호, 347-370. | 미소장 |
24 | 최종선 (2018). 방송광고 규제완화에 따른 법제도적 쟁점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26권 제2호, 151-182. | 미소장 |
25 | 한규훈, 문장호 (2015). 국내 간접광고 규제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해외의간접광고 규제 사례 분석을 토대로. <광고연구>, 104권, 109-146. | 미소장 |
26 | 홍문기 (2017). 지상파방송광고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중간광고 없는 방송광고총량제의 한계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8권 1호, 41-77. | 미소장 |
27 | 홍원식, 이시훈, 윤여준 (2016). <지상파 중간광고의 타당성 검토 연구: 경제적효과 분석 및 광고주·이용자 인식조사>. 방송협회 연구보고서 16-05. | 미소장 |
28 | 황태희 (2011). 네거티브 규제와 규제 방식의 개선. <성신법학>, 10권 2호, 81-10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