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프로그램 내·외 광고와 네거티브(Negative) 규제 중심 방송광고 제도 개선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broadcasting advertisement system focusing on internal & external program advertisement and negative regulatory principle / 홍문기 1

[요약] 1

1. 문제의 제기 2

2. 문헌고찰 5

1) 방송광고 규제체계 5

2) 비대칭규제 9

3) 신 유형 광고 도입 10

3. 연구문제 12

4. 연구결과 14

1) 연구문제 1 14

2) 연구문제 2 17

3) 연구문제 3 24

5. 결론 및 논의 29

참고문헌 32

Abstract 3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위기책임성 귀인과 친사회적 행동 경향이 재해구호 성금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isk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likelihood of pro-social behaviors on intention to donate to disaster relief funds 최미현, 박남기 p.7-49

보기
프로그램 내·외 광고와 네거티브(Negative) 규제 중심 방송광고 제도 개선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broadcasting advertisement system focusing on internal & external program advertisement and negative regulatory principle 홍문기 p.325-359

보기
성격 5요인 및 미디어 의존도가 이용 동기, 이용 행위, 이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big five personality and media dependency on motiv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 focused on social viewing experience : 소셜 시청 경험자를 중심으로 김민선, 남윤재 p.191-229

보기
성인지 감수성 책무에 따른 자율규제 방안 = Self-regulation measures reflecting gender sensitivity : focusing on establishment of public broadcasting's guidelines for broadcast performers involved in sexually committed offense : 공영방송의 성범죄 연루 출연자 가이드라인 제정을 중심으로 강영희, 홍숙영 p.261-287

보기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기본심리욕구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 효과 Myung Soon Kwon, Dong Jin Park, Jounghwa Choi p.231-260

보기
인간의 기본 감정에 따른 어조 탐색과 스펙트럼 분석 = Exploring the tones of human basic emotions and analyzing the spectrum of each tone 최지원, 김지아, 정영주, 허경호 p.121-157

보기
What are the motives and consequences of binge watching? = 몰아보기의 동기와 결과는 무엇인가? Yoori Hwang, Se-Hoon Jeong p.159-190

보기
보도자료 기사화 과정의 영향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action factors of press release editorial process : 군(軍) 관련 보도자료의 구성-배포-매체 단계별 요인을 중심으로 전미영, 박재영 p.51-84

보기
내러티브 범죄 보도가 청소년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narrative style of crime reporting on the perception of adolescents 김윤종, 문안나 p.85-120

보기
탐사보도 이용과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usag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investigative news : focusing on use motive, evaluation of quality and social role, and political efficacy : 이용동기, 품질 및 사회적 역할 평가, 정치효능감을 중심으로 오대영, 남재일 p.290-324

보기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신규 (2019). 디지털 미디어 시대: 방송광고 가치의 재구성. <방송문화>, 9월호,48-63. 미소장
2 강준석, 김호정 (2018). <중장기 방송광고 규제체계 개편 및 관련 법령 개선방안연구>. 진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소장
3 공정거래위원회 (2016). <2016년 공정거래백서>. 공정거래위원회. 미소장
4 김상훈, 박현수 (2002). 방송광고 운영제도 개선을 위한 총량제와 중간광고의활용. <광고학연구>, 제13권 5호, 137-158. 미소장
5 김재영, 강한나 (2007). 매체균형발전과 지상파 역차별의 실체.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8권 2호, 59-79. 미소장
6 김준교, 정재하, 문철수, 김효규, 박상호 (2012). <간접광고 실태 및 대응방안연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미소장
7 문화체육관광부 (2017). <2016 광고산업통계조사>. 문화체육관광부. 미소장
8 박규장, 최세경 (2008). 한국방송정책으로서 매체균형발전론에 대한 평가. <한국방송학보>, 제22권 4호, 49-91 미소장
9 박창희 (2003). 매체 간 균형발전을 위한 지상파방송의 산파적 역할: 지상파방송뉴미디어 참여. <방송연구>, 겨울호, 7-31. 미소장
10 방송통신위원회 (2016). <2016년 방송산업 실태조사결과보고서>. 방송통신위원회. 미소장
11 방송통신위원회 (2016). <2016년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방송통신위원회. 미소장
12 방송통신위원회 (2019). <2018년도 방송사업자재산상황공표집>. 방송통신위원회. 미소장
13 서범석, 권호영, 문철수, 박원기, 황근 (2008). 방송재원으로서 중간광고, 간접광고 그리고 총량제 도입의 현실과 한계.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보고서>. 미소장
14 서범석, 양병화 (2001). 방송광고총량규제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2권5호, 31-56. 미소장
15 손승혜 (2010). DMB 사례를 통해 본 방송통신 융합시장의 비대칭규제 정책. <방송통신연구>, 제71권, 42-71. 미소장
16 심영섭 (2019). 철학과 전략의 공유, <방송문화>, 3월호, 136-155. 미소장
17 이규완, 박원기 (2004). 지상파TV의 중간광고 재도입시 광고시청량 변화에 관한예측. <광고학연구>, 제15권 3호, 113-133. 미소장
18 이수범 (2013). 드라마 간접광고의 시청권 침해. <신문과방송>, 5월호, 41-44. 미소장
19 이수범, 이희복, 신명희 (2013). 가상광고의 노출횟수 및 수용자 속성에 따른광고효과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권 1호, 77-107 미소장
20 이시훈 (2014). 외국 지상파방송 광고제도 현황과 함의. <한국광고홍보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발제문>. 미소장
21 이희복, 이수범, 신명희, 임정수 (2011). 간접광고 시행에 대한 지상파방송사와독립제작사의 인식 연구. <한국방송학보>, 25권 1호, 205-241. 미소장
22 조성동 (2015). 현행 방송광고 관련 규제에 대한 문제점과 현실화 방안: 방송법 시행령 광고제도 개정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2015한국광고홍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규제 현실화 방안 모색>, 442-467 미소장
23 최우정 (2007). 디지털시대에 있어서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저작권과 헌법적인문제점. <공법학연구>, 8권 3호, 347-370. 미소장
24 최종선 (2018). 방송광고 규제완화에 따른 법제도적 쟁점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26권 제2호, 151-182. 미소장
25 한규훈, 문장호 (2015). 국내 간접광고 규제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해외의간접광고 규제 사례 분석을 토대로. <광고연구>, 104권, 109-146. 미소장
26 홍문기 (2017). 지상파방송광고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중간광고 없는 방송광고총량제의 한계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8권 1호, 41-77. 미소장
27 홍원식, 이시훈, 윤여준 (2016). <지상파 중간광고의 타당성 검토 연구: 경제적효과 분석 및 광고주·이용자 인식조사>. 방송협회 연구보고서 16-05. 미소장
28 황태희 (2011). 네거티브 규제와 규제 방식의 개선. <성신법학>, 10권 2호, 81-10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