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가와지1호’는 경기도 북부지역에서도 안정적 재배가 가능한 중간찰 벼 품종개발을 목표로 2004년에 중간찰벼인 ‘백진주’를 모본으로 도열병과 도복에 강한 ‘상미’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2016년 12월 경기도농업기술원 직무발명 심의회에서 조생종으로 도복에 강하며 경기북부지역 재배에 적합한 품종으로 인정되어 ‘가와지1호’로 명명하였고 벼 신품종으로 선정되었다. ‘가와지1호’의 출수기는 8월 4일로 ‘백진주’보다 15일 정도 빠른 조생종으로 간장은 67 cm, 이삭길이는 20 cm로 ‘백진주’보다 약간 짧고, 주당수수는 15개로 비슷하다. 현미천립중은 19.3 g으로 ‘백진주’보다 2.3 g 가벼운 소립종이다. 수당립수는 104개로 ‘백진주’보다 15개 작고, 등숙률은 88.9%로 비슷하였다. 입형은 현미장폭비가 1.86로 단원형이며, 쌀이 불투명한 백색으로 단백질함량은 6.3%, 아밀로스함량은 8.2%로 중간찰이며, 알칼리 붕괴도는 4.0으로 ‘백진주’보다 2.0 낮았다. 제현율과 도정율은 ‘백진주’보다 높고 동할립율, 미숙립율이 ‘백진주’보다 적어 백미 완전미율이 높았으며 지역적응시험 중북부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쌀 수량이 4.99 MT/ha으로 ‘백진주’ 대비 90% 수준이다. ‘가와지1호’는 조생종으로 추석에도 수확이 가능한 중간찰벼로 경기지역 북부지역 재배에 적합한 품종이다.

‘Gawagi1’ is an early maturing, low amylose rice variety with a medium to short culm, developed by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Hwaseong, Korea in 2016. ‘Gawagi1’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Baegjinju’ and ‘Sangmibyeo’ in 2004. Heading date was 4th of August 15 day earlier than ‘Baegjinju’ in Gyeonggido. The culm length was 67 cm. It had 15 panicles per hill and 104 spikelets per panicle. It is a medium-grain variety whose 1,000 grains weight of brown rice is 19.3 g. The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was 6.3%,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Baegjinju’ and its amylose content was 8.2% which is lower than that of ‘Baegjinju’. Its milling ratio is 75.5%,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Baegjinju’. The yield of milled rice was 4.99 MT/ha under the standard cultivation practices at the local adaptability tests in 3 regions from 2014 to 2016. ‘Gawagi1’ is highly adaptable to Gyeonggido, especially to the northern region of Han Rive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방사선 유도 내염성 증진 사료용 옥수수 돌연변이체 특성 분석 = Characterization of gamma-radiation induced salt-tolerant silage maize mutant 조철오, 김경화, 최만수, 전재범, 서미숙, 정남희, 진민아, 손범영, 김둘이 p.318-325
도열병 내구 저항성 자포니카 벼품종 팔공의 저항성 관련 유전좌위 분석 = Molecular mapping of the blast resistance loci in the durable resistance japonica rice cultivar Palgong 백만기, 조영찬, 박현수, 정종민, 김우재, 남정권, 김춘송, 권순욱, 김보경 p.395-403
국내 재래종 벼 유전자원의 중배축 신장 특성 평가 = Evaluation of mesocotyl elongation ability of Korean rice landrace (Oryza sativa L.) 박소연, 장성규, 이주현, 권순욱 p.351-356
근적외선분광분석에 의한 육성계통 벼 유전자원의 아밀로스 및 단백질 성분함량에 관한 통계분석 = Statistical analysis of amylose and protein content in breeding line rice germplasm collected from East Asian countries based on near-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오세종, 최유미, 윤혜명, 이명철, 신명재, 유은애, 현도윤, 채병수 p.298-317
국내 고추 품종 간 대사산물 함량과 항산화 활성 비교 = Comparison of metabolite levels and antioxidant activity among pepper cultivars 이태규, 박예리, 최익영, 박남일 p.326-340
국내 일대잡종 수수 품종개발을 위한 잡종강세 및 조합능력 검정 = Heterosis and combining ability of F₁ hybrid grain sorghum in Korea (Sorghum bicolor L.) 최명은, 곽도연, 고지연, 송석보, 한상익, 추지호 p.367-375
국내 장수형 밀 계통을 이용한 수량 관련 양적 형질 유전자좌 분석 = Mapping of QTL for yield traits in recombinant inbred lines derived from Korean wheat with long spike length 강성욱, 김경민, 강택규, 강천식, 전재범, 박철수, 조성우 p.376-385
미국 USDA에서 도입한 수박 유전자원의 특성 = Characterization of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accessions introduced from USDA 이경준, 이정로, 조규택, 신명재, 김성훈, 이수경, 한세희, 현도윤 p.357-366
벼줄무늬잎마름병 신규 저항성 보유 유전자원 탐색 = Identification of germplasm harboring novel gene against rice stripe virus resistance 이샛별, 허연재, 조준현, 이지윤, 권영호, 조수민, 신동진, 이종희, 김태헌, 강주원, 박노봉, 송유천, 고종민, 박동수 p.285-289
Agrobacterium을 이용한 제초제 저항성 옥수수 형질전환체 생산 = Production of transgenic maize plants with herbicide resistance through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홍준기, 이강섭, 박기진, 김주곤, 장희정, 서은정, 김경환, 이연희 p.290-297
국내 육성 품종별 숙지황의 품질 특성 =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pared rehmannia root with 4 domestic cultivars 김예진, 한신희, 마경호, 홍충의, 한종원, 이상훈, 장재기, 이준수, 정헌상 p.386-394
한아름2호 × 운광 재조합 집단을 이용한 수량 관련 형질 QTLs 분석 = QTL analysis of yield traits using Hanareum2/Unkwang recombinant inbred lines 이지윤, 강주원, 조준현, 이종희, 여운상, 송유천, 박동수, 고종민 p.404-414
이질배수성 게놈 돌산갓의 복이배체(4n) 식물 생산 = Insight on doubled haploid production with an amphidiploid species 'Dolsangat' in Brassica Juncea 김정선, 서미숙, 문미선, 원소윤, 권수진 p.341-350
고착협 내탈립 기계수확 적응 장류⋅두부용 콩 품종 '새금' = Adaptability of the high first pod height, shattering-resistant soybean cultivar 'Saegeum' to mechanized harvesting 김현태, 한원영, 이병원, 고종민, 이영훈, 백인열, 윤홍태, 하태정, 최만수, 강범규 [외] p.496-503

내도복 복합내병 최고품질 중만생 벼 '예찬' = High grain quality mid-late maturing rice cultivar 'Yechan' with lodging tolerance and multiple disease resistance 백만기, 박현수, 남정권, 조영찬, 김기영, 김정주, 김우재, 신운철, 정지웅, 김춘송 [외] p.504-514

중생 고품질 내병 다수성 벼 '영보(嶺寶)' = 'Yeongbo', a disease-resistant rice variety with good quality and medium growth duration 박노봉, 김상열, 여운상, 김정일, 이지윤, 권오덕, 박동수, 이종희, 조준현, 송유천, 오성환, 손영보, 장재기, 남민희 p.440-447

쓰러짐에 강하고 수량성이 우수한 팥 품종 '홍진' = A small redbean cultivar 'Hongjin' with lodging tolerance and high yield 송석보, 고지연, 우관식, 최명은, 추지호, 하태정, 한상익, 곽도연 p.523-528

단경 노랑 종피 녹두 품종 '진황' = A new mungbean cultivar, 'Jinhwang', with a short stem and yellow seed coat 김동관, 최진경, 김선곤, 이경동, 서민정, 강범규 p.428-433

기계수확용 다수성 조생 수수 '청풍' = "Cheongpung" : early maturing sorghum (Sorghum bicolar L.) variety with high yield and machine harvesting-adaptability 윤건식, 이재웅, 황세구, 김익제, 홍성택, 최명은, 최규환, 김용순, 김홍식 p.434-439

조생 중산간지 적응 복합내병성 고품질 벼 '성산' = 'Seongsan', an early maturing multi-resistant rice with good grain quality and high yield 김우재, 신운철, 김정주, 박현수, 남정권, 백만기, 조영찬, 김보경 p.462-474

중북부고령지 적응 조생종 내냉성, 고품질 벼 '진한' = An early, cold-tolerant and high-quality rice 'Jinhan' adaptable to northern central highland 현웅조, 이정희, 정응기, 장재기, 정국현, 조영찬, 이점호, 원용재, 서정필, 안억근, 정종민, 전용희, 서대하, 김정주 p.489-495

중립 내병 다수성 장류⋅두부용 콩 '늘찬' = 'Neulchan', a middle-seed, disease-resistant, and high-yield soybean cultivar for soy-paste and Tofu 김현태, 고종민, 백인열, 한원영, 윤홍태, 이병원, 신상욱, 서정현, 김홍식, 곽도연 p.475-481

저항전분 기능성 고아밀로스 벼 '도담쌀 (밀양261호)' = 'Dodamssal (Milyang261)', functional rice as a resistant starch with a high amylose content 조준현, 송유천, 이종희, 이지윤, 손영보, 오성환, 한상익, 김춘송, 정국현, 박동수, 이점식, 여운상, 곽도연 p.515-522

식용 고구마 품종 '호감미' = 'Hogammi', a sweetpotato variety for table use 이형운, 이준설, 정미남, 양정욱, 남상식, 한선경, 김재명, 안승현, 송연상, 황엄지 [외] p.529-536

MAS를 이용한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조생종 벼 '해담쌀' 개발 = Development of early maturing rice stripe virus disease-resistant 'Haedamssal' through marker-assisted selection 이종희, 조준현, 이지윤, 오성환, 김춘송, 박노봉, 황운하, 송유천, 박동수, 여운상 p.448-453

조생종 추석용 단감 '초시' 육성 = 'Chosi', early maturing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for 'Chuseok' 마경복, 조광식, 강삼석, 김윤경, 황해성, 최장전, 한점화 p.424-427

적립계 장수형 붉은곰팡이병 중도저항성 제면용 밀(Triticum aestivum L.) "태중" = "Taejoong" a wheat variety with good noodle quality, red grain wheat, long spike, and moderate resistance to Fusarium head blight 김경민, 김경훈, 정영근, 최창현, 김양길, 박종호, 김경호, 장지선, 최진경, 배정숙 [외] p.454-461

경기북부지역 적응 조기출하용 조생 중간찰벼 신품종 '가와지1호' = An early maturing and low amylose rice variety 'Gawagi1' adaptable to the northern regions of Gyeonggido province, South Korea 원태진, 이지혜, 장정희, 이종형, 한상욱, 최병열, 서재순, 장재은, 도현용, 지정현, 박인태, 최해춘 p.537-542

핑크 스트라이프 호접란 'SM 3337' 육성 = Breeding of Phalaenopsis 'SM 3337' with stripe type of pink flower 정민정, 박노은, 김홍열, 임기병 p.482-488

자포니카 벼의 담수발아 내성에 대한 QTL 분석 = QTL analysis for tolerance to anaerobic germination in Japonica rice (Oryza Sativa L.) 김진희, 모영준, 하수경, 김우재, 김보경, 정지웅, 정종민 p.415-423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for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미소장
2 Cheo ZR, Heu MH. 1975. Optimum conditions for alkali digestivity test in rice. Korean J Crop Sci 19: 7-13. 미소장
3 Choi HC. 2002.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Korean J Crop Sci 47: 15-32. 미소장
4 Hong HC, Choi HC, Hwang HG, Kim YG, Moon HP, Kim HY, Yea JD, Shin YS, Choi YH, Cho YC, Baek MK, Lee JH, Yang CI, Jeong KH, Ahn SN, Yang SJ. 2012a. A lodging-tolerance and dull rice cultivar Baegjinju. Korean J Breed Sci 44: 51-56. 미소장
5 Hong HC, Yang SJ, Lee JH, Jung OY, Yang CJ, Choi YH, Kim YG, Lee KS, Choi IS, Cho YC, Kim MK, Lee JI, Jeong EK, Roh JH, Kim KJ, Hwang HG, Moon HP, Lee YT. 2012b. A medium-maturing dull cultivar Baegjinju1. Korean J Breed Sci 44: 57-61. 미소장
6 Hong WJ, Yoon MY, Ra WH, Park JW, Min SK, Kwon SW, Cho YH, Park YJ. 2014. A new variety ‘Jingsang’with lodging tolerant and low amylose content. Korean J Breed Sci 46: 103-107. 미소장
7 Juliano BO. 1985. Polysaccharide, proteins, and lipids of rice: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pp. 59-120. 미소장
8 Kim HK, Kim EY, Jeong YP.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n-glutinous, dull and glutinous rice grain in segregating populations of dull/glutinous crosses. Korean J Crop Sci 44: 277-281. 미소장
9 Lee CK, Kim JT, Choi YH, Lee JE, Seo JH, Kim MJ, Jeong EG, Kim CK. 2009. Optimum sieve-slit width for effective removal of immature kernels based on virietal chracteristics of rice to improve milling efficiency. Korean J Crop Sci 54: 357-365. 미소장
10 Lee WD, Park YJ, Jang SG, Kwon SW, Lee YS, Cho YH. 2018. Late-maturing, low amylose rice variety jinsang2 with a medium to short culm. Korean J Breed Sci 50: 344-349. 미소장
11 Myong SJ. 2018. Impact of climatic change related natural disasters on rice production in South Korea. J Korean Soc Hazard Mitig 18: 53-60. 미소장
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4. 2014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s. pp. 30-40. 미소장
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5. 2015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s. pp. 34-40. 미소장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6. 2016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s. pp. 31-40. 미소장
15 Shin YS, Won YJ, Ahn EK, Kim YK, Kim MK, Hwang HG, Yoon YH, Lee JH, Choi IS, Yoon KS, Oh SK, Kang KH, Shon JY, Jeon YH, Shin JC. 2012. An early maturing, blast resistant and low amylose rice variety Seolback. Korean J Breed Sci 44: 597-601. 미소장
16 Won YJ, Shin YS, Ahn EK, Kim MK, Kim YG, Hwang HG, Yoon YH, Jeon YH, Yoon KS, Yoon MR, Lee JH, Oh MK, Jeong JM, Yang WH, Jung KH. 2012. An early-maturing, blast resistant and semi-transparent low amylose rice variety ‘Wolbaek’. Korean J Breed Sci 44: 379-38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