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익환(1995): 되블린의 서사시 「마나스」에 나타난 성서적 영향, 독일어문학 3, 21-37. | 미소장 |
2 | 김경재(2003): 폴 틸리히의 문화신학: ‘궁극적 관심’을 중심으로, 문학과 종교 2, 1-16. | 미소장 |
3 | 서정일(2009): 종교윤리의 미학적 수용과 문학적 재해석 -베르톨트 브레히트, 요하네스 보브롭스키, 슈테판 하임을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46, 289-311. | 미소장 |
4 | 조두환(2001): 릴케와 기독교 사상: 「신시집」에 나타난 성서적 모티브를 중심으로, 독일문학 77, 101-129. | 미소장 |
5 | 틸리히, 폴(2018): 문화신학, 남성민 옮김, IVP. | 미소장 |
6 | 틸리히, 폴(1978): 존재에의 용기, 현영학 역, 전망사. | 미소장 |
7 | Barwasser, Carsten(2010): Theologie der Kultur und Hermeneutik der Glaubenserfahrung. Mainz. | 미소장 |
8 | Fischer, Hermann(1989): Paul Tillich. Studien zu einer Theologie der Moderne. Frankfurt. | 미소장 |
9 | Jens, Walter und Küng, Hans(1985): Dichtung und Religion. Pascal, Gryphius, Lessing, Hölderlin, Novalis, Kierkegaard, Dostojewski, Kafka. München. | 미소장 |
10 | Kleffmann, Tom(2004): Das Buch der Bücher. Seine Wirkungsgeschichte in der Literatur. Göttingen. | 미소장 |
11 | Kuschel, Karl-Josef(1991): “Vielleicht hält Gott sich einige Dichter.” Literarisch-theologische Porträs. Mainz. | 미소장 |
12 | Ders.(1978): Jesus in der deutschsprachigen Gegenwartsliteratur. Zürich. | 미소장 |
13 | Langenhorst, Georg(2011): Literarische Texte im Religionsunterricht. Freiburg. | 미소장 |
14 | Ders.(2005): Theologie und Literatur. Ein Handbuch. Darmstadt. | 미소장 |
15 | Mieth, Dietmar(1976): Epik und Ethik. Eine theologisch-ethische Interpretation der Josephsromane Thomas Manns. Tüingen. | 미소장 |
16 | Rahner, Karl und Vorgrimler, Herbert(Hrsg.)(1966): Kleines Konzilskompendium. Sämtliche Texte des Zweiten Vatikanums. Freiburg/ Basel/ Wien. | 미소장 |
17 | Schirrmacher, Thomas(2007): Hitlers Kriegsreligion. Die Verankerung der Weltanschauung Hitlers in seiner religiösen Begrifflichkeit und seinem Gottesbild. Band 1. Bonn. | 미소장 |
18 | Sölle, Dorothee(1987): “‘Das Eis der Seele spalten.’ Theologie und Literatur auf der Suche nach einer neuen Sprache.” Jahrbuch der Religionspädagogik 4, 3-19. | 미소장 |
19 | Dies.(1973): Realisation. Studien zum Verhältnis von Theologie und Dichtung nach der Aufklärung. Darmstadt/Neuwied. | 미소장 |
20 | Dies.(1969): “Zum Dialog zwischen Theologie und Literaturwissenschaft.” Internationale Dialogzeitschrift 2, 296-318. | 미소장 |
21 | Tillich, Paul(1975): “Über die Idee einer Theologie der Kultur.” In: Ders.: Die religiöse Substanz der Kultur. Stuttgart, 13-31. | 미소장 |
22 | Ders.(1975): Die religiöse Substanz der Kultur. Stuttgart.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