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브레히트의 생산개념을 연구하는 작업이다. 브레히트의 생산개념은 아주 광범위한 영역에서 확대 적용되어진다. 브레히트의 생산 개념에는 물질적 생산 뿐 아니라, 자유, 정의 등이 포함되고 더 나아가 선한 의지와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자세 및 도움이 되고자 하는 자세도 포함된다. 브레히트는 이렇게 확대된 생산 개념을 표현하는 데 ‘친절’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브레히트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친절이라는 단어에는 벼농사나 기계 제작과 같은 생산 활동도 포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모든 생산력을 모든 속박으로부터 해방시키려는 투쟁은 인간의 선의 및 친절이 가능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브레히트의 생산 개념에 대한 연구는 오늘날 신자유주의의 상황에서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신자유주의 체제의 극심한 경쟁 하에서 일자리가 불안한 많은 사람들에게 노동은 생존을 위한 수단이 되어버렸고, 몇 년 전 지하철 안전문을 수리하다 죽은 소년의 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생존을 위한 노동을 하면서 생명을 잃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브레히트의 생산 개념은 자발성을 바탕으로 한 노동으로 자아실현과 행복한 사회화의 과정을 내포한다. 신자유주의 체제하에서 사람들은 극심한 경쟁과 불안감 속에서 강요된 노동을 하면서 서로에게 무관심하거나 적대적인 존재가 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브레히트의 생산 개념은 인간이 서로에게 친구가 될 수 있는 사회상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60, 70년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교육개혁 = Education reform in Nordrhein-Westfalen in the 1960s and 1970s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system reform : 학교제도 개혁의 전개 양상 분석 최재호 p.37-71
문화사 방법론의 진전을 위한 '역사성(Geschichtlichkeit)'의 재범주화 = Recategorization of "historicity (Geschichtlichkeit)" for a new methodology of cultural history : focusing on the German historical theory : 독일 역사이론의 쟁점을 중심으로 전진성 p.141-178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 주(Land) 형성을 통해 본 지역통합의 의미 =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ormation of the Baden-Württemberg state in Germany 김건우 p.5-35
독일 불교 수용사 속에서 베버읽기 = Max Weber in the tradition of German Buddhist studies : focusing on his religionssociological study of Buddhism : 막스 베버의 종교사회학과 불교이해 박용희 p.73-105
히틀러의 흑인 희생자를 상상하기 = Imagining Hitler's black victims : multidirectional memory and recent holocaust fictions : 다방향 기억(Multidirectional Memory)과 최근의 홀로코스트 소설 이브 로즈네프트 p.107-140

일제강점기 독일유학 한인들의 독일인식 = Koreans educated in German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ir recognition about Germany 한해정 p.179-217
브레히트의 '생산' 개념 연구 = A study on Brecht's concept 'production' 성현숙 p.259-284

독일의 고령자 고용촉진정책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f the employment promotion policy for the elderly in Germany : focusing on initiative 50plus and perspective 50plus : Initiative 50plus와 Perspective 50plus를 중심으로 정인영 p.219-258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recht, Bertolt, Werke, Große kommerntierte Berliner und Frankfurter Ausgabe in 30 Bänden, eds., v. Werner Hecht, Jan Knopf, Werner Mittenzwei, Klaus-Detlif Müller (Frankfurt am Main, 1988-2000). 미소장
2 Brecht, Bertolt, Arbeitsjournal 1938 bis 1942. Bd., eds., Werner Hecht (Frankfurt a. M, 1967). 미소장
3 Buck, Theo, “Der Garten des Azdak. Von der Ästhetik gesellschaftlicher Produktivität im "kaukasischen Kreidekreis"”, Brechts Dramen, eds., v. Walter Hinderer (Stuttgart, 1984). 미소장
4 Bunge, Hans, Brechts Lai-tu. Erinnerungen und Notate von Ruth Berlau (Darmstadt und Neuwied, 1985). 미소장
5 Grobe, Horst, Erläuterungen zu Bertolt Brecht. Der kaukasische Kreidekreis (Hollfeld, 2005). 미소장
6 Haug, Wolgang Fritz, “Nützliche Lehre aus Brechts Buch der Wendungen”, Bestimmte Negation (Frankfurt am Main, 1973). 미소장
7 Jameson, Fredric, Lust und Schrecken der unaufhörlichen Verwandlung aller Dinge: Brecht und die Zukunft (Berlin Argument, 1998). 미소장
8 Jan, Kobel, Kritik als Genuß. Über die Widerspruchliche der Brechtschen Theatertheorie und die Unfähigkeit der Literaturwissenschaft sie zu kritisieren (Frankfurt a.M, 1992). 미소장
9 Knopf, Jan, Brechts Handbuch (Stuttgart, 1980). 미소장
10 Müller, Klaus-Detlef, Brecht Kommentar zur erzählenden Prosa (München, 1980). 미소장
11 Poser, Therese, Bertolt Brecht. Der kaukasische Kreidekreis (München, 1988). 미소장
12 『전환의 서』에 나타난 브레히트의 도덕관 소장
13 성현숙, 「브레히트의 실천적 의미」, 『헤세연구』, 37 (2017), pp. 93-112. 미소장
14 세넷, 리처드, 조용 역, 『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 (문예출판사, 2001). 미소장
15 Brecht im Zeitalter der postideologisierung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