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도시 저소득층 노후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인식과 변화의 방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the elderly about their old urban community and the direction of community changes based on photovoice : 포토보이스 결과를 중심으로 최희경 p.9-36

파킨슨병 환자의 경험과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Research on the experience and needs of Parkinson's patients 김유식, 이솔잎 p.69-97
중·고령자의 배우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적 요인 = The longitudinal factors on the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 to late life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성준모, 김혜경 p.99-123
노인의 계층 인식과 삶의 의미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meaning in life of older adults by subjective social status : based on Alderfer's ERG theory : Alderfer의 ERG이론을 기반으로 한상윤, 남석인 p.125-155

노인의 건강정보원 이용유형과 건강증진 행동 = Uses of health information source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older adults in Korea : 정보원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건강증진 행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귀옥, 이수연 p.157-184
노인 라이프스킬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xercise program to improve the elderly's life skills 권성호, 안지훈, 김용세 p.37-68

참고문헌 (4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재욱(2011). 노년기의 부부관계 개선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4), 119-143. 미소장
2 국민연금공단 노후준비서비스 홈페이지 https://csa.nps.or.kr/intro/do 미소장
3 권오균, 허준수(2010).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7, 7-30. 미소장
4 권중돈(2019). 노인복지론. 학지사: 서울. 미소장
5 김미령(2017). 노인의 성공적 노화 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연구: 성인자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7, 159-182. 미소장
6 김미혜, 신경림(2005).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2), 35-52. 미소장
7 김영희, 정면숙(2018). 노년기 부부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인문사회21, 9(3), 171-183. 미소장
8 김혜경(2013). 중고령 남녀의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결혼 유지 ․ 파탄 및 부부 만족도의 관련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7, 63-83. 미소장
9 박경란, 이영숙(2002).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노년학, 22(3), 53-66. 미소장
10 박병선, 배성우(2011). 부부관계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성별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4, 41-76. 미소장
11 손용진(2010). 사회자본이 도시와 농어촌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자녀관계망 및 사회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12(3), 311-339. 미소장
12 손정연, 한경혜(2018). 베이비부머의 생애사건 경험이 부부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한국노년학, 35(2), 491-507. 미소장
13 송기영(2018). 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3(1), 469-503. 미소장
14 신현구, 부가청, 이혜정(2007). 고령화연구패널 제1차 기본조사 실시과정 및 결과보고. 노동리뷰, 30, 66-82. 미소장
15 염지혜, 전미애(2018). 중․ 노년기 건강의 변화가 배우자의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3(1), 31-57. 미소장
16 이가현, 정성창, 장승민(2017). 노년기 부부의 관계만족도와 우울의 종단적 변화 사이의 관련성: 이자성장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 모형의 적용. 조사연구, 18(4), 25-59. 미소장
17 이주연, 정혜정(2015). 노년기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우울의 종단적 상호관계: 성별과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6(4), 575-593. 미소장
18 이호선(2017). 한일비교를 통한 황혼이혼 남성노인 적응과정 연구. 일본문화연구, 67, 293-330. 미소장
19 정미경, 김주후(2008). 노년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한국노년학, 28(3), 603-618. 미소장
20 정여진, 안정신(2012). 노인의 부부친밀감과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 대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2(1), 185-206. 미소장
21 정여진, 유나영, 김비아, 신현정, 정영숙(2014).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34(4), 781-797. 미소장
22 조혜선(2003). 결혼만족도의 결정요인: 경제적 자원, 성 역할관, 관계성 모델의 비교. 한국사회학, 17(1), 91-115. 미소장
23 주수산나, 전혜정(2014). 노인 부부의 부부관계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소득수준에 따른 분석. 노인복지연구, 64, 207-233. 미소장
24 지혜은, 박경숙(2018). 성공적 노화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비교. 사회보장연구, 34(2), 209-237. 미소장
25 한경혜, 최혜경, 안정신, 김주현(2019). 노년학. 신정. 미소장
26 통계청(2016). 사회조사보고서. 미소장
27 통계청(2018). 2018 고령자통계. 미소장
28 통계청(2019). 2018년 혼인 ․ 이혼통계. 미소장
29 Amato, P. R., Booth, A., Johnson, D. R, & Rogers, S. J.(2007). Alone together: How marriage in America is changing, MA: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0 Baum, C. F.(2006). An Introduntion to Modern Econometrics Using Stata. Stata Press. 미소장
31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Different Causal Relationships for Men and Women? 네이버 미소장
32 Contextualizing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During Middle Age 네이버 미소장
33 The drinking partnership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longitudinal influence of discrepant drinking. 네이버 미소장
34 Huyck, M. H.(1995). Marriage and Close Relationships of the Marital Kind, in Handbook of Aging and the Family. (pp. 181-200), Edited by Blieszner R., Bedford V. H. Greenwood Press. 미소장
35 Gender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A Meta‐analysis 네이버 미소장
36 Kinnune, U., & Feldt, T.(2004). Economic stress and marital adjustment among couples: Analyses at the dyadic level.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4(5), 519-532. 미소장
37 Kurdek, L. K.(1998). Developmental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 6-year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newlywed couples. In T. N. Bradbury (Eds). The developmental course of marital dysfunction(pp. 180-204). Cambridge Press. 미소장
38 The marital satisfaction of differently aged couples 네이버 미소장
39 Spousal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Well-Being in Older Couples. 네이버 미소장
40 Rowe, J. W., & Kahn, R. L.(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Random House. 미소장
41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Directional Effects between Relationship Quality and Well-Being for a National Sample of U.S. Men and Women 네이버 미소장
42 Schmitt, M., Kliegel, M., & Shapiro, A.(2007). Marital interaction in middle and old age: A predictor of marital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65(4): 283-300. 미소장
43 StataCorp.(2007). Stata Statistical Software: Release 10, College Station. TX: StataCorp LP. 미소장
44 Is the U-Curve of Marital Satisfaction an Illusion? A 40-Year Study of Marriage 네이버 미소장
45 White, L. K., Booth, A., & Edwards, J. N.(2008). Children and marital happiness. Journal of Family Issues, 7, 131-149. 미소장
46 Wickrama, K. A. S., Lorenz, F. O., Conger, R. D., & Elder, G. H. Jr.(1997). Marital quality and physical illness: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9, 143-15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