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동의보감에서 경락의 주치특성 분석 = An analysis of indications of meridians in DongUiBoGam using data mining / 채윤병 ; 류연희 ; 정원모 1

[요약] 1

서론 1

재료 및 방법 2

1. 데이터 소스 2

2. 데이터 추출과 정제 과정 3

3. 데이터의 분석과 시각화 3

4. 12경맥의 주치 특성의 유사도 분석 3

결과 3

1. 14 경맥별로 주치 특성 분석 3

2. 12경맥의 주치 특성의 유사성 분석 4

3. 수삼음경, 수삼양경, 족삼음경, 족삼양경의 주치 특성 분석 4

고찰 5

References 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침 치료 임상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 A bibliometric analysis of acupuncture research trends in clinical trials 전상호, 이인선, 이향숙, 채윤병 p.281-291

보기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동의보감에서 경락의 주치특성 분석 = An analysis of indications of meridians in DongUiBoGam using data mining 채윤병, 류연희, 정원모 p.292-299

보기
Effects of acupotomy treatment on relapsed lateral malleolar bursitis = 재발성 족외과 점액낭염에 대한 도침요법 : 증례 보고 : a case report Jae Hoon Kim, Jung Hee Lee, Yun-Kyu Lee, Hyun-Jong Lee, Jae Soo Kim p.300-307

보기
환도·양릉천 레이저 및 전침이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laser and electro acupuncture treatment with GB30·GB34 on change in arthritis rat 김미래, 이유미, 최동희, 윤대환, 나창수 p.189-199

보기
온침 표준화를 위한 열자극 요소 연구 = Principal components of thermal stimulation while the warm needling : diameter of the acupuncture needle and distance from the skin : 침 두께 및 피부-뜸 거리를 중심으로 양승범, 권오상 p.210-220

보기
Ancient Chinese astronomical analysis of the chapter, Wigi Haeng in Youngchu (Spiritual Pivot) = 영추, 위기행편에 대한 중국 고천문학적 분석 Woosen Ur p.252-263

보기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the regulation of chemokine induced spinal activation of microglia in the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 흰쥐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에서 전침이 케모카인이 유도하는 척수 교세포 활성화 조절에 미치는 영향 Vishnumolakala Sindhuri, Ji Eun Lee, Hye-Ji Park, So-Hee Kim, Sungtae Koo p.264-273

보기
황련해독탕 전탕액과 약침액이 치매유발생쥐의 인지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wangryunhaedok-Tang decoction &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solution on the cognitive & memory impairment induced by scopolamine in mouse model 권영완, 강태리, 이상룡 p.230-240

보기
양백(GB14) 전침자극이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t GB14 on brain activity 강태리 p.241-251

보기
케톤식이로 발생한 체중감소 및 내당능장애에 침치료 효과 = Effects of acupuncture treatment on weight loss and glucose intolerance induced by a ketogenic diet 고희재, 김동주, 김승남 p.274-280

보기
태충 침자가 간 미토콘드리아 내 Complex Ⅳ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cupuncture at LR3 acupoint on mitochondrial Complex Ⅳ oxidase activity in liver 최동희, 이유미, 김미래, 박정혜, 김혜란, 나창수, 윤대환 p.200-209

보기
구기자 복합물 약침액이 간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 = Protective effect of herbal mixture including lycii fructus on hepatotoxicity induced by thioacetamide in mice 김용민, 황동석, 곽병문, 김이화 p.221-229

보기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Langevin HM, Yandow JA. Relationship of acupuncture points and meridians to connective tissue planes. Anat Rec. 2002 ; 269 :257-65. http://doi: 10.1002/ar.10185 미소장
2 Napadow V. When a White Horse is a Horse: Embracing the (Obvious?) Overlap Between Acupuncture and Neuromodulation. J Altern Complement Med. 2018 ; 24 : 621-3. http://doi:10.1089/acm.2018.29047 미소장
3 Lee SH, Lee IS, Jo HJ, Jung WM, Lee AR, Kim SY et al. A history of visualization for biomedical information of meridian. Kor J Acu. 2012 ; 29 : 371-84. 미소장
4 Chae Y. Past, present, and the future of understanding the entity of the meridian system.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6 ; 30 :402-11. http://doi: 10.15188/kjopp.2016.12.30.6.402 미소장
5 Chae Y, Enck P. Placebo control and placebo effect in acupuncture medicine. Kor J Acu. 2018 ; 35 : 47-55. http://doi:10.14406/acu.2018.015 미소장
6 Lee IS, Lee SH, Kim SY, Lee H, Park HJ, Chae Y. Visualization of the Meridian System Based on Biomedical Information about Acupuncture Treatment.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 ; 2013 : 872142. http://doi: 10.1155/2013/872142 미소장
7 Lee SH, Kim CE, Lee IS, Jung WM, Kim HG, Jang H et al. Network analysis of acupuncture points used in the treatment of low back pain.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 ; 2013 :402180. http://doi: 10.1155/2013/402180 미소장
8 Zhao L, Li D, Zheng H, Chang X, Cui J, Wang R et al. Acupuncture as Adjunctive Therapy for Chronic Stable Angina: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Intern Med. 2019. http://doi: 10.1001/jamainternmed.2019.2407 미소장
9 Spatial Patterns of the Indications of Acupoints Using Data Mining in Classic Medical Text: A Possible Visualization of the Meridian System. 네이버 미소장
10 Data Mining of Acupoint Characteristics from the Classical Medical Text: DongUiBoGam of Korean Medicine 네이버 미소장
11 Exploring spatial patterns of acupoint indications from clinical data: A STROBE-compliant article. 네이버 미소장
12 Kim CH, Yoon DE, Lee YS, Jung WM, Kim JH, Chae Y. Revealing Associations between Diagnosis Patterns and Acupoint Prescriptions Using Medical Data Extracted from Case Reports. J Clin Med. 2019 ; 8. http:// doi: 10.3390/jcm8101663 미소장
13 Poldrack RA. Can cognitive processes be inferred from neuroimaging data? Trends Cogn Sci. 2006 ; 10 : 59-63. http://doi:10.1016/j.tics.2005.12.00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