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미용종사자가 경험하는 고객 언어폭력이 인지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ustomers' verbal abuse on perceived stress among beauty workers / 이희아 ; 정민수 1
[요약] 1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1
1. 언어폭력 1
2. 스트레스 2
3. 회복탄력성 2
4. 고객의 언어폭력 경험,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 2
III. 내용 및 방법 3
1. 연구대상 3
2. 조사도구 3
3. 자료 분석 방법 3
IV. 결과 및 고찰 3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
2. 응답자의 고객 언어폭력 경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요인 4
3. 응답자의 고객 언어폭력 경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요인 간 상간관계 4
4. 응답자의 고객 언어폭력 경험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의 회귀분석 4
V. 결론 7
참고문헌 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슬아, 김효원, 박부진. (2016).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3(1), 77-98 | 미소장 |
2 | 고경봉. (2002). 스트레스와 정신신체의학. 서울, 일조각, pp. 62-73 | 미소장 |
3 | 구자관. (2007). 언어폭력이 카지노딜러의 소진,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분노조절기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0 | 미소장 |
4 | 김선희, 조현지, 동주현, 안주민, 윤벼리, 이가영, 이진영, 이효민, 장혜인. (2011). 간호학생이 임상실습 시에 겪는 언어폭력, 언어폭력반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10, 249-266 | 미소장 |
5 | 김양옥, 이여진. (2017). 특수부서와 일반병동 간호사가 경험하는 병원 내 언어폭력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비교. 간호행정학회지, 23(3), 323-335 | 미소장 |
6 | 김은숙. (2019). 미용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7 | 미소장 |
7 | 김종진, 송민지. (2014). 한국 사회 감정노동 실태와 개선방향 연구.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p. 11 | 미소장 |
8 |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서울, 위즈덤하우스, pp. 19-79 | 미소장 |
9 | 김진. (2014). 노인복지실천현장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경험과 스트레스의 관계에 미치는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325-345 | 미소장 |
10 | 남경동, 윤계숙, 정혜선, 박순애, 장부영, 김혜란, 엄현신, 성영희. (2005).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 측정도구의 개발. 간호행정학회지, 11(2), 159-172 | 미소장 |
11 | 노치경, 홍혜영. (2016). 회복탄력성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6), 1-20 | 미소장 |
12 | 류경, 김종경. (2016).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소진,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439-450 | 미소장 |
13 | 박소정. (2017). 호텔종사원이 지각하는 직장 내 언어폭력이 분노사고 및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 언어폭력과 분노사고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9-70 | 미소장 |
14 | 박재원. 윤가현. (2017). 경찰관의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분 노반추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할연구, 16(3), 151-178 | 미소장 |
15 | 박정현, 장경애. (2019). 언어폭력이 치과위생사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한국치위생학회, 19(2), 241-249 | 미소장 |
16 | 보건복지부. (2015). 이·미용업 제도개선과제 발굴을 위한 정밀 실태조사. pp. 2-8 | 미소장 |
17 | 손희진. (2010). 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과 그에 따른 정서적 반응 및 직무스트레스.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6 | 미소장 |
18 | 신성녀. (2017). 미용종사자의 스트레스가 분노표현,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82 | 미소장 |
19 | 안예지. (2014). K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관련스트레스와 서비스지향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8 | 미소장 |
20 | 윤일홍. (2014). 시민들의 언어적·신체적 폭력이 일선경찰관들의 정신적 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연구, 13(4), 175-206 | 미소장 |
21 | 이순희, 정승은. (2007). 병원 내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행정학회지, 18(4), 526-536 | 미소장 |
22 | 이영은, 장유나. (2018).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폭력피해경험, 자아존중감 및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8), 646-657 | 미소장 |
23 | 이은규, 임희경, 양은진. (2018). 헤어살롱 종사자의 폭력 경험 후대처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24(4), 770-778 | 미소장 |
24 | 이창금, 박연숙. (2017). 대학생의 건강행위 평가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2), 517-529 | 미소장 |
25 | 이혜련, 문현숙, 신미경. (2013). 간호사의 직장 폭력 경험에 따른 분노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2(3), 240-248 | 미소장 |
26 | 임민숙, 박경희, 최은경, 김원순, 최은정. (2017). 일반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한국 자료분석 학회, 17(8), 586-596 | 미소장 |
27 | Resilience, normativity and vulnerability ![]() |
미소장 |
28 | 임영순, 권혜진, 노기옥, 배가령. (2016).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경험한 언어폭력과 진로정체감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4), 2315-2328 | 미소장 |
29 | The validity of modified korean-translated BEPSI(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as instrument of stress measurement in outpatient clinic | 소장 |
30 | 장세진. (2000). 건강 통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스트레스. 서울, 계축문화사, pp. 92-143 | 미소장 |
31 | 정윤화, 이경희. (2016). 간호대학생의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4(3), 291-399 | 미소장 |
32 | 정형옥. (2016). 감정노동 실태 및 법제도 현황.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p. 2 | 미소장 |
33 | 최수정, 정기주. (2016). 콜센터에서 상담사의 지각된 고객 언어폭력이 감정노동과 감정소진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5(1), 295-328 | 미소장 |
34 | 추환호. (2017). 호텔종사원이 경험한 고객언어폭력이 외상 후 스트레스, 외상 후 성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노출의 조절효과.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 | 미소장 |
35 | 국가법령정보센터-산업안전보건법(자료 검색일: 2019. 05. 21.). http://www.law.go.kr/LSW//lsInfoP.do?lsiSeq=203199&efYd=20181018#0000 | 미소장 |
36 | 통계청. (2018). 시도산업별 총괄 통계(자료 검색일: 2019. 04. 02.).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KB3001# | 미소장 |
37 | Bach, G. R., & Goldberg, H. (1974). Creative Aggression. New York, Doubleday, p. 251 | 미소장 |
38 | Bensimon, M. (2012). Elabor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trauma, PTSD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role of trait resilience. Pers. Individ. Dif., 52(7), 782-787 | 미소장 |
39 | Cohen, S., & Williamson, G. M. (1988). Perceived Stress in a Probability Sample of the United States. In S. Spacapan, & S. Oskamp (Eds.), The Social Psychology of Health: Claremont Symposium on Applied Social Psychology (pp. 31-67). Newbury Park, CA, Sage | 미소장 |
40 | Evans, P.(1992). The Verbally Abusive Relationship: How to Recognize It and How to Respond. Holbrook, MA, United States, Adams media | 미소장 |
41 | Frank, S. H., & Zyzanski, S. J. (1988).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the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J. Fam. Pract., 26(5), 533-539 | 미소장 |
42 | Hadley, M. (1990). Background paper regarding abuse of nurses in the workplace. AARN. News. Lett., 46(9), 6-9 | 미소장 |
43 | Infant, D. A., and Wigley, C. J. (1986). Verbal aggressiveness: An interpersonal model and measure. Commun. Monogr., 53(1), 61-69 | 미소장 |
44 | Lazarus, R. S. (1976). Patterns of Adjustment and Human Effectiveness. New York, McGraw-Hill, Inc | 미소장 |
45 |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Verlag | 미소장 |
46 | Manderino, M. A., & Banton, S. (1994). Evaluation of the Verbal Abuse Scale. Unpublished Manuscript. | 미소장 |
47 | Manderino, M. A., & Berkey, N. (1997). Verbal abuse of staff nurses by physicians. J. Prof. Nurs., 13(1), 48-55 | 미소장 |
48 | Reivich, K., &, Shatte,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7 Keys to Finding Your Inner Strength and Overcoming Life's Hurdles. New York, Three Rivers Press, pp. 5-8 | 미소장 |
49 | A Syndrome produced by Diverse Nocuous Agents ![]() |
미소장 |
50 | Wagnild, G. M. (2009). The Resilience Scale user's guide for the US English version of the Resilience Scale and the 14-Item Resilinece Scale (RS-14). Worden, MT: The Resilience Center, USA | 미소장 |
51 | Wagnild, G. M., & Young, H. M.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 Nurs. Meas., 1(2), 165-178 | 미소장 |
52 | Werner, E. E., & Smith, R. S. (1982). Vulnerable but invincible: A study of resilient children. New York, McGraw Hill | 미소장 |
53 | Wolin, S., & Wolin, S. (1993). The resilience self: How survivors of troubled families rise above adversity. New York, Villard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