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헤나 염색 시술 시 농도별 펩타이드 전 처리제가 손상 모발 복구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eptide pre-treatment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n the recovery of hair loss in case of Henna dyeing / 이민화 ; 이명선 1

[요약] 1

I. 서론 1

II. 재료 및 방법 2

1. 연구 도구 2

2. 모발의 인장강도와 두께 측정 3

3. 자료 분석 3

III. 결과 및 고찰 3

1. 모발 두께 측정 3

2. 인장강도 측정 4

IV. 결론 8

참고문헌 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DEA 모형을 활용한 전문대학 뷰티관련 학과 운영의 효율성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department beauty related majors in colleg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윤초희, 노영희 p.1478-1484

보기
MBTI 성격유형에 따른 미용학과 신입생의 대학 생활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llege life stress of freshmen in cosmetology department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 송서현 p.1450-1459

보기
고등학교 가사·실업계열 미용과 교육과정 구성 체계 분석 = Analysis on organization system of cosmetology curriculum of vocational home-making education in high school 김한솔, 장미숙 p.1404-1417

보기
국내 미용분야 연구의 여드름 관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Meta analysis on the effect of acne skin care in Korea 김남산, 김정희 p.1460-1465

보기
그래피티 아티스트 작품의 디자인 특성을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nail art design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in graffiti artist's works 김수연, 이명주 p.1359-1365

보기
기능경기대회 피부미용 직종에 대한 인식정도 및 태도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skin beauty occupation in the functional competition 천종숙, 송연숙 p.1366-1376

보기
농축 누에 번데기 오일의 주름개선 효과 = Wrinkle improvement of functional cosmetics using concentrated oil of silkworm chrysalis 권무길, 박신혜, 김민선 p.1264-1270

보기
미용교사 양성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특성화 고등학교와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분석 = Analyzing curriculums of beauty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revise training curriculums for beauty teachers 강수경 p.1343-1349

보기
미용전공 고등학생의 창의적 인성과 진로포부 수준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creative personality and occupational aspiration on school life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beauty 이세롬, 노영희, 이병임 p.1485-1492

보기
미용종사자가 경험하는 고객 언어폭력이 인지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ustomers' verbal abuse on perceived stress among beauty workers 이희아, 정민수 p.1334-1342

보기
미용종사자의 긍정심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effect of the affirmative psychology on job satisfaction of the hairdresser 차경희, 조현진, 서예지, 박은준 p.1301-1308

보기
미용종사자의 긍정적 행동과 직무성과 및 장기근속의 관계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performance and long-term work of beauty workers 임민지, 박은준 p.1325-1333

보기
뷰티서비스산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 focusing on the nail salon industry : 네일미용업을 중심으로 조미자 p.1418-1425

보기
성인여성의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유해성 인식 및 피부반응 자각증상과 피부관리 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 A study on the awareness of skin harmfulness and skin reaction symptoms and skin care behavior about the particulate matter of adult women 이지민, 김호진, 김지영, 한채정 p.1309-1315

보기
성인의 자기애 성향이 외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narcissistic tendency of adult on appearance satisfaction 신지수, 서승희 p.1466-1477

보기
스킨케어 비즈니스의 핵심자원 및 역량이 고객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essential resource and competency of skin care business on customer behavior intention 서지혜 p.1280-1292

보기
자연모의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 과정 중 tartaric acid의 중간처리 효과 = Intermediate treatment with tartaric acid during curly perm on natural hair 박혜린, 강상모 p.1293-1300

보기
중국 소수민족의 전통혼례 풍습과 문화에 따른 신부화장의 디자인적 특징 = Design features of bridal makeup in traditional wedding of minority ethnic groups in China 이혁정, 최민령 p.1384-1395

보기
중국과 한국 미용성형수술 실태에 관한 연구 = Study about the current status of cosmetic surgery in China and Korea 조미나, 최미옥 p.1426-1437

보기
중국미용인들의 미용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필요성 및 인지도 연구 = A study on the necessity percep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n Chinese beauty shop workers 왕원원, 김경란 p.1438-1449

보기
진로적응성과 진로자신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confidence 서미숙, 진병운, 박은준 p.1396-1403

보기
피부미용관리실 고객의 감정반응과 행동의도의 영향관계에서 공간구성의 매개효과 = Skin care shop of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customers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f spatial composition 박은경, 이지안 p.1350-1358

보기
헤나 염색 시술 시 농도별 펩타이드 전 처리제가 손상 모발 복구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eptide pre-treatment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n the recovery of hair loss in case of Henna dyeing 이민화, 이명선 p.1271-1279

보기
헤어디자이너 이미지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hair designer's image on consumer's satisfaction 김현동, 임정미 p.1377-1383

보기
헤어살롱의 서비스 품질이 이미지 일치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rvice quality and image congruity at hair salons 김아름, 박은준 p.1257-1263

보기
헬스&뷰티 스토어 소비성향의 유형화에 따른 구매결정과 상품선호의 차이 = Differences in purchase decision and product preference according to consumption propensities typology in health & beauty stores 하종경 p.1316-1324

보기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민명자, 최문희. (2013). 녹차 씨 oil이 염색 및 탈색된 모발의 재손상 및 탈색 방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공학회, 28(5), 287-288 미소장
2 강은지, 윤복연. (2015). 디지털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시 아마란스추출물 첨가 앰풀의 적용 시점에 따른 모발손상 연구. 한국 미용학회지, 21(4), 669 미소장
3 강은희. (2008). 모발 화장품의 제형에 따른 손상 모발의 형태적 변화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 예술학 석사학위 논문. p. 6 미소장
4 정지선, 박도영. (2013). 모발염색 시 Camellia Oil을 이용한 전 처리제가 두피와 모발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 11(1), 161-164 미소장
5 김무영. (2004). 모발 관리학 광문각 pp. 62-63 미소장
6 류은주. (2002). 모발 학 광문각 p. 190 미소장
7 미용시술 종류와 시술 순서에 따른 모발의 인장강도와 신장율의 변화 네이버 미소장
8 송팔용, 임미혜. (2006). 모발의 화학적 처리에 의한 손상도 측정 및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피부미용학회지, 4(1), 105-111 미소장
9 임태희, 김복환. (2012). 백모에 대한 천연 헨 나와 산화 염모제의 염색력 과 모발 보호 효과 비교. 한국 미용학회지, 18(3), 700-703 미소장
10 민명자, 나명순. (2011). 숭어추출물이 염색과 탈색 모발의 물리적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9(1), 1-8 미소장
11 조진아, 최순영. (2007). 식물성 컬러 헤나 염모제와 화학 염모제의 유해 화학물질 성분분석과 함량 비교. 한국 미용학회지, 13(2), 754-755 미소장
12 모상현, 정대현. (2011). 생리활성 펩타이드의 피부 미용 학 적 특성 및 활용. 대한생명공학회, 26, 483-484 미소장
13 정희훈, 신인규. (2017). 서리태 발효추출물이 탈색을 통해 손상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장품학회, 43(2), 149-155 미소장
14 나영란, 구희수. (2014). 유통 산화 형 염모제의 접촉성 피부염 유발물질 함량 연구.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40(2), 211-212 미소장
15 조정화. (2018). 염색 시술시 모발손상에 대한 펩타이드 성분의 보호 효과 차의과대학교 메디컬 뷰티 산업학과 박사학위 논문, pp. 56-61 미소장
16 박은준, 김기영. (2011). 염색이 모발의 색도 변화와 큐티클 형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 미용학회, 14(4), 678-688 미소장
17 임태희, 김기영. (2011). 오렌지 헤나의 염색 지속력 모발코팅 및 모발 보호 효과. 대한 미용학회지, 7(3), 323-324 미소장
18 김관옥, 이미영. (2007). 열 퍼머넌트 시 1 제 사용 여부에 따른 웨이브 형성 및 형태적 손상비교. 한국 미용 예술경영학회지, 1(3), 75-82 미소장
19 이하나, 함미영. (2010). 인삼추출물을 처방한 환원제 적용에 따른 모발손상도 및 형태학적 변화. 대한피부미용학회지, 8(1), 211-222 미소장
20 박미나, 봉혜민. (2005). 최적의 Henna 염색 및 코팅 조건의 확립 :Henna 염색과 산화 염모제의 비교. 코리아 뷰티 디자인학회, 1(1), 55-57 미소장
21 김정미, 김진숙. (2017). 천연 헤나와 케미컬 헤나에 관한 탐색적 연구. 뷰티 산업연구 학회지, 11(1), 31-32 미소장
22 김미연, 고경숙. (2013). 카세인을 이용한 헤어 트리트먼트 개발 및 모발손상 완화 효과. 대한 미용 문화예술학회지, 2(1), 10-12 미소장
23 김순선. (2007). 천연염모제와 합성 염모제의 혼합 사용 시 모발의염색성과 손상 도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11 미소장
24 김주섭. (2004). 천연염모제와 합성 염모제에 의한 모발손상의 비교.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20 미소장
25 이귀영, 유병수. (2008). 탈색 모발의 인장강도에 관한 연구. 한국현미경학회지, 38(3), 251-257 미소장
26 주연빈, 김영배. (2017). 탈색제 혼합조건에 따른 모발의 형태학적변화에 관한 연구. 디지털 융복합연구학회지, 15(9), 539-540 미소장
27 강갑연, 최태부. (2007). 탈색제에 의한 모발손상 측정 및 모발보호제 처리 효과. 한국 미용학회지, 13(3) 미소장
28 김미연, 고경숙. (2012).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후 산성 염색 시rose hip 추출물 첨가가 모발손상 및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 미용 문화예술학회지, 1(1), 85-98 미소장
29 황정원, 권세순. (2002). Hair color design 염, 탈색 이론 및 실기. 고문사, pp. 80-87 미소장
30 이진옥. (2003). 헤나에 의한 모발염색. 경성대학교 대학원 의상학과 석사학위 논문 p. 2 미소장
31 김희성. (1999). 헤어 컬러링. 미용 산업교육원, pp. 135-137 미소장
32 소비자 보호원. (2005). 헤나 문신, 헤나 염모제 안전성 실태조사. pp. 5-6 미소장
33 김주섭. (2006). 합성 염모제에 의한 모발손상 비교. 한국 미용학회, 12(1) 68 미소장
34 헤어 백신트리트먼트의 극손상모발 구조 복구 및 그 효능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35 정태수. (2006). 한국인의 천연항생제는 한국산 프로폴리스. 건강신문사, p. 10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