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韓非子》 寓言을 통해서 본 修辭學的 글쓰기 전략 : 《韓非子》 〈說林〉 편의 수사법을 중심으로 / 김원중 ; 심은경 ; 김연지 1

目次 1

I. 서론 1

II. 《韓非子》 〈說林〉에 나타난 수사법 유형 분석 4

III. 《韓非子》 〈說林〉 수사법의 실례 분석 8

1. 줄거리를 서술하는 기법 8

1) 추론적 결론을 유도하는 歸納法 8

2) 치밀한 언어 배열의 漸層法 10

2. 形狀을 그려내는 기법 12

1) 선택 상황을 설정하는 對偶法 12

2) 대화로 설득을 유도하는 問答法 15

3) 결과를 예견한 처세술로서의 假定法 17

4) 강렬한 감정표출의 誇張法 19

3. 寓意를 심화시키는 기법 21

IV. 결론 24

參考文獻 26

中文槪要 2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老子≫의 否定詞 用法 考察 김애실, 양만기 p.1-25

보기
≪太平廣記≫所引≪搜神記≫異文比較研究 =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texts between Tai Ping Guang Ji and Sou Shen Ji 王竹喧, 王楠 p.27-44

보기
노자의 수사학. 1, 음성반복과 어구반복 양회석 p.243-262

보기
수준차가 다양한 중국어 수업을 위한 개별화 교육 사례연구 정동보 p.67-95

보기
중국인 강사를 활용한 교양중국어 팀티칭 수업 방안 : S대학교의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강창구 p.97-123

보기
텍스트언어학의 주제전개방식과 중한번역 박은숙 p.125-147

보기
현대중국어 부가의문문의 화행 기능과 의사소통 효과 이범열 p.149-173

보기
論≪語言自邇集·異讀字音表≫的形成過程 張渭毅 p.197-221

보기
≪韓非子≫ 寓言을 통해서 본 修辭學的 글쓰기 전략 : ≪韓非子≫ <說林> 편의 수사법을 중심으로 김원중, 심은경, 김연지 p.263-290

보기
호응린과 왕사정의 시가창작이론 同異 고찰 李東勳 p.309-327

보기
근대 중국 탐정소설(偵探小說)의 대중성과 정전(正典)에 대한 도전 柳昌辰, 丁海里 p.329-350

보기
科幻小说的本体性知识 : 类型、要素与边界 唐旭 p.351-359

보기
위앤커지아(袁可嘉)의 시와 시론 연구 : 시의 '현대화(現代化)'와 '극화(劇化)'를 중심으로 김소현 p.361-379

보기
沈从文的1949年起文学的政治性与暴力实感经验研究 : 沈从文的两种殊异的绝境之实感经验的"暴力"层面比较 安善姬 p.381-425

보기
『붉은 수수밭(紅高粱)』의 영상 미학과 담론 : 민족주의(民族主義)와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의 錯綜 김정욱 p.427-451

보기
一廟二城隍 : 上海城隍廟의 구조적 특징 安東煥 p.453-479

보기
한중 돈 관련 속담에 나타난 은유의 인지적 분석 = A cognitive analysis of metaphors on money in Korean and Chinese proverbs 당약양 p.481-503

보기
싱가포르 화인의 다문화 수용성 조사 :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김주아 p.505-523

보기
"一带一路"背景下的滇藏沿边国家恐怖主义风险标识和发展趋势 : 基于GTD数据和GTI指数的ArcGIS标识和Excel趋势外推分析法 时仅, 涂波, 游楠 p.525-538

보기
漢、韓慣用語之跨文化漢語教學設計及策略 = The design of cross-cultural Chinese teaching plan for Chinese and Korean idioms : based study of advanced-level Korean learners 張筱儀, 張泰源 p.539-559

보기
后殖民主义视角下的上海想像 : 以≪点石斋画报≫为中心 张颖 p.579-594

보기
幼儿汉语学习过程中游戏化教学研究 : 以梦之果实幼儿园为例 刘君 p.223-241

보기
≪洪武正韻≫에 수록된 音變構詞에 관한 釋義用例 小考 : 上古漢語 變調構詞의 음의관계와 일부 불일치하는 용례를 위주로 염재웅 p.45-65

보기
汉语国际推广中教师素质提升 : 问题与对策 周士宏 p.175-182

보기
语言类型学视阈下的汉英转折类话语标记研究 胡文婷 p.183-196

보기
『歐蘇手簡』의 蘇東坡 黃州時期 手簡 硏究 유미정 p.291-307

보기
幫权结構下的华人社团 : 以马来西亞文冬华人大会堂为例 段晓红, 嚴英旭 p.561-577

보기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王先愼, ≪韓非子集解≫, 北京: 中華書局, 2007. 미소장
2 馬世年, ≪≪韓非子≫的成書及其文學硏究≫, 上海古籍出版社, 2011. 미소장
3 小野澤精一, ≪全釋漢文大系韓非上≫, 集英社, 1982. 미소장
4 張覺撰, ≪韓非子校疏析論≫, 知識産權出版社, 2013. 미소장
5 司馬遷, ≪史記≫, 北京: 中華書局, 2002. 17판. 미소장
6 吳禮權, ≪修辭心理學(修訂版)≫, 暨南大學出版社,2013. 미소장
7 劉向, 蔣筱波編譯, ≪戰國策≫, 西安: 三秦出版社, 2008. 미소장
8 Philip Wheelwright, The Burning Fountain, Blooming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59. 미소장
9 W. k. Wimsatt & C. Brooks, Literary Criticism II, New York, 1957. 미소장
10 William Nienhauser, Kao, Karl, S.Y. Chinese rhetoric, The Indiana companion to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85. 미소장
11 Peter Dixon 저, 강대건 역, 문학비평총서14, ≪修辭法Rhetoric≫,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2. 미소장
12 韓非子, 김원중 역, ≪한비자≫, 휴머니스트, 2017. 미소장
13 韓非子, 이운구 역, ≪한비자≫1ㆍ2, 한길사, 2011. 미소장
14 司馬遷, 김원중 역, ≪사기열전≫, 민음사, 2018. 미소장
15 司馬遷, 김원중 역 ≪사기세가≫, 민음사, 2019. 미소장
16 김원중, ≪중국문학이론의 실제≫, 을유문화사, 2000. 미소장
17 김학주, ≪중국고대문학사≫,신아사, 1983. 미소장
18 김학주 역, ≪시경≫, 명문당, 1984. 미소장
19 김현 편, ≪수사학≫, 문학과 지성사, 1985. 미소장
20 성백효 역주, ≪시경집전≫, 전통문화연구회, 2000. 미소장
21 陳蒲淸, 오수형 역, ≪중국우언문학사≫, 소나무, 1994. 미소장
22 陳蒲淸, 윤주필 역,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 지식산업사, 2010. 미소장
23 王夢鷗저, 이장우 역, ≪중국문학의 종합적 이해≫, 태양문화사, 1979 미소장
24 전인초, ≪중국고대소설사≫, 신아사, 1992. 미소장
25 조동일, ≪문학 연구 방법≫, 지식산업사, 1986. 미소장
26 張覺, <≪韓非子≫ 使用曆史故事和寓言的獨特風格淺說>, ≪西南民族学院学报(哲学社会科学版)≫, 第2期, 1990. pp. 75-77. 미소장
27 於亞飛, <莊子與韓非子寓言藝術特色批敎>, ≪貴州師範學院學報≫, 第31卷第8期, 2015. pp. 24-28. 미소장
28 譚家健, <≪韓非子≫寓言故事的特色>, ≪河北学刊≫, 1986. pp. 76-80. 미소장
29 孫豔秋, <≪莊子≫和≪韓非子≫寓言的不同特色>, ≪河南社會科學≫, 第16卷第3期, 2008. pp. 108-110. 미소장
30 宋興昌, <≪韓非子≫寓言的取材及成因>, ≪柳州職業技術學院學報≫, 2009. pp. 69-71. 미소장
31 陳德長, <≪韓非子≫寓言的文學價值>, ≪重慶師專學報≫第2期, 1994. pp. 67-70. 미소장
32 馬世年, <≪韓非子≫的成書及其文學研究>, 西北師範大學博士學位論文, 2005. 미소장
33 宋宏, <≪韓非子≫寓言研究>, 四川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2009. 미소장
34 王舸, <≪韩非子≫寓言的批判性研究>, 哈爾濱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15. 미소장
35 蔣振江, <≪韓非子≫“說林”, “儲說”研究>, 南京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07. 미소장
36 張婕, <≪韓非子≫寓言芻論>, 延邊大學碩士學位論文, 2011. 미소장
37 김원중, <≪韓非子≫를 통해서 본 韓非子의 글쓰기 전략에 관한 몇 가지 검토>, ≪中國學論叢≫제49집, 2016, pp. 99-122. 미소장
38 권석환, <≪莊≫ㆍ≪韓≫ 寓言의 장르적 계승관계>, ≪中國學論叢≫, 제2집, 1993, pp. 1-30 미소장
39 문승용, <韓非子에 나타난 修辭意識의 形成淵源考>, ≪수사학≫, 제16집, 2012, pp. 97-119. 미소장
40 이승훈, <고대중국수사학의 ‘설득’에 대한 연구― ≪韓非子≫의 <難言>과 <說難> 편을 중심으로>, ≪中國文學≫, 제64집, 2008, pp. 25-49. 미소장
41 정학성, <우언 양식의 서사 구조와 비판정신>, ≪동양학≫, 제38집, 2005, pp. 29-44. 미소장
42 한영걸, <≪한비자(韓非子)≫ 우언(寓言)의 일부 수사법(修辭法)에 대한 소고(小考)>, ≪동양학≫, 제70집, 2018, pp. 23-37. 미소장
43 황준연, <한비자의 세계와 인간에 대한 인식>, ≪유학연구≫, 제27집, 2012, pp. 305-329. 미소장
44 김원중, <≪文心雕龍≫修辭論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