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韓非子》 寓言을 통해서 본 修辭學的 글쓰기 전략 : 《韓非子》 〈說林〉 편의 수사법을 중심으로 / 김원중 ; 심은경 ; 김연지 1
目次 1
I. 서론 1
II. 《韓非子》 〈說林〉에 나타난 수사법 유형 분석 4
III. 《韓非子》 〈說林〉 수사법의 실례 분석 8
1. 줄거리를 서술하는 기법 8
1) 추론적 결론을 유도하는 歸納法 8
2) 치밀한 언어 배열의 漸層法 10
2. 形狀을 그려내는 기법 12
1) 선택 상황을 설정하는 對偶法 12
2) 대화로 설득을 유도하는 問答法 15
3) 결과를 예견한 처세술로서의 假定法 17
4) 강렬한 감정표출의 誇張法 19
3. 寓意를 심화시키는 기법 21
IV. 결론 24
參考文獻 26
中文槪要 2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王先愼, ≪韓非子集解≫, 北京: 中華書局, 2007. | 미소장 |
2 | 馬世年, ≪≪韓非子≫的成書及其文學硏究≫, 上海古籍出版社, 2011. | 미소장 |
3 | 小野澤精一, ≪全釋漢文大系韓非上≫, 集英社, 1982. | 미소장 |
4 | 張覺撰, ≪韓非子校疏析論≫, 知識産權出版社, 2013. | 미소장 |
5 | 司馬遷, ≪史記≫, 北京: 中華書局, 2002. 17판. | 미소장 |
6 | 吳禮權, ≪修辭心理學(修訂版)≫, 暨南大學出版社,2013. | 미소장 |
7 | 劉向, 蔣筱波編譯, ≪戰國策≫, 西安: 三秦出版社, 2008. | 미소장 |
8 | Philip Wheelwright, The Burning Fountain, Blooming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59. | 미소장 |
9 | W. k. Wimsatt & C. Brooks, Literary Criticism II, New York, 1957. | 미소장 |
10 | William Nienhauser, Kao, Karl, S.Y. Chinese rhetoric, The Indiana companion to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85. | 미소장 |
11 | Peter Dixon 저, 강대건 역, 문학비평총서14, ≪修辭法Rhetoric≫,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2. | 미소장 |
12 | 韓非子, 김원중 역, ≪한비자≫, 휴머니스트, 2017. | 미소장 |
13 | 韓非子, 이운구 역, ≪한비자≫1ㆍ2, 한길사, 2011. | 미소장 |
14 | 司馬遷, 김원중 역, ≪사기열전≫, 민음사, 2018. | 미소장 |
15 | 司馬遷, 김원중 역 ≪사기세가≫, 민음사, 2019. | 미소장 |
16 | 김원중, ≪중국문학이론의 실제≫, 을유문화사, 2000. | 미소장 |
17 | 김학주, ≪중국고대문학사≫,신아사, 1983. | 미소장 |
18 | 김학주 역, ≪시경≫, 명문당, 1984. | 미소장 |
19 | 김현 편, ≪수사학≫, 문학과 지성사, 1985. | 미소장 |
20 | 성백효 역주, ≪시경집전≫, 전통문화연구회, 2000. | 미소장 |
21 | 陳蒲淸, 오수형 역, ≪중국우언문학사≫, 소나무, 1994. | 미소장 |
22 | 陳蒲淸, 윤주필 역, ≪세계의 우언과 알레고리≫, 지식산업사, 2010. | 미소장 |
23 | 王夢鷗저, 이장우 역, ≪중국문학의 종합적 이해≫, 태양문화사, 1979 | 미소장 |
24 | 전인초, ≪중국고대소설사≫, 신아사, 1992. | 미소장 |
25 | 조동일, ≪문학 연구 방법≫, 지식산업사, 1986. | 미소장 |
26 | 張覺, <≪韓非子≫ 使用曆史故事和寓言的獨特風格淺說>, ≪西南民族学院学报(哲学社会科学版)≫, 第2期, 1990. pp. 75-77. | 미소장 |
27 | 於亞飛, <莊子與韓非子寓言藝術特色批敎>, ≪貴州師範學院學報≫, 第31卷第8期, 2015. pp. 24-28. | 미소장 |
28 | 譚家健, <≪韓非子≫寓言故事的特色>, ≪河北学刊≫, 1986. pp. 76-80. | 미소장 |
29 | 孫豔秋, <≪莊子≫和≪韓非子≫寓言的不同特色>, ≪河南社會科學≫, 第16卷第3期, 2008. pp. 108-110. | 미소장 |
30 | 宋興昌, <≪韓非子≫寓言的取材及成因>, ≪柳州職業技術學院學報≫, 2009. pp. 69-71. | 미소장 |
31 | 陳德長, <≪韓非子≫寓言的文學價值>, ≪重慶師專學報≫第2期, 1994. pp. 67-70. | 미소장 |
32 | 馬世年, <≪韓非子≫的成書及其文學研究>, 西北師範大學博士學位論文, 2005. | 미소장 |
33 | 宋宏, <≪韓非子≫寓言研究>, 四川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2009. | 미소장 |
34 | 王舸, <≪韩非子≫寓言的批判性研究>, 哈爾濱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15. | 미소장 |
35 | 蔣振江, <≪韓非子≫“說林”, “儲說”研究>, 南京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07. | 미소장 |
36 | 張婕, <≪韓非子≫寓言芻論>, 延邊大學碩士學位論文, 2011. | 미소장 |
37 | 김원중, <≪韓非子≫를 통해서 본 韓非子의 글쓰기 전략에 관한 몇 가지 검토>, ≪中國學論叢≫제49집, 2016, pp. 99-122. | 미소장 |
38 | 권석환, <≪莊≫ㆍ≪韓≫ 寓言의 장르적 계승관계>, ≪中國學論叢≫, 제2집, 1993, pp. 1-30 | 미소장 |
39 | 문승용, <韓非子에 나타난 修辭意識의 形成淵源考>, ≪수사학≫, 제16집, 2012, pp. 97-119. | 미소장 |
40 | 이승훈, <고대중국수사학의 ‘설득’에 대한 연구― ≪韓非子≫의 <難言>과 <說難> 편을 중심으로>, ≪中國文學≫, 제64집, 2008, pp. 25-49. | 미소장 |
41 | 정학성, <우언 양식의 서사 구조와 비판정신>, ≪동양학≫, 제38집, 2005, pp. 29-44. | 미소장 |
42 | 한영걸, <≪한비자(韓非子)≫ 우언(寓言)의 일부 수사법(修辭法)에 대한 소고(小考)>, ≪동양학≫, 제70집, 2018, pp. 23-37. | 미소장 |
43 | 황준연, <한비자의 세계와 인간에 대한 인식>, ≪유학연구≫, 제27집, 2012, pp. 305-329. | 미소장 |
44 | 김원중, <≪文心雕龍≫修辭論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