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기존의 소설문법으로는 『황제를 위하여』가 가진 특징을 제대로 포착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소설’은 서구 및 근대를 특권화하는 인식의 산물로서, 이전의 서사물과 단절적인 지점에서 파생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 전통에서 ‘小說’은 고정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서사물로 오히려 서구 소설을 하위 장르에 넣을 수 있는 보다 확장적인 의미망을 가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황제를 위하여』는 소설의 범주 및 개념과 관련한 보다 유연한 태도를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 텍스트 중의 하나이다. 본문에서 전통적 서사(양식)과 관련한 텍스트의 특징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눠서 설명했다. 첫 번째로 화자의 적극적 개입을 통해 독자를 설득하여 이야기 장으로 유인하는 화자와 독자의 상호성, 두 번째로 대화적 관계에 놓인 전통 텍스트들을 조합, 혼융, 갱신하는 상호텍스트성, 마지막으로 『정감록』이나 『도덕경』 등 비주류 고전 텍스트를 통해 지배 문화에 대한 조롱과 저항을 드러내는 반언술 형식이 그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주로 패러디의 서사적 확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서구의 근대 소설 담론에 대한 비판의식을 근간으로 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1~2권, 민음사, 2001. | 미소장 |
2 | 권성우, 「작가에게 보내는 젊은 비평가의 편지」, 작가세계, 세계사, 1989, 여름. | 미소장 |
3 | 구모룡, 「상실과 환멸, 그리고 관념의 문학」, 이문열 論, 삼인행, 1991, 102~112쪽. | 미소장 |
4 | 김명인, 「한 허무주의자의 길찾기」, 이문열 論, 삼인행, 1991, 162~191쪽. | 미소장 |
5 | 김미정, 「황제를 위하여와 “Pour l’empereur!”사이」, 한국근대문학연구17집, 한국근대문학회, 2016, 141~172쪽.(UCI: G704-001524.2016. 17.2.006) | 미소장 |
6 | 김용재, 「전통적 이야기 서술방식의 현대적 변용 양상 연구」, 국어문학 56집, 국어문학회, 2014, 157~176쪽.(UCI: G704-001819.2014.56.56.014) | 미소장 |
7 | 김욱동, 「낭만적 이상주의와 거대 이론의 위기: 황제를 위하여」, 이문열,민음사, 1994, 208~258쪽. | 미소장 |
8 | 김진곤, 「송원평화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6. | 미소장 |
9 | 김진곤, 「‘小說’, 자질구레한 이야기?」, 中國小說論叢 제53집, 한국중국소설학회, 2007, 85~128쪽.(DOI : 10.17004/jrcn.2017..53.004) | 미소장 |
10 | 김 현, 「베끼기의 문학적 의미」, 이문열 論, 삼인행, 1991, 256~265쪽. | 미소장 |
11 | 박희병, 조선후기 전의 소설적 성향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1993. | 미소장 |
12 | 서경호, 중국소설사, 서울대 출판부, 2004. | 미소장 |
13 | 유종호, 「능란한 이야기솜씨와 관념적 경향」, 이문열 論, 삼인행, 1991, 57~75쪽. | 미소장 |
14 | 이철호, 「장치로서의 연좌제」, 현대문학의 연구 56집,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369~396쪽.(UCI: G704-000952.2015..56.006: DOI: 10.35419/kmlit.2015..56.011) | 미소장 |
15 | 이형식, 작가와 신화, 청하, 1993. | 미소장 |
16 | 장영우, 「이문구 소설미학과 한국 소설의 가능성」, 현대문학의 연구 39집, 한국문학연구학회, 2009, 517~550쪽.(UCI : G704-000952.2009..39.010: DOI :10.35419/kmlit.2009..39.016) | 미소장 |
17 | 정재서,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에 대한 전통소설론적 접근」, 중국소설논총7집, 한국중국소설학회, 1998, 11~25쪽.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