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접속어미와 보조조사의 통합과 융합에 관하여 = On the combination and fusion of conjunctive ending and the postposition of delimitation / 최규수 1

차례 1

벼리 1

1. 들어가기 2

2. 통합과 융합을 구분하는 기준 5

3. '고서'와 '어서' 11

3.1. '-고'와 '-고서' 11

3.2. '-어'와 '-어서' 14

3.3. '서'의 범주 15

4. '고는, 고도'와 '어는, 어도' 17

4.1. '고는'과 '고도' 17

4.2. '어는'과 '어도' 21

5. '고서는, 고서도'와 '어서는, 어서도' 23

5.1. '고서는'과 '고서도' 23

5.2. '어서는'과 '어서도' 25

6. 마무리 27

참고 문헌 28

Abstract 3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종결어미 결합형 접속어미 새로 보기 = A novel view on the sequences of sentence finals plus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박소영 p.823-861

보기
제주 방언의 인용 구문과 매개변항 = Quotations in Jeju Korean and their parametric variation 김지홍 p.745-792

보기
경남 방언의 완전동화 현상 = Complete assimilation in the Gyeongnam dialect 김영선 p.705-743

보기
한국어 통사론의 나아갈 방향 = A better way to understand Korean syntax : a paradigm shift from an argument structure to a person structure : 논항 구조에서 인칭 구조로의 전환 목정수 p.891-940

보기
접속어미와 보조조사의 통합과 융합에 관하여 = On the combination and fusion of conjunctive ending and the postposition of delimitation 최규수 p.793-822

보기
'-음' 명사형 종결문의 확장에 반영된 문법 의식 연구 = A study on the grammatical competence of the extension of "-eum" nominal sentences 구현정 p.863-890

보기
한국어 정형 표현 선정의 기준과 쟁점 = Criteria for and issues in the selection of Korean formulaic expressions : the case of "-myeon" (If) : 연결어미 '-면' 포함 정형 표현의 사례를 중심으로 남길임, 최준 p.941-972

보기
타이어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과 대안 = Thai Hangeulization system : problems and alternatives 박한상 p.973-1016

보기
한자 파생 접사 인식도와 생산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nd productivity of Sino-Korean affixes : a focus on Chinese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정려란 p.1017-1044

보기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영근⋅구본관 .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미소장
2 김건희. 2012. 「연결 어미 ‘-고서, -아서/어서, -(으)면서’에 나타나는 ‘서’의 의미기능」, 국어학 65. 국어학회. 109~155쪽. 미소장
3 김종록. 2008. 「보조사 ‘-는’ 통합형 접속어미의 사전 표제어 분석」, 어문학 102. 한국어문학회. 67~87쪽. 미소장
4 김태상. 1990. 「접속어미 {-어}와 {-어(서)}」, 문학과 언어 11-1. 문학과 언어연구회. 85~109쪽. 미소장
5 나은미⋅최정혜. 2009. 「현대국어 보조사의 분포에 대한 연구」, 한국학연구 30. 고려대학교 민족학연구소. 131~159쪽. 미소장
6 박호관. 2012. 「융합형 연결어미 ‘-고서’의 의미 기능 분석」, 우리말글 56. 우리말글학회. 89~115쪽. 미소장
7 백낙천. 2000. 「통합형 접속어미의 형태 분석과 의미 기술」, 동악어문학 36. 동악어문학회. 165~182쪽. 미소장
8 백낙천. 2001. 「동사구 구성 통합형 접속어미의 형태론적 해석—‘-고서’, ‘-어서’, ‘-으면서’, ‘-고자’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13. 한국어학회. 151~170쪽. 미소장
9 송창선. 2009. 「보조사 ‘서’의 의미 특성 (2)」,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353~376쪽. 미소장
10 안명철. 1985. 「보조조사 ‘-서’의 의미」, 국어학 14. 국어학회. 478~506쪽. 미소장
11 오로지. 2012. 「연결어미 ‘-고도’, ‘-고는’의 문법, 의미 기술에 대하여」,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한국문법교육학회. 110~ 118쪽. 미소장
12 이금희. 2012. 「조건을 나타내는 ‘-다가는, -고는, -어서는, -고서는’에 대하여」, 언어와 문화 8-3.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27~250쪽. 미소장
13 정언학. 2003. 「중세국어 ‘-어 이셔>-에셔>-어셔’의 문법화에 대한 연구」, 어문연구 31-4.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58쪽. 미소장
14 최규수. 2014. 「한국어 용언 접속형의 문법 정보 표시 방법」, 우리말연구 38. 우리말학회. 45~71쪽. 미소장
15 최규수. 2018. 「‘이서’의 범주를 확인하는 기준에 관한 문제」, 한글 322. 한글학회. 829~855쪽. 미소장
16 허웅. 1995.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