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에서는 1869년부터 1894년까지 황후에게 부여된 역할과 지위가 어떻게 대중적으로 표상되었는지 니시키에를 통해 살펴보았다. 근대국가 건설을 위해 메이지정부는 국가적 모델이었던 서구의 황실을 본받아, 일부일처제를 적용하였다. 이후 황후는 일본이 문명국가임을 증명하기 위한 중요한 표상으로 등장한다.

사적영역에서 황후는 황실 개혁과 함께 여관의 총지휘자로서 지위를 확보해 간다. 이는 동시에 황후의 존재를 국민들에게 알리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황후는 여성국민들에게 허락된 공적영역에 해당하는 학교・제사공장・병원 등에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관심을 가진다. 이후, 1889년 헌법반포 등을 통해 메이지 근대국가 시스템이 확립될수록, 황후의 행보는 활발해지고, 공적영역에서 확실한 지위를 확립한다. 심지어 가장 남성적인 공간인 정치영역에서 황후의 존재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이렇게 황후의 존재가 가시화되고, 근대적 입헌황후로서의 역할이 니시키에라는 대중 저널리즘을 통해 표상체계를 확립해 가게 되었다. 이는 메이지기 여성들의 사회진출을 도모하고 여성의 국민화 프로세스에 황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本稿は1869年から1894年まで、皇后に与えられた役割と地位がどのように大衆的に表象されたのか錦絵を通じて検討した。近代国民国家の建設のため、明治政府は国家的なモデルであった西欧の皇室を見習い、一夫一婦制を受け入れた。その後、皇后は日本が文明国家であることを証明するための重要な表象として登場する。

私的領域において皇后は皇室改革を伴う「女官の総指揮者」としての地位を確保していく。これは同時に、皇后の存在を国民に知らせる機会でもあった。なお、皇后は女性国民に許された公的領域にある学校・製糸工場・病院などを積極的に支援し、関心を注ぐ。以降、1889年の憲法発布などを通じて明治近代国家システムが確立されるなか、皇后の役割はますます活発になり、公的領域でも確実な地位を確立する。最も男性的な空間である「政治領域」においても皇后の存在は現れ出た。このように皇后の存在は顕在化し、近代的な立憲皇后としての役割は錦絵といった大衆ジャーナリズムを通じて表象体系を確立していく。これは明治期の女性たちの社会進出を促すとともに、女性の国民化プロセスに皇后が重要な役割を果たしたことを示すものである。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日本の社会福祉専門職のwell-beingに影響を与える要因について = Factors affecting well-being of Japanese social welfare professional 益満孝一 p. 181-193
沖縄小説に見られる役割語 = Role language to be seen in Okinawa novel : at the center of one's tongue : 方言を中心に 西野恵利子 p. 165-180
근대 일본의 블룬칠리 수용과 한계에 관한 고찰 = 近代日本のブルンチュリー受容と限界に関する考察 : 加藤弘之の場合を中心に : 가토 히로유키의 경우를 중심으로 김도형 p. 25-48
한·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노후준비의식에 대한 연구 = 韓日地方自治体公務員の老後準備意識に関する研究 : 한국, 일본을 중심으로 김국환, 이국권, 장세철 p. 5-24
일본 사이고쿠 삼십삼소 순례의 현재적 의의와 기능 = 日本の西國三十三所巡禮の現在的な意義と機能 김용의 p. 75-94
장기요양서비스의 시장화와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 介護サービスの市場化と自治体における対応 : 일본 지자체의 요양인력 고용관리 사례와 시사점 김지미 p. 95-123
일본의 시코쿠헨로 개창 설화 = 日本の四国遍路の開創説話 : 衛門三郎の発心譚を中心に : 에몬 사부로의 발심담을 중심으로 송영숙 p. 219-239
일본의 애니메이션 성지순례와 도시의 전략 = 日本におけるアニメ聖地巡礼と都市の戦略 : 静岡県沼津市の訪問者増減及び商業施設の形状変化を中心に : 시즈오카현 누마즈 시의 관광객 증감 및 상업시설의 형상 변화를 중심으로 이정훈 p. 325-355
미야자키 하야오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연구 = 宮崎駿の『千と千尋の神隠し』の研究 :「復樂園」と「女性」をキーワードとして : '복락원'과 '여성'을 키워드로 김화영 p. 125-140
한국과 일본의 난임 부부 지원현황과 과제 = 韓国と日本の不妊夫婦支援の現状と課題 오미희 p. 241-259
메이지 황후의 부각과 이미지화 = 明治皇后の浮上とイメージ化 : 1869年から1894年における近代国家の立憲皇后としての表象 : 1869~1894년 근대국가 입헌황후로서의 표상 박시언, 박이진 p. 195-218

異文化間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を高める外国語教室づくり = Foreign language classroom design to foster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 international online collabo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 ICTを活用した日韓交流授業を事例に 呉恵卿 p. 261-281
피해의 범주에서 소거된 비국민, 시베리아 '일본군' 조선인 포로문제 = 被害の範疇から消去された非国民、シベリア日本軍朝鮮人捕虜の問題 : 舞鶴引揚記念館の展示形態を中心に : 마이즈루 인양기념관 전시형태를 중심으로 김 수용 p. 49-73
흥천사 감로도에 나타난 일본의 뇌신과 풍신 = 日本の妖怪を受容した韓国の仏画 노성환 p. 141-164

일본의 <퉁즈문학> = 日本の同志文學 : 李琴峰と日本における台湾LGBT文学の受容 : 리 고토미와 일본의 타이완 LGBT문학 수용 유수정 p. 283-303

요나구니방언의 어두자음군 = 与那国方言の語頭子音群 : 最適性理論による分析 : 최적성이론에 의한 분석 이병훈 p. 305-323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박이진(2019) 일본의 황후 표상과 젠더-천황가의 이미지 정치와 황후의 역할 , 『대동문화연구』 108집, pp.489-512. 미소장
2 손정아(2018) 메이지 초기 우키요에(浮世絵)의 하이브리드적 변형-신문니시키에(新聞錦絵)를 중심으로- , 『日語日文學研究』 제106집, pp.217-234. 미소장
3 김경리(2015a) 대일본제국헌법발포식니시키에(大日本帝國憲法發布式錦絵)의 쇼켄황태후(昭憲皇太后) 표상 , 『일본학보』 제105권, pp.285-301. 미소장
4 김경리(2015b) 시각이미지를 통한 근대일본의 표상연구-개항기부터 메이지시대까지 , 건국대학교 대학원, p.94. 미소장
5 육수화(2013) 메이지와 다이쇼시대의 황족과 화족여성 교육 , 『한국교육사학』 제35권 제4호, pp.99-128. 미소장
6 요네쿠보 아케미(2012) 『천황의 하루』, 김영사, pp.14-26. 미소장
7 오고시 아이코(2009) 『근대 일본의 젠더 이데올로기』, 전성곤 옮김, 소명출판, pp.5-30. 미소장
8 이명실(2008) 메이지 시기 일본의 여자교육과 여학생 , 『역사와 문화』 16호, pp.40-66. 미소장
9 타키 코지(2007) 『천황의 초상』, 박삼헌 옮김, 소명출판, pp.17-19. 미소장
10 와카쿠와 미도리(2007) 『황후의 초상』, 건국대학교 대학원 일본문화 언어학과 옮김, 소명출판, p.54, p.150, p.176, p.250, p.266, pp.290-291, p.302, p.346. 미소장
11 다카시 후지타니(1996) 『화려한 군주』, 한석정 옮김, 이산, pp.50-56, p.154. 미소장
12 森暢平河西秀哉(2018) 『皇后四代の歴史-昭憲皇太后から美智子皇后まで』, 吉川弘文館, pp. 17-31. 미소장
13 原武史(2017) 『<女帝>の日本史』, NHK出版新書529, p.41, p.185, pp.228-231. 미소장
14 小平美香(2014) 『昭憲皇太后からたどる近代』, ぺりかん社, p.30, pp.43-47. 미소장
15 米窪明美(2013.11) 昭憲皇太后と華族女学校,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復刊第50号], pp.35-50. 미소장
16 吉川龍子(2013) 明治期の赤十字看護敎育, 『明治聖德記念學會紀要』, 復刊第五十號, p.387. 미소장
17 米窪明美(2013) 昭憲皇太后と華族女学校,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제50호, pp.722-727. 미소장
18 小田部雄次(2010) 『昭憲皇太后貞明皇后-一筋に誠をもちて仕へなば』, ミネルヴァ書房, pp. 99-102, pp.107-109. 미소장
19 櫛田眞澄(2009) 『男女平等敎育沮害の要因-明治期女学校敎育の考察』, 明石書店, pp.251-292. 미소장
20 関口すみ子(2005) 『御一新とジェンダー 』, 東京大學出版会, pp.207-224. 미소장
21 片野真佐子(2001) 近代皇后像の形成, 『大正デモクラシー天皇制キリスト教』, 新教出版社, pp.94-133. 미소장
22 http://sukeikai.meijijingu.or.jp/(검색일: 2019.11.28) 미소장
23 https://www.yamada-shoten.com/onlinestore/(검색일: 2019.11.28) 미소장
24 https://archive.keiyou.jp/swu(검색일: 2019.11.28) 미소장
25 https://www.metmuseum.org/(검색일: 2019.11.28) 미소장
26 http://www.wul.waseda.ac.jp/kotenseki/search.php(검색일: 2019.11.28) 미소장
27 http://www.odagiri-tsushin.net/(검색일: 2019.11.2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