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에서는 1869년부터 1894년까지 황후에게 부여된 역할과 지위가 어떻게 대중적으로 표상되었는지 니시키에를 통해 살펴보았다. 근대국가 건설을 위해 메이지정부는 국가적 모델이었던 서구의 황실을 본받아, 일부일처제를 적용하였다. 이후 황후는 일본이 문명국가임을 증명하기 위한 중요한 표상으로 등장한다.
사적영역에서 황후는 황실 개혁과 함께 여관의 총지휘자로서 지위를 확보해 간다. 이는 동시에 황후의 존재를 국민들에게 알리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황후는 여성국민들에게 허락된 공적영역에 해당하는 학교・제사공장・병원 등에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관심을 가진다. 이후, 1889년 헌법반포 등을 통해 메이지 근대국가 시스템이 확립될수록, 황후의 행보는 활발해지고, 공적영역에서 확실한 지위를 확립한다. 심지어 가장 남성적인 공간인 정치영역에서 황후의 존재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이렇게 황후의 존재가 가시화되고, 근대적 입헌황후로서의 역할이 니시키에라는 대중 저널리즘을 통해 표상체계를 확립해 가게 되었다. 이는 메이지기 여성들의 사회진출을 도모하고 여성의 국민화 프로세스에 황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本稿は1869年から1894年まで、皇后に与えられた役割と地位がどのように大衆的に表象されたのか錦絵を通じて検討した。近代国民国家の建設のため、明治政府は国家的なモデルであった西欧の皇室を見習い、一夫一婦制を受け入れた。その後、皇后は日本が文明国家であることを証明するための重要な表象として登場する。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박이진(2019) 일본의 황후 표상과 젠더-천황가의 이미지 정치와 황후의 역할 , 『대동문화연구』 108집, pp.489-512. | 미소장 |
2 | 손정아(2018) 메이지 초기 우키요에(浮世絵)의 하이브리드적 변형-신문니시키에(新聞錦絵)를 중심으로- , 『日語日文學研究』 제106집, pp.217-234. | 미소장 |
3 | 김경리(2015a) 대일본제국헌법발포식니시키에(大日本帝國憲法發布式錦絵)의 쇼켄황태후(昭憲皇太后) 표상 , 『일본학보』 제105권, pp.285-301. | 미소장 |
4 | 김경리(2015b) 시각이미지를 통한 근대일본의 표상연구-개항기부터 메이지시대까지 , 건국대학교 대학원, p.94. | 미소장 |
5 | 육수화(2013) 메이지와 다이쇼시대의 황족과 화족여성 교육 , 『한국교육사학』 제35권 제4호, pp.99-128. | 미소장 |
6 | 요네쿠보 아케미(2012) 『천황의 하루』, 김영사, pp.14-26. | 미소장 |
7 | 오고시 아이코(2009) 『근대 일본의 젠더 이데올로기』, 전성곤 옮김, 소명출판, pp.5-30. | 미소장 |
8 | 이명실(2008) 메이지 시기 일본의 여자교육과 여학생 , 『역사와 문화』 16호, pp.40-66. | 미소장 |
9 | 타키 코지(2007) 『천황의 초상』, 박삼헌 옮김, 소명출판, pp.17-19. | 미소장 |
10 | 와카쿠와 미도리(2007) 『황후의 초상』, 건국대학교 대학원 일본문화 언어학과 옮김, 소명출판, p.54, p.150, p.176, p.250, p.266, pp.290-291, p.302, p.346. | 미소장 |
11 | 다카시 후지타니(1996) 『화려한 군주』, 한석정 옮김, 이산, pp.50-56, p.154. | 미소장 |
12 | 森暢平河西秀哉(2018) 『皇后四代の歴史-昭憲皇太后から美智子皇后まで』, 吉川弘文館, pp. 17-31. | 미소장 |
13 | 原武史(2017) 『<女帝>の日本史』, NHK出版新書529, p.41, p.185, pp.228-231. | 미소장 |
14 | 小平美香(2014) 『昭憲皇太后からたどる近代』, ぺりかん社, p.30, pp.43-47. | 미소장 |
15 | 米窪明美(2013.11) 昭憲皇太后と華族女学校,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復刊第50号], pp.35-50. | 미소장 |
16 | 吉川龍子(2013) 明治期の赤十字看護敎育, 『明治聖德記念學會紀要』, 復刊第五十號, p.387. | 미소장 |
17 | 米窪明美(2013) 昭憲皇太后と華族女学校,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제50호, pp.722-727. | 미소장 |
18 | 小田部雄次(2010) 『昭憲皇太后貞明皇后-一筋に誠をもちて仕へなば』, ミネルヴァ書房, pp. 99-102, pp.107-109. | 미소장 |
19 | 櫛田眞澄(2009) 『男女平等敎育沮害の要因-明治期女学校敎育の考察』, 明石書店, pp.251-292. | 미소장 |
20 | 関口すみ子(2005) 『御一新とジェンダー 』, 東京大學出版会, pp.207-224. | 미소장 |
21 | 片野真佐子(2001) 近代皇后像の形成, 『大正デモクラシー天皇制キリスト教』, 新教出版社, pp.94-133. | 미소장 |
22 | http://sukeikai.meijijingu.or.jp/(검색일: 2019.11.28) | 미소장 |
23 | https://www.yamada-shoten.com/onlinestore/(검색일: 2019.11.28) | 미소장 |
24 | https://archive.keiyou.jp/swu(검색일: 2019.11.28) | 미소장 |
25 | https://www.metmuseum.org/(검색일: 2019.11.28) | 미소장 |
26 | http://www.wul.waseda.ac.jp/kotenseki/search.php(검색일: 2019.11.28) | 미소장 |
27 | http://www.odagiri-tsushin.net/(검색일: 2019.11.2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