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장애학생 자기결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occupation therapists toward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index of self-determination 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강세진 ; 최국환 1
요약 1
I. 서론 1
II.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6
3. 연구절차 7
III. 연구결과 8
1.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 집단 간 자기결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8
2. 작업치료사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9
3. 특수교사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10
4. 작업치료사의 인적사항정보에 따른 자기결정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11
5. 특수교사의 인적사항정보에 따른 자기결정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13
IV. 결론 및 논의 16
1.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 집단 간 자기결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16
2.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 집단 내 자기결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16
3.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인적사항정보에 따른 자기결정의 중요도와 실행도 17
4.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9
참고문헌 22
Abstract 25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위영·나운환·박경순·류정진·정명현·김동주·정승원·강윤주. (2009). 직업재활개론. 나눔의 집. | 미소장 |
2 | 기정희. (2001). 고등학교 경도 장애학생 전이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비교 : 특수교육전문가, 특수교사, 장애학생 부모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3 | 김경양·박은혜 (2014). 지체 및 중복장애 분야에서의 자기결정 관련 연구동향 고찰.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구 중복· 지체부자유아교육), 57(1), 45-68. | 미소장 |
4 | 김수현 (2002).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고등부 교사들의 성교육 실태 조사 연구: 서울시와 경기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은주 (2009). 자기결정기술 교수전략에 대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수준.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Study on the relation of self-determination with quality of life and full-inclus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소장 |
7 | 김혜리·박재국 (2010).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1(1), 25-42. | 미소장 |
8 | 김효선·박재국·전혜영 (2016)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8(3), 215-241. | 미소장 |
9 | 류은경 (2010).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결정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조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박성우·김용욱 (2005)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12(2). | 미소장 |
11 | 박정임, 이금진. (2011).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7(4), 291-319. | 미소장 |
12 | 서효정·전병운 (2012). 한국과 미국의 자기결정 인식 관련 연구 동향 비교분석: 2000-2011년 논문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46(4), 1-27. | 미소장 |
13 | 이숙향 (2009).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및 교수 실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10(2), 195-229. | 미소장 |
14 | 오정민 (2002). 자기결정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에 관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 미소장 |
15 | 오정민·박은혜. (2003). 자기결정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 및 교수 실행도에 관한 조사. 아시아교육연구, 4(1), 17-39. | 미소장 |
16 | 이옥인·백은희 (2007). 정신지체 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자기결정 학습모형 탐색. 특수교육학연구, 42(1). | 미소장 |
17 | 최국환 (2018). 장애학생 부모상담. 학지사. | 미소장 |
18 | 최성숙 (2013). 자기결정 교수 실행도와 장애학생 자기결정의 관계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인적자원정책 전공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9 | 한대성·신민주·유영미·유연환·홍승표·박수현. (2011). Perceived efficacy and goal setting system과 자기 효능감 검사의 상관관계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2), 111-120. | 미소장 |
20 | Teacher Perceptions of Self-Determination: Benefits, Characteristics, Strategies ![]() |
미소장 |
21 | Perceptions of self-determination by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based on viewing a self-directed IEP versus an external-directed IEP meeting ![]() |
미소장 |
22 | Parent Assessments of Self-Determinati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Students with Autism or Intellectual Disability ![]() |
미소장 |
23 |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and Use of Interventions and Barriers to Promoting Student Self-Determination ![]() |
미소장 |
24 | Fostering shared decision making by occupational therapists and workers involved in accidents resulting in persist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A study protocol ![]() |
미소장 |
25 |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n promoting self-determination through consumer-directed supports. ![]() |
미소장 |
26 |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Views of Parents and Teachers. ![]() |
미소장 |
27 | Izzo, M., & Lamb, P. (2002).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Development: Skills for Successful Transition to Postsecondary Education and Employment. A White Paper written in collaboration with Ohio State University, the Center on Disability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and the National Center on Secondary Education and Transition. Available for download in PDF (45pages) at http://www.ncsethawaii.edu/Publica-tions/index.html#papers. | 미소장 |
28 | Josefsson, K. W. (2016) Suggesting a synergy betwee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erson-centerd care. Jacobs Journal of Physical Rehabilitation Medicine, 2(2). | 미소장 |
29 | Physician as partner or salesman? Shared decision-making in real-time encounters ![]() |
미소장 |
30 | Lachapelle, Y., Wehmeyer, M. L., Haelewyck, M.C., Courbois, Y., Keith, K. D., Schalock, R., Verdugo, M. A., & Walsh, P. N.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self-determination: An international study. Journal of Intellectual Ddisability Research, 49(10), 740-744. | 미소장 |
31 | Paraprofessional Involvement in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High-Incidence Disabilities ![]() |
미소장 |
32 | Is goal planning in rehabilitation effective? A systematic review. ![]() |
미소장 |
33 | Implementation of Self-Determination Activities and Student Participation in IEPS ![]() |
미소장 |
34 | Self-determination Theory: A Framework for Enhancing Patient-centered Care ![]() |
미소장 |
35 | Family centred care: a review of qualitative studies ![]() |
미소장 |
36 | Theoretical aspects of goal-setting and motivation in rehabilitation. ![]() |
미소장 |
37 | Perspectives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ors on Fostering Self-Determin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 |
미소장 |
38 | Variables that influence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Conclusions from the data. ![]() |
미소장 |
39 | Wehmeyer, M. L., Abery, B. A., Mithaug, D. E., & Stancliffe, R. J. (2003). Theory in self-determination: Found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IL: Charles C Thomas. | 미소장 |
40 | A National Survey of Teachers' Promotion of Self-Determination and Student-Directed Learning. ![]() |
미소장 |
41 | Wehmeyer, M. L., & Field, S. L. (2007). Self-determination: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strategies. CA: Corwin press. | 미소장 |
42 | Wong, P. K. S., & Wong, D. F. K. (2008). Enhancing staff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 in supporting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residental settings in the Hong Kong.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52(3), 230-243. | 미소장 |
43 | Occupational performance: a case for self‐determination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