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다섯 문단 글쓰기 교육의 실제= Five-paragraph theme in writing instruction. 2, Korean language learners' perceptions . 2, 한국어 학습자 인식 연구 곽수범 p. 145-169
허은의 생애담 연구 = A study on the life story of Huhun 한경희 p. 473-500
대학생의 자기 지각 듣기 능력과 듣기 성향 관계 분석 =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listening ability and the listening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김미선, 정윤희 p. 385-409
창의적 사고를 유도하는 고전교육 교수법 연구 = Development of classical teaching methods to induce creative thinking 주민재 p. 501-528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발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제안 = Sugges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r enhancing foreign graduate students' discovery ability in academic writing 민정호 p. 227-252
독자와 비독자 이해하기 = Understanding readers and non-readers : focusing on terms, status,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conversion : 용어, 현황, 특성, 생성·전환을 중심으로 이순영 p. 357-384
의사소통 교과목에서의 플립 러닝 교수․학습 방법의 도입과 적용에 대하여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ommunication courses : ㄷ여대 <글쓰기와 프레젠테이션> 수업에서의 시범적 시행 결과를 중심으로 이재현 p. 113-143
대학생의 학습 목적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비판적 담화분석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sommunication for learning 최건아 p. 1-43

예비 교사의 쓰기 막힘 양상과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writing block's patterns and perception of preliminary teachers 장은섭, 송주영 p. 253-287
드라마의 극작법과 극적 장르의 문해력 = Dramaturgie of modern drama and literacy of dramatik : on analyzing Kim Woo-jin'splaywriting <Lee Young-nyeo> : 김우진의 <이영녀> 분석을 통해 김기란 p. 411-442
한남대 글쓰기 수업의 효율적 글쓰기 훈련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efficient writing training in writing class at Hannam University : '글쓰기' 교과와 '글쓰기 상담교실'의 연계를 중심으로 진선정 p. 289-327
협력적 의사소통 능력 평가 틀 구안 = A study on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assessment framework 박재현, 백정이, 양경희, 최영인 p. 75-111
결론 문장 진술의 이유와 양상 = Reasons and aspects of the concluding sentence statement 김재봉 p. 171-202
로"> '고학생 드라마'의 등장과 '상호부조'의 극장화 = The emergence of "working students dramas" and the theatricalization of 'mutual aid' : from 'The Death of Lee Dong-hwa' to 'The Death of Kim Young-il' : '이동화의 죽음'에서 <김영일의 사>로 우수진 p. 443-472
교육토론을 통한 공감적 의사소통능력 신장 연구 = A study on the empirical communication ability enhancement through academic debate 최석환 p. 45-74
읽기 교육에서 교사 신념에 대한 연구 동향 고찰 = A review of research on teachers' beliefs in reading education 백혜선 p. 329-356

소설 「오토포이에시스」를 통해 본 인공지능시대의 글쓰기 = Writing in the AI era through the novel Autopoiesis 김중철 p. 203-226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병모(2018), 오토포이에시스, 단 하나의 문장, 문학동네 미소장
2 고선규(2019), 인공지능과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타커스. 미소장
3 구본권(2016), 로봇시대, 인간의 길, 어크로스. 미소장
4 권성규(2016), 글쓰기가 어려운 근원적 이유, 기계저널 56(5), 대한기계학회. 미소장
5 김언(2016), 언제 올지 모르지만, 이미 오고 있는, 문장 생성기에 대한 고달픈 명상, 현대시학 563, 현대시학회, 49-59. 미소장
6 김연순(2009), 기계인간에서 사이버휴먼으로, 성균관대출판부. 미소장
7 김욱동(1998),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미소장
8 인공지능시대의 글쓰기 직업과 인쇄출판소비 소장
9 게이비 우드(2004), 살아있는 인형-인공 생명의 창조, 그 욕망에 관한 이야기, 이제이북스. 미소장
10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미셀 루트번스타인(2007), 박종성 역, 생각의 탄생, 에코의서재. 미소장
11 박진, 김행숙(2004), 문학의 새로운 이해, 청동거울. 미소장
12 신범순, 조영복(2000), 깨어진 거울의 눈, 현암사. 미소장
13 오윤호(2019), 인간을 매혹한 감정 기계, 2019 대중서사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대중서사학회. 미소장
14 오새내(2018), 독해력은 인공지능 시대의 생존력이다, 말과글 155, 한국어문기자협회, 43-48. 미소장
15 이광형(2019), 인간지능과 컴퓨터 연결하는 초지능 시대 선도해야, 중앙일보2019.10.17. 미소장
16 이정엽(2017), AI를 통한 글쓰기와 작가의 운명 -コンピュータが小説を書く日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68, 현대소설학회, 104-131. 미소장
17 월터 프릭(2017), 인공지능이 아직은 이 글을 쓸 수 없는 이유, 하버드비즈니스리뷰, 11-12. 미소장
18 조재룡(2017), 시, 그리고 인공지능이 ..., 모:든 시(창간호), 48-74. 미소장
19 최일규(2019), 구성적 인공지능의 오토포이에시스와 인간과의 윤리적 공생가능성, 대동철학 87, 대동철학회, 237-256. 미소장
20 채호석(2018), Null의 세계, 문학사상 47-10, 문학사상사. 미소장
21 http://www.munhwada.net/home/m_view.php?ps_db=letters_ko&ps_boid=202(오태호의 여백 문학-‘미래의 백지’에 새길 ‘궁극의 한 문장’ 찾기)(검색일 : 2019. 5. 2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