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삼국유사(三國遺事)』 <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 조에 나타난 '그림자 투사'의 문제 연구 = A research on the problem of shadow projection in “Nambaegwol-iseong,” a script of Samgugyusa 조홍윤 p. 385-411
<장화홍련전>을 통해 본 장화, 홍련의 자기인식 문제 = Self-awareness problems of women in “JanghwaHongryeonjeon” 박시언 p. 345-383
질병의 낭만과 공포 = Romance and fear of illness : illness as metaphor : 은유로서의 질병 최성민 p. 315-344

문학치료를 위한 자기서사 진단과 해석 연구 = Story-in-depth diagnosis for literary therapy : concept, compositio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MMSS, a new diagnostic tool : MMSS 진단지의 성격과 구성, 해석과 활용 신동흔 p. 9-104
무신정권기 문인들의 문학에 나타난 출사와 은둔 지향의 양면적 심리 고찰 = Literati's double-sided psychology of government service and a secluded life style shown in their literary works in the military regime : focusing on the healing function of secluded-life-oriented works : 은둔 지향 작품 창작이 지닌 치유적 기능에 주목하여 박경주 p. 251-284
대만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나타난 정성공(鄭成功) 서사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rratives of the Taiwan's Zheng Chenggong television programs : <국성야전기>(國姓爺傳奇, 1993)와 <파이팅: 대만사람의 역사>(打拼:臺灣人民的歴史, 2007)를 중심으로 김여주 p. 413-447
구비설화를 활용한 청소년 생명지킴이의 생명존중인식 변화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gatekeeper training literary therapy program using folktales 김혜미 p. 173-216

니체와 불교의 치유적 사유로 본 김일엽의 시 = Kim Il-yeop’s poetry viewed through the healing thought of Nietzsche and Buddhism 우남희 p. 285-313
민담 <두 나그네>를 활용한 문학치료학적 상담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literary therapy using the fairytale <Two Travelers> : based on MMSS examination analysis and the “Shadow” archetype theory : MMSS검사 분석과 '그림자'원형 이론을 배경으로 김은정 p. 217-250
'형제급난'의 서사적 전변과 우애의 신화화 = Narrative development of “Impending Calamity Between Two Brothers” and mythologizing brotherhood : 한국사회의 '형제서사' 진단과 치유적 전개 방향 김수연 p. 105-140

향가 <제망매가>의 죽음 의식과 공감을 위한 문학치료적 방안 = A study on the death consciousness and literary therapeutic way for sympathy in the Hyangga <Ode to the Deceased Sister> 김정애 p. 141-172

참고문헌 (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장화홍련전』, 경성서적업조합, 1915. 미소장
2 강상순, 『귀신과 괴물-조선 유교 사회의 그림자』, 소명출판, 2017. 미소장
3 강혜경, 「유교문화속의 여성의 자아-수용성(Receptivity)과 감응성 (Responsiveness)을 중심으로」, 『유교문화연구』 15,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미소장
4 고미숙, 『나의 운명 사용설명서』, 북드라망, 2012. 미소장
5 권순긍, 『장화홍련전』, 휴머니스트, 2012. 미소장
6 김수연, 「한국 고소설을 통해 본 한국역사문화의 트라우마와 치유 -역사, 사회, 가족 ; “모성 대상”에 대한 자기서사의 단절과 재건: < 장화홍련전 >」, 『고소설연구』 40, 한국고소설학회, 2015. 미소장
7 김지혜, 「고전소설에 나타난 원사의 양상과 애도방식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미소장
8 김찬호, 『모멸감』, 문학과지성사, 2014. 미소장
9 김평식ㆍ이상인, 「가정폭력범죄 여성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및 피해자 과정」, 『한국중독범죄학회보』 7, 한국중독범죄학회, 2017. 미소장
10 김혜미, 「폭력서사의 진단 및 개선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미소장
11 문현아, 「판결문 내용분석을 통한 조선후기 아내살해 사건의 재해석: 『추관지(秋官志)』 사례를 중심으로」, 『진단학보』 113, 진단학회, 2011. 미소장
12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재실 옮김, 『이미지와 상징』, 까치, 2013. 미소장
13 백민정, 「흠흠신서의 여성 관련 범죄 분석을 통해 본 정약용의 여성 인식과 시대적 의미」, 『동방학지』 17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미소장
14 서경희, 「가정 폭력의 실상과 해석의 간극, 그리고 효담론의 작동 방식 -<장화홍련전>을 중심으로」, 『온지논총』 58, 온지학회, 2019. 미소장
15 서은아, 「<장화, 홍련> 이야기의 문학치료적 효용」, 『문학치료연구』 7, 한국문학치료학회, 2007. 미소장
16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비교해 본 <장화홍련전>과 <장화, 홍련> 소장
17 소니아 아라티ㆍ다비드 바바소리ㆍ로이크 Mㆍ빌레르뷔, 배영미 옮김, 『범죄심리』, NUN, 2010. 미소장
18 수잔 포워드, 김형섭 옮김, 『독이 되는 부모』, 푸른육아, 2008. 미소장
19 신동흔 외, 『프로이트, 심청을 만나다』, 웅진지식하우스, 2010. 미소장
20 신동흔, 「<바리공주> 신화에서 ‘낙화’의 상징성과 주제적 의미」, 『구비문학 연구』 49, 한국구비문학회, 2018. 미소장
21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서사 분석 요소와 체계 연구」, 『문학치료연구』49,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미소장
22 신동흔,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보완 확장 방안 연구」, 『문학치료연구』 38,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미소장
23 심우장, 「<장화홍련전>에 나타난 죽음의 제의적 해석」, 『국어국문학』 149, 국어국문학회, 2008. 미소장
24 에리히 프롬, 황문수 옮김, 『사랑의 기술』, 문예출판사, 2006. 미소장
25 오창호, 『사회심리와 인간소외』, 푸른 사상, 2006. 미소장
26 유승희, 「19세기 여성관련 범죄에 나타난 갈등 양상과 사회적 특성-『추조결옥록(秋曹決獄錄)』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73,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미소장
27 윤정안, 「계모를 위한 변명: 『장화홍련전』 속 계모의 분노와 좌절」, 『민족문학사연구』 57, 민족문학사학회, 2015. 미소장
28 이강엽, 「<장화홍련전> 재생담의 의미와 기능」, 『열상고전연구』 13, 열상고전연구회, 2000. 미소장
29 이윤경, 「계모형 가정소설의 서사구조적 원리와 존재양상 연구」, 『고소설연구』 16, 한국고소설학회, 2003. 미소장
30 이정원, 「<장화홍련전>의 환상성」, 『고소설연구』 20, 한국고소설학회, 2005. 미소장
31 정보미ㆍ김종철, 「‘희소성’ 개념의 교과 융합적 활용 방안 -<장화홍련전>의 가족 갈등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59, 한중인문학회, 2018. 미소장
32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문학치료연구』 9,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미소장
33 정운채, 「질투에 대한 고전문학의 특별한 시각」, 『고전문학과 교육』 9,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5. 미소장
34 정지영, 「[문학 속의 사회사] 『장화홍련전』 -조선후기 재혼가족 구성원의 지위」, 『역사비평』 61, 역사비평사, 2002. 미소장
35 조영임, 「프랑스의 ‘노동에 있어 정신적 괴롭힘(harcélement)의 규제에 관한 법리’」, 『노동법노총』 22,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1. 미소장
36 Masculine Domination and Female Model of Janghwahonglyunjun[薔花紅蓮傳] 소장
37 카를 융 외, 김양순 옮김, 『인간과 상징』, 동서문화사, 2013. 미소장
38 표창원ㆍ지승호, 『공범들의 도시』, 김영사, 2013. 미소장
39 한희숙, 「조선 후기 양반여성의 생활과 여성 리더십-17세기 행장을 중심으로」, 『여성과 역사』 9, 한국여성사학회, 2008. 미소장
40 황성현ㆍ이창한ㆍ이강훈ㆍ이완희ㆍ한우재, 『한국 범죄심리학』, 피앤씨미디어, 2015. 미소장
41 황혜진, 「문화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고전소설과 영사변용물의 비교 연구」, 『국어교육』 116, 한국어교육학회, 200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