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장화홍련전』, 경성서적업조합, 1915. | 미소장 |
2 | 강상순, 『귀신과 괴물-조선 유교 사회의 그림자』, 소명출판, 2017. | 미소장 |
3 | 강혜경, 「유교문화속의 여성의 자아-수용성(Receptivity)과 감응성 (Responsiveness)을 중심으로」, 『유교문화연구』 15,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0. | 미소장 |
4 | 고미숙, 『나의 운명 사용설명서』, 북드라망, 2012. | 미소장 |
5 | 권순긍, 『장화홍련전』, 휴머니스트, 2012. | 미소장 |
6 | 김수연, 「한국 고소설을 통해 본 한국역사문화의 트라우마와 치유 -역사, 사회, 가족 ; “모성 대상”에 대한 자기서사의 단절과 재건: < 장화홍련전 >」, 『고소설연구』 40, 한국고소설학회, 2015. | 미소장 |
7 | 김지혜, 「고전소설에 나타난 원사의 양상과 애도방식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미소장 |
8 | 김찬호, 『모멸감』, 문학과지성사, 2014. | 미소장 |
9 | 김평식ㆍ이상인, 「가정폭력범죄 여성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및 피해자 과정」, 『한국중독범죄학회보』 7, 한국중독범죄학회, 2017. | 미소장 |
10 | 김혜미, 「폭력서사의 진단 및 개선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미소장 |
11 | 문현아, 「판결문 내용분석을 통한 조선후기 아내살해 사건의 재해석: 『추관지(秋官志)』 사례를 중심으로」, 『진단학보』 113, 진단학회, 2011. | 미소장 |
12 |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재실 옮김, 『이미지와 상징』, 까치, 2013. | 미소장 |
13 | 백민정, 「흠흠신서의 여성 관련 범죄 분석을 통해 본 정약용의 여성 인식과 시대적 의미」, 『동방학지』 17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 미소장 |
14 | 서경희, 「가정 폭력의 실상과 해석의 간극, 그리고 효담론의 작동 방식 -<장화홍련전>을 중심으로」, 『온지논총』 58, 온지학회, 2019. | 미소장 |
15 | 서은아, 「<장화, 홍련> 이야기의 문학치료적 효용」, 『문학치료연구』 7, 한국문학치료학회, 2007. | 미소장 |
16 |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비교해 본 <장화홍련전>과 <장화, 홍련> | 소장 |
17 | 소니아 아라티ㆍ다비드 바바소리ㆍ로이크 Mㆍ빌레르뷔, 배영미 옮김, 『범죄심리』, NUN, 2010. | 미소장 |
18 | 수잔 포워드, 김형섭 옮김, 『독이 되는 부모』, 푸른육아, 2008. | 미소장 |
19 | 신동흔 외, 『프로이트, 심청을 만나다』, 웅진지식하우스, 2010. | 미소장 |
20 | 신동흔, 「<바리공주> 신화에서 ‘낙화’의 상징성과 주제적 의미」, 『구비문학 연구』 49, 한국구비문학회, 2018. | 미소장 |
21 |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서사 분석 요소와 체계 연구」, 『문학치료연구』49,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 미소장 |
22 | 신동흔,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보완 확장 방안 연구」, 『문학치료연구』 38,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 미소장 |
23 | 심우장, 「<장화홍련전>에 나타난 죽음의 제의적 해석」, 『국어국문학』 149, 국어국문학회, 2008. | 미소장 |
24 | 에리히 프롬, 황문수 옮김, 『사랑의 기술』, 문예출판사, 2006. | 미소장 |
25 | 오창호, 『사회심리와 인간소외』, 푸른 사상, 2006. | 미소장 |
26 | 유승희, 「19세기 여성관련 범죄에 나타난 갈등 양상과 사회적 특성-『추조결옥록(秋曹決獄錄)』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73,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 미소장 |
27 | 윤정안, 「계모를 위한 변명: 『장화홍련전』 속 계모의 분노와 좌절」, 『민족문학사연구』 57, 민족문학사학회, 2015. | 미소장 |
28 | 이강엽, 「<장화홍련전> 재생담의 의미와 기능」, 『열상고전연구』 13, 열상고전연구회, 2000. | 미소장 |
29 | 이윤경, 「계모형 가정소설의 서사구조적 원리와 존재양상 연구」, 『고소설연구』 16, 한국고소설학회, 2003. | 미소장 |
30 | 이정원, 「<장화홍련전>의 환상성」, 『고소설연구』 20, 한국고소설학회, 2005. | 미소장 |
31 | 정보미ㆍ김종철, 「‘희소성’ 개념의 교과 융합적 활용 방안 -<장화홍련전>의 가족 갈등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59, 한중인문학회, 2018. | 미소장 |
32 |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문학치료연구』 9,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 미소장 |
33 | 정운채, 「질투에 대한 고전문학의 특별한 시각」, 『고전문학과 교육』 9,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5. | 미소장 |
34 | 정지영, 「[문학 속의 사회사] 『장화홍련전』 -조선후기 재혼가족 구성원의 지위」, 『역사비평』 61, 역사비평사, 2002. | 미소장 |
35 | 조영임, 「프랑스의 ‘노동에 있어 정신적 괴롭힘(harcélement)의 규제에 관한 법리’」, 『노동법노총』 22,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1. | 미소장 |
36 | Masculine Domination and Female Model of Janghwahonglyunjun[薔花紅蓮傳] | 소장 |
37 | 카를 융 외, 김양순 옮김, 『인간과 상징』, 동서문화사, 2013. | 미소장 |
38 | 표창원ㆍ지승호, 『공범들의 도시』, 김영사, 2013. | 미소장 |
39 | 한희숙, 「조선 후기 양반여성의 생활과 여성 리더십-17세기 행장을 중심으로」, 『여성과 역사』 9, 한국여성사학회, 2008. | 미소장 |
40 | 황성현ㆍ이창한ㆍ이강훈ㆍ이완희ㆍ한우재, 『한국 범죄심리학』, 피앤씨미디어, 2015. | 미소장 |
41 | 황혜진, 「문화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고전소설과 영사변용물의 비교 연구」, 『국어교육』 116, 한국어교육학회, 200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