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덕 발달과 행위판단 = Virtue development and action judgment / 노영란 1

요약 1

I. 머리말 2

II. 삶의 단계에 상대적인 덕 3

III. 아리스토텔레스와 삶의 단계에 상대적인 덕 7

IV. 아리스토텔레스와 행위판단 12

V. 맺음말 19

참고문헌 20

Abstract 2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지향된 인간상의 존재론적 이념형 = An ontological ideal type of the figure of human being aimed in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강두호 p. 27-46

보기
칸트의 목적론에서 '자연의 최종목적'으로서의 문화 = Culture as an ultimate end of nature in Kant's teleology : focused on §§83-84 'Critique of the Teleological Power of Judgment' :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 §§83-84를 중심으로 차승한 p. 251-283

보기
교육공동체의 시민적 인성역량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community's civic character competencies and academic achievement 오유진, 김준구, 이은상 p. 109-140

보기
긍정심리학의 기본 이론에 근거한 시민교육 = Civic education based on the basic theories of positive psychology 추병완, 최윤정, 이은미 p. 1-26

보기
2013년 개정 북한 초급중학교 『사회주의도덕』 교과서 분석 = Analysis of North Korean textbook 『socialist morality』 revised in 2013 김혜진, 이슬기 p. 83-108

보기
북한 교육정책의 변화 과정에 관한 분석을 통한 도덕과교육으로서 평화·통일교육의 시사점 탐색 = Exploring the implications on peace & unification education as moral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n the change process of North Korean educational policies 김현수 p. 335-360

보기
초등 저(低)경력 교사의 회복탄력성 보호 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early-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ilience 배서현, 추병완 p. 47-81

보기
협동적 의사소통 전략으로서의 도덕과 월드 카페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World Café' model in moral education as a cooperative communication strategy 이혜진 p. 163-196

보기
통일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융합 지향 = Convergence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박찬석 p. 141-161

보기
덕 발달과 행위판단 = Virtue development and action judgment 노영란 p. 285-308

보기
게오르그 린트(Georg Lind)의 도덕적 역량 및 측정 방법 = Georg Lind's moral competence and its method for measurement 석자춘 p. 197-225

보기
다문화 시대 문화다양성을 지향하는 평화·통일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for cultural diversity in a multicultural era 이인정 p. 227-250

보기
존 폴 레더락(John Paul Lederach)의 '평화세우기'가 도덕과 평화·통일교육에 주는 함의 = Implications of John Paul Lederach's 'building peace' for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김홍수 p. 309-334

보기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dams, Robert Merrihew(2006), A Theory of Virtue; Excellence in being for the Goo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 Annas, Julia(2011), Intelligent Virtu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 Annas, Julia(2016), “Learning Virtue Rules: The Issue of Thick concepts”, in Julia Annas, Darcia Narvaez & Nancy E. Snow eds., Developing the Virtu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24-234. 미소장
4 Aristotle(2011), 강상진 김재홍 이창우 옮김, 『니코마코스 윤리학』, 서울: 도서출판길. 미소장
5 Aristotle(2017), 김재홍 옮김, 『정치학』, 서울: 도서출판 길. 미소장
6 Athanassoulis, Nafsika(2018), “Acquiring Aristotelian Virtue”, in Nancy E. Snow ed., The Oxford Handbook of Virtu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15-431. 미소장
7 Curzer, Howard J.(2018), “Aristotle and Moral Virtue”, in Nancy E. Snow ed., The Oxford Handbook of Virtu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04-129. 미소장
8 Garcia, J. L. A.(2015), “Roles and Virtues”, in Lorraine Besser-Jones & Michael Slote eds., The Routledge Companion to Virtue Ethics, London & New York:Routledge, 415-423. 미소장
9 Hurka, Thomas(2001), “Perfectionism”, in Lawrence C. Becker & Charlotte B, Becker eds., Encyclopedia of Ethics, 2nd edition, Vol.Ⅲ, London & New York:Routledge, 1288-1292. 미소장
10 Virtue and Right* 네이버 미소장
11 McAdams, Dan P.(2015), “Psychological Science and the Nicomachean Ethics: Virtuous Actors, Agents, and Authors”, in Nancy E. Snow ed., Cultivating Virtu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07-336. 미소장
12 McDowell, John Henry(2009), The Engaged Intellect: Philosophical Essay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3 Russell, Daniel C.(2015), “Aristotle on Cultivating Virtue”, in Nancy E. Snow ed., Cultivating Virtu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7-48. 미소장
14 Sherman, Nancy(1999), “Character Development and Aristotelian Virtue”, in David Carr & Jan Steutel eds., Virtue Ethics and Moral Education, London & New York: Routledge, 35-48. 미소장
15 Slote, Michael(2001), Morals form Motiv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6 Slote, Michael(1983), Goods and Virtu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7 Snow, Nancy E.(2016), “How Habits Make Us Virtuous”, in Julia Annas, Darcia Navaez & Nancy E. Snow eds., Developing the Virtu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35-156. 미소장
18 Swanton, Christine. The Virtue Ethics of Hume & Nietzsche 네이버 미소장
19 Welchman, Jennifer(2005), “Virtue Ethics and Human Development: A Pragmatic Approach”, in Stephen M. Gardnier ed., Virtue Ethics Old and New, Ithaca:Cornell University Press, 142-155. 미소장
20 Zagzebski, Linda Trinkaus(2016), 장동익 역, 『마음의 덕』, 서울: 도서출판 씨아이알.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