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코퍼스 기반 중국어 공간 범주 부치사의 통시적·공시적 연구. 下 文有美 p. 65-89

존현문의 부가어 연구 張興錫 p. 91-119
중국 선진시기의 기후 환경 : 기후 변화와 코끼리, 벼, 인구 분포의 상관관계 탐색 朴鍾漢 p. 287-326
중국 당대 문학출판 제도의 성립과 변화 : '17년 시기'(1949-1966)를 중심으로 金昭英 p. 245-268
虞集 詩歌 연구 任元彬 p. 177-199

개량주의의 관점으로 보는 5·4 문예 : 『소설월보』의 개혁을 둘러싼 문예계 실천을 중심으로 李保高 p. 219-244
宋本<清明上河圖>對清明上河主題小說敘事的功能研究 王楠 p. 201-217
蒋介石基督教信仰本质之考察 : 以影片≪宋氏三姐妹≫中蒋介石读经清黨片段为中心 孟春玲 p. 269-286
『반야심경』 진언의 한국어 음역 고찰 : 'gate gate', '아제아제'를 중심으로 文聲皓, 金恩希, 安在哲 p. 7-29
'V得上' 구조 속 '上'의 인지적 고찰 : 은유와 환유의 각도에서 金鉉哲, 雷婷 p. 47-63
漢語與韓國語禮貌語用策略對比硏究 金椿姬 p. 121-143
생리적 신호에 기초한 한중 언어 운율 대비 연구 : 신문 뉴스를 중심으로 吳韓娜 p. 31-46

從中日常用漢字的對比看漢語水平考試如何貫徹對日本學習者的公平性原則 董琳莉, 刘德联, 彭静 p. 145-175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정광, 『몽고자운연구』, 박문사, 2009. 미소장
2 박지명․이서경, 『산스크리트반야심경』, 동문선, 2010. 미소장
3 송철의, 『주시경의 언어이론과 표기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미소장
4 전순환, 『불경으로 이해하는 산스크리트』, 지식과교양, 2012. 미소장
5 김규현, 『대당서역기』, 글로벌콘텐츠, 2013. 미소장
6 정광, 『조선시대의 외국어교육』, 김영사, 2014. 미소장
7 지뿌 지음, 김진무 옮김, 『반야심경』, 일빛, 2015. 미소장
8 김슬옹, 『훈민정음 해례본 입체강독본』, 박이정, 2018. 미소장
9 반재원․허정윤, 『훈민정음 창제원리와 기능성한글』, 역락, 2018. 미소장
10 J.S 스파이져 지음, 박문성 옮김, 『산스크리트어 통사론』, 가톨릭대학교출반부, 2018. 미소장
11 陳五雲․徐時儀․梁曉虹 著, 『佛經音義與漢字硏究』, 鳳凰出版社, 2010. 미소장
12 김정수, 「훈민 정음 “ㅇ”의 소리값」, 『한국언어문화』,한국언어문화학회,11권, 1993. 미소장
13 『東國正韻』과 『古今韻會擧要』의 止·蟹攝 음운 체계 비교 소장
14 안주호, 「망월사본『진언집』을 중심으로 한 진언표기의 기초적 연구」,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09권, 2002. 미소장
15 안주호, 「안심사본 『진언집』과 망월사본 『진언집』의 비교연구」, 『배달말』, 배달말학회, 31권, 2002. 미소장
16 안명철, 「훈민정음(訓民正音)자질문자설(資質文字說)에 대하여」, 『어문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권, 2004. 미소장
17 김지형, 「동국정운식(東國正韻式)한자음(漢字音)에서의 ‘․’의 음가(音價)-중국(中國)한자음(漢字音)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미소장
18 안명철, 「훈민정음 제자원리의 기호론」, 『국어학』, 45권, 국어학회, 2005. 미소장
19 정승석, 「번본반야심경의 음역과 원문의 재조명」, 『인도철학』, 인도철학회, 23권, 2007. 미소장
20 김슬옹, 「“훈민정음”문자 만든 원리와 속성의 중층 담론」, 『한민족문화연구』, 한민족문화학회, 21권, 2007. 미소장
21 이태승, 「『진언집』 범자(梵字)한글음역대응 한자음의 연원과 해석」, 『인도철학』, 28권, 2010. 미소장
22 신규탁, 「불교경전(佛敎經典)한글 번역의 역사와 과제; 한역(한역)불전의 한글번역에 나타난 경향성 고찰-간경도감, 백용성, 이운허, 김월운 스님들의 경우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0. 미소장
23 임승택, 「불교경전(佛敎經典)한글번역의 역사와 과제;빨리(Pali)경전에 대한 우리말 번역의 양상과 과제」, 『동아시아불교문화』,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0. 미소장
24 김무봉, 「불교경전(佛敎經典)한글 번역의 역사와 과제; 불경언해와 간경도감(刊經都監)」, 『동아시아불교문화』,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0. 미소장
25 이영월, 「『훈민정음』을 통한 근대한어관화의 음운층위 탐구」, 『중국언어연구』, 한국중국언어학회, 31권, 2010. 미소장
26 김태경, 「[-ŋ]운미(韻尾)운섭(韻攝)에 관한 하시모토 만타로의 두 가지 학설 검토」, 『인문과학』,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94권, 2011. 미소장
27 심소희, 「『홍무정운(洪武正韻),서(序)』를 통한 정음관(正音觀)고찰」, 『중국언어연구』, 한국중국언어학회, 35권, 2011. 미소장
28 원유홍, 「한글 초성자 “ㅇ”에 대한 조형적 고찰과 의문」, 『기초조형학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미소장
29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문헌 속의 동국정운 未收錄字와 그 注音 소장
30 배은한, 「중국어(中國語)운모(韻母)/iong/의(儀)음가(音價)분석(分析)및분류(分類)문제(問題)고찰」, 『중국문학연구』, 한국중문학회, 50권, 2013. 미소장
31 梵漢對音方式 考察 소장
32 강대현, 「『반야경』 범자 42자문의 반야공성 고찰」, 『한국불교선리연구원』, 선문화연구, 19권, 2015. 미소장
33 안성호, 진휘, 「『훈민정음』과 강남한음」, 『대동문화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95, 2016. 미소장
34 최기표, 「현장(현장)역(역)『반야심경』의 성행 내력」, 『한국불교학』, 한국불교학회, 2017. 미소장
35 강대현, 「『고려대장경』을 통해 본 실담장(悉曇章)의 세 측면」, 『민족문화연구』,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17. 미소장
36 문성호, 「성조에 관한 새로운 고찰」, 『인문학연구』,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5권, 2018. 미소장
37 이태승, 「『반야심경』의 비교를 통한 반야바라밀다주 고찰」, 『인도철학』, 인도철학회, 2018. 미소장
38 홍현지, 「『몽고자운(몽고자운』과 『번역박통사(번역박통사)』의 운모체계 대조 고찰)」, 『중국어문학지』, 중국어문학회 65권, 2018. 미소장
39 신지영, 「『훈민정음』 해례의 ‘喉(후)’의미 재고」, 『민족문화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미소장
40 노혜정, 「현대중국어 비음의 언어유형론적 고찰」, 『중국언어연구』, 한국중국언어학회, 80권, 20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