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기문, 『주시경 전집』상․하 (아세아 문화사, 1976). | 미소장 |
2 | 외술회 엮음, 『외솔 최현배의 문학, 논술, 논문 전집』 1∼3 (채륜, 2019) | 미소장 |
3 | 허웅, 「주시경 선생의 학문」, 『동방학지』 12 (연세대 국학연구원, 1971). | 미소장 |
4 | 허웅, 『한글과 민족 문화』(교양 국사 총서 1) (세종대학기념사업회, 1974ㄱ). | 미소장 |
5 | 허웅, 『우리말과 글의 내일을 위하여』 (과학사, 1974ㄴ). | 미소장 |
6 | 허웅, 「외솔 선생의 생애와 학문」, 『나라사랑』 14 (외솔회, 1974ㄷ). | 미소장 |
7 | 허웅, 『우리말과 글에 쏟아진 사랑』 (문성출판사, 1979). | 미소장 |
8 | 세종의 언어 정책과 국어 순화 정신 | 소장 |
9 | 허웅, 『이삭을 줍는 마음으로』 (샘문화사, 1987). | 미소장 |
10 | 허웅, 「외솔 선생의 정신 세계와 그 학문」, 『동방학지』 72 (연세대 국학연구원, 1991). | 미소장 |
11 | 허웅, 『(고치판) 우리말과 글에 쏟아진 사랑』 (샘문화사, 1991). | 미소장 |
12 | 우리 말글을 보아 온/보는 두 가지 눈 | 소장 |
13 | 권재일, 「최현배 선생의 문헌 연구에 대하여」, 『한말연구』 1(한말연구학회, 1995). | 미소장 |
14 | 권재일, 「허웅 선생 학문의 성격」,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04-12 (한국언어학회, 2004). | 미소장 |
15 | 김석득, 「눈뫼 허웅 선생의 큰 학문과 나라사랑의 얼을 기림」, 『나라사랑』 110 (외솔회, 2005). | 미소장 |
16 | 서민정․김인택, 『번역을 통해 살펴본 근대 한국어를 보는 제국의 시선』 (도서출판 박이정, 2010). | 미소장 |
17 | 서민정, 「훈민정음 서문의 두 가지 번역-15세기와 20세기」, 『코기토』 69(부산대 인문학연구소, 2011). | 미소장 |
18 | 서민정, 「19C말∼20C초, 서양인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과 영향」, 우리말연구 46 (우리말학회, 2016) | 미소장 |
19 | 양영희, 「허웅 선생의 높임법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글』 79 (한글학회, 2018). | 미소장 |
20 | 이상혁, 「홍기문의 『訓民正音』번역과 국어학사의 한 경향」, 『한국어학』 73(한국어학회, 2016). | 미소장 |
21 | 주시경의 <訓民正音 世宗序> 해석과 그 계승의 일면 | 소장 |
22 | 조원형, 「허웅 선생의 언어 사상과 언어 정책」, 『허웅 선생 학문 새롭게 읽기』 (박이정, 2014). | 미소장 |
23 | 최기호, 「『훈민정음』해례본의 가치와 애국지사 외솔 최현배」, 『나라사랑』 126 (외솔회, 2017). | 미소장 |
24 | 한글학회 엮음, 『(눈뫼 허웅 선생 추모 문집) 눈뫼 허웅 선생의 삶』 (한글학회, 200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