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과학과 문학 사이 = Between science and literature : neurodiversity and the neuronovel, The Echo Maker : 신경다양성과 뉴로 소설 『에코 메이커』 유제분 p. 91-112
모빌리티의 정동과 문화의 자리 = The affect of mobility and the role of culture : 떠남과 만남, 그리고 정중동(靜中動) 최성희 p. 57-88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과 영향관계 = The influence and recognition of Huh Woong's "Hunminjeongeum" : to examine the academic network of 'Korean linguistics'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19세기 말~20세기 전반기, '국어학' 학술네트워크 고찰을 위하여 서민정, 최규수 p. 285-302
비교과 활동으로서 비평문 쓰기의 교육적 의미 = The educational meaning of writing a critique as an extracurricular program : based on the case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program, 'become an author of a critique for prestigious classic books' : '고전·명저 비평문 저자되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차윤정 p. 143-172
성철 선사상의 서구철학과의 비교 = The comparison of Seongcheol's Seon-thought with the occidental philosophy 주광순 p. 229-260
리오타르의 갈등의 이론과 응구기의 다양성의 문화론 = Theories of Lyotard's conflict and Ngugi's multiple cultures : decentralizing imagination in The River Between : 탈중심의 상상력과 『샛강』 이효석 p. 7-28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편의 '제 3인간 논변' = The third man argument in Plato's Parmenides : on the limits of human thinking : 인간적 사유의 한계에 대하여 김수진 p. 261-284
독일 중산층 시민사회와 이주민 = German civil society and migrants : new citizenship and identity politics : 새로운 시민성과 정체성 정치 이용일 p. 29-56
정통서부극과 마카로니 웨스턴의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f mainstream western and macaroni western movies : focusing on their subjects, personalities, production environments, etc. : 주제, 성격, 제작 환경 등을 중심으로 양삼석 p. 113-142
정신질환에 대한 중세 후기의 관점 = Perception of mental disability during the medieval era as seen in remission letters : 감형 허락 증서를 중심으로 이필은 p. 173-198
1919년 『요미우리신문』의 조선 관련 보도의 특징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osun-related articles in the Yomiuri Shimbun(讀賣新聞) in 1919 박은영 p. 199-228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기문, 『주시경 전집』상․하 (아세아 문화사, 1976). 미소장
2 외술회 엮음, 『외솔 최현배의 문학, 논술, 논문 전집』 1∼3 (채륜, 2019) 미소장
3 허웅, 「주시경 선생의 학문」, 『동방학지』 12 (연세대 국학연구원, 1971). 미소장
4 허웅, 『한글과 민족 문화』(교양 국사 총서 1) (세종대학기념사업회, 1974ㄱ). 미소장
5 허웅, 『우리말과 글의 내일을 위하여』 (과학사, 1974ㄴ). 미소장
6 허웅, 「외솔 선생의 생애와 학문」, 『나라사랑』 14 (외솔회, 1974ㄷ). 미소장
7 허웅, 『우리말과 글에 쏟아진 사랑』 (문성출판사, 1979). 미소장
8 세종의 언어 정책과 국어 순화 정신 소장
9 허웅, 『이삭을 줍는 마음으로』 (샘문화사, 1987). 미소장
10 허웅, 「외솔 선생의 정신 세계와 그 학문」, 『동방학지』 72 (연세대 국학연구원, 1991). 미소장
11 허웅, 『(고치판) 우리말과 글에 쏟아진 사랑』 (샘문화사, 1991). 미소장
12 우리 말글을 보아 온/보는 두 가지 눈 소장
13 권재일, 「최현배 선생의 문헌 연구에 대하여」, 『한말연구』 1(한말연구학회, 1995). 미소장
14 권재일, 「허웅 선생 학문의 성격」,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04-12 (한국언어학회, 2004). 미소장
15 김석득, 「눈뫼 허웅 선생의 큰 학문과 나라사랑의 얼을 기림」, 『나라사랑』 110 (외솔회, 2005). 미소장
16 서민정․김인택, 『번역을 통해 살펴본 근대 한국어를 보는 제국의 시선』 (도서출판 박이정, 2010). 미소장
17 서민정, 「훈민정음 서문의 두 가지 번역-15세기와 20세기」, 『코기토』 69(부산대 인문학연구소, 2011). 미소장
18 서민정, 「19C말∼20C초, 서양인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과 영향」, 우리말연구 46 (우리말학회, 2016) 미소장
19 양영희, 「허웅 선생의 높임법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글』 79 (한글학회, 2018). 미소장
20 이상혁, 「홍기문의 『訓民正音』번역과 국어학사의 한 경향」, 『한국어학』 73(한국어학회, 2016). 미소장
21 주시경의 <訓民正音 世宗序> 해석과 그 계승의 일면 소장
22 조원형, 「허웅 선생의 언어 사상과 언어 정책」, 『허웅 선생 학문 새롭게 읽기』 (박이정, 2014). 미소장
23 최기호, 「『훈민정음』해례본의 가치와 애국지사 외솔 최현배」, 『나라사랑』 126 (외솔회, 2017). 미소장
24 한글학회 엮음, 『(눈뫼 허웅 선생 추모 문집) 눈뫼 허웅 선생의 삶』 (한글학회, 200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