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소상공인의 상품판매방송 진출 확대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ctivation of product sales broadcasting for small business :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TV home shopping users : TV홈쇼핑 이용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허찬행 ; 안종묵 1

국문초록 1

1. 문제제기 2

2. 이론적 배경 4

1) TV홈쇼핑 시장구조와 정책 현황 4

2) '공유지의 비극'과 TV홈쇼핑 시장에서의 소상공인 6

3) 소상공인 지원정책과 TV홈쇼핑 9

3. 연구 문제 및 연구방법 12

1) 연구문제 12

2) 연구방법 14

4. 연구 결과 15

1) TV홈쇼핑 이용 경험과 추가적으로 필요한 상품에 대한 의견 16

2) TV홈쇼핑을 통한 소상공인 상품 소개 및 판매 시 고려 요소 19

5. 논의 및 결론 22

참고문헌 27

영문초록 2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상공인의 상품판매방송 진출 확대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ctivation of product sales broadcasting for small business :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TV home shopping users : TV홈쇼핑 이용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허찬행, 안종묵 p. 83-111

보기
광고사진 비주얼에 관한 소비자의 주관성 연구 = A study on consumer's subjectivity about advertising photography visual : focusing on winners of international advertising photography competition : 국제광고사진 공모전 수상작을 중심으로 심현준, 육가유, 신상혁, 이종윤, 홍장선 p. 153-179

보기
콘텐츠 창구로서의 TV와 모바일의 매체 소비 비교 = Differences of media consumption between TV and mobile as content outlets 원종원, 홍다현, 전종우 p. 61-81

보기
아날로그 옥외광고의 특성화와 도심광장의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for specializing analogue outdoor advertisement and vitalizing city squares : including suggestions taken from Times Square for Gwanghwamun Square : 타임스 스퀘어의 관찰과 광화문광장의 적용을 중심으로 문윤수 p. 113-151

보기
커뮤니케이션은 본사와 판매점의 관계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 How does communication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quarters and store? 강보현 p. 5-32

보기
신문기자의 유튜브 1인 방송 콘텐츠 생산의 특징과 저널리즘 역할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content production on Youtube by newspaper journalists 양형모, 박주연 p. 33-59

보기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공정거래위원회(2016). 공정거래위원장, 유통벤더납품업체 간담회 개최. 보도자료(2016.10.21.). 미소장
2 김광재⋅강신규(2015). T-커머스 정책갈등 분석:정책갈등 이슈의 전개와 참여자들의 입장변화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16(3), 2015.6, 79-101. 미소장
3 김만환(2011). 방통융합시대에 TV 홈쇼핑 정책에관한 연구. 유통연구, 16(5), 19-41. 미소장
4 김은희(2006). 공유재의 딜레마 극복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 제도분석틀의 관점. 한국거버넌스⋅광주전남지방자치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집, 135-163. 미소장
5 김해원⋅전채남(2014). 빅데이터를 활용한 콘텐츠제작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TV홈쇼핑을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1(3), 5-51. 미소장
6 김효진⋅강수영(2014). TV홈쇼핑에서의 제품평가에 대한 서비스보증과 제품유형의 조절적역할. 광고연구, 100, 34-55. 미소장
7 문상일(2016). TV홈쇼핑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기업법연구, 30(3), 9-28. 미소장
8 문제옥(2015). 홈쇼핑 업종에서의 협력업체 선정과평가체계. 벤처창업연구, 11(4), 147-155. 미소장
9 박문기(2017). 소상공인에 적합한 브랜드 전략 Ⅰ. 한국마케팅연구원, 마케팅, 51(12), 19-24. 미소장
10 박문기(2018). 소상공인에 적합한 브랜드 전략 Ⅱ. 한국마케팅연구원, 마케팅, 52(1), 16-23. 미소장
11 박정우⋅이영주(2014). 디지털유료방송가입자의 TV 홈쇼핑 채널의 시청행위와 구매동기가 반복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8(3), 36-58. 미소장
12 박지은⋅김수원⋅김은⋅김성철(2017). T커머스 이용 및 구매 결정요인 분석: T커머스, TV홈쇼핑, 인터넷쇼핑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1(1), 5-37. 미소장
13 방송통신위원회(2017). 2017년도 방송산업실태 조사보고서. 과천: 방송통신위원회. 미소장
14 산업자원부(2007). 대⋅중소 유통업체간 상생협력촉진을 위한 유통업계 간담회 자료. 미소장
15 삼정KPMG 경제연구원(2018). 홈쇼핑 산업의 오늘은. ISSUE MONITOR, 제81호(2018.3). 미소장
16 송종길(2010). 수용자 복지와 중소기업 활성화를위한 TV홈쇼핑 정책방안.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2010.9), 4-23. 미소장
17 오세조⋅박진용⋅조현진(2007). TV 홈쇼핑 산업발전을 위한 제언: 중소규모 공급업체와의관계를 중심으로. 유통연구, 12(5), 65-85. 미소장
18 원종하⋅정대현(2017). 소상공인의 기업가특성이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12(1), 111-121. 미소장
19 이동후⋅김해원⋅이설희(2019). 미디어-일상-소비의 교차로, TV홈쇼핑: 20대와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97, 37-76. 미소장
20 이두원(2001). TV홈쇼핑 채널의 구매설득에 대한수사학적 분석연구: 설득적 소구점, 전제그리고 전략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50, 137-163. 미소장
21 이상호(2019). 시청자 중심의 홈쇼핑 규제 정책 개선 방안 연구: 지대추구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론, 15(3), 183-219. 미소장
22 이영희(2018). TV홈쇼핑 방송 심의 의결의 경향성연구. 언론과법, 17(3), 37-84. 미소장
23 이종민⋅고한준⋅한광석(2017). 상품 판매 방송 심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TV홈쇼핑과 데이터 홈쇼핑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112, 238-272. 미소장
24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2007). 중소기업의 TV홈쇼핑 활용전략 보고서. 미소장
25 정갑수⋅설병문(2016). 소상공인지원제도에 대한소상공인 만족도 분석: 경남지역 사례 중심. 벤처창업연구, 11(6), 153-161. 미소장
26 정연승(2009). TV 홈쇼핑 산업 재도약을 위한 발전전략: TV홈쇼핑사의 역할과 책임을 중심으로. 유통연구, 14(5), 107-128. 미소장
27 정연승⋅이호택(2018). 국내 TV홈쇼핑 산업의 거래선진화를 위한 이슈별 정책제언. 유통연구, 23(2), 105-126. 미소장
28 정은이(2013). TV홈쇼핑 쇼호스트의 저명도와 구매의도 간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인의매개효과연구. 언론과학연구, 13(4), 515-548. 미소장
29 정은이⋅정의철(2013). TV홈쇼핑 쇼호스트의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피치와커뮤니케이션, 21, 139-178. 미소장
30 중소기업중앙회(2005). 홈쇼핑 거래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미소장
31 중소기업청(2014). 홈쇼핑을 통한 창조경제 실행에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소장
32 차유철⋅신명희(2015).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 6개 홈쇼핑기업을 대상으로. 광고PR실학연구, 8(1), 65-84. 미소장
33 최재섭(2010). TV홈쇼핑방송의 수요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공급측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11(3), 217-236. 미소장
34 한예진⋅박웅기(2014). Q방법론을 이용한 TV홈쇼핑 구매 선호자 유형 연구. 한국방송학보, 28(4), 117-156. 미소장
35 The Tragedy of the Commons 네이버 미소장
36 Ostrom, E., & Hess, C.(2007). Understanding knowledge as a common: From theory to practice. MIT Press. 김민주⋅송희령 옮김 (2010). 지식의 공유: 폐쇄성을 넘어 자원으로서의 지식을 나누다. 서울: 타임북스. 미소장
37 Ostrom, E.(1990). Governing the commons: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윤홍근⋅안도경 옮김(2010). 공유의 비극을 넘어: 공유 자원 관리를 위한 제도의 진화. 서울: 랜덤하우스 코리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