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케이트 쇼팽의 「폭풍」에 나타난 다층적 크로노토프의 의미 = The meaning of multilayered chronotopes in Kate Chopin’s “The Storm“ as compared with The Awakening : 『눈뜸』과의 비교연구 이준영 p. 105-130
Excavating Mecca = 메카 발굴하기 : 그웬돌린 브룩스의 공간적 감수성 : Gwendolyn Brooks's spatial sensitivity Kim, Eui Young p.55-78

생명정치를 넘어 = Beyond bio-politics : posthuman Zoe-ethics in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조에윤리학 성정혜 p. 79-104

『3기니』 = “Adding fact to fact” : Three Guineas as Virginia Woolf’s documentary of the 1930s : 버지니아 울프의 30년대 다큐멘터리 김부성 p. 1-24
번역표기 훈령과 공공번역 표준화 정책 = National translation directive and public-sector translation standardization policy : a study of public transla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irective No. 279 : 문화체육관광부 훈령 이후 번역 실태 연구 정호정, 최소희 p. 157-189
Rhetorical analysis as analytical technique for critical thinking = 수사 분석과 비평적 사고와의 상관관계 Kim, Eun-Jeo p. 25-54
『도리안 그레이의 초상』 = A realistic reading of The Picture of Dorian Gray :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 세기말 영국을 비추는 다층적 거울 황정현 p. 217-250
데이빗 헨리 황의 『엠. 버터플라이』 = David Henry Hwang's M. Butterfly : representation, imperialism and depoliticization : 재현, 제국주의, 탈정치화 정태진 p. 131-156
Platform-based sentence generation = 플랫폼 기반 문장 생성 : 선과 이분지 병합을 사용하지 않고 통사체들의 단위성과 논항 간의 위계를 생성 방안 : unity of sentence elements and hierarchy of arguments without the use of lines and binary branching Cho, Keeseok p. 191-216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0초 안에 끝나는 카드뉴스. 「BTS 그리고 이것? …해외를 휩쓴 新한류 열풍」. 『아시아투데이』 2019년 8월 6일: Web. 미소장
2 국토교통부. “도로표지 규칙. 국토교통부 예규 제2015-1223호(2016. 1. 1).” Web. 10 Sept. 2019. 미소장
3 국토지리정보원. "지명 등의 영문표기 기준. 국토지리정보원 예규 제91호(2015. 12. 29)." Web. 10 Sept. 미소장
4 김혜림 외 6인. 『주요 관광문화 용어를 대상으로 한 공공번역 수용성 연구』. 국립국어원, 2018. 미소장
5 문화재청. 「혼란스러웠던 문화재명칭 영문표기 기준이 통일된다」. 『문화재청』 2013년 7월 30일: Web. 미소장
6 문화체육관광부. 「문체부(국립국어원)와 농식품부, 주요 한식 명칭 로마자 표기 및 번역 표준 시안 발표」. 『문화체육관광부』 2013월 10월 10일: Web. 미소장
7 문화체육관광부. 「문체부(국어원)와 농식품부, 주요 한식 명칭 일본어 번역 표준 시안 발표」. 『문화체육관광부』 2013년 11월 7일: Web. 미소장
8 문화체육관광부. 「‘한글’의 외국어 이름, 이렇게 쓰는 것 어때요? - ‘한글’ 영,중,일번역 표준 시안 발표, 국민 의견 수렴」. 『문화체육관광부』 2014년 4월 22일: Web. 미소장
9 문화체육관광부. "공공용어의 영어 번역 및 표기 지침. 문화체육관광부 훈령 제279호 (2015.12.29.)". Web. 10 Sept. 2019. 미소장
10 문화체육관광부. 「‘남산’ 영문표기, 이제 ‘Namsan Mountain’으로 쓰세요」. 『문화체육관광부』 2015년 6월 17일: Web. 미소장
11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문체부(국어원)와 농식품부, 주요 한식 명칭 일본어번역 표준 시안 발표」. 『문화체육관광부』 2016년 7월 13일: Web. 미소장
12 문화체육관광부. "표준어 규정.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3호(2017. 3. 28.)". Web. 10 Sept. 2019. 미소장
13 유승목. 「'新한류', 북미 달궜다…KCON, LA서 100만 관객 돌파」. 『머니투데이』 2019년 8월 19일: Web. 미소장
14 이창수. 「영어와 한국어 관광안내 텍스트의 테너 (담화 참여자 관계) 분석」. 『영미연구』, 18 (2008): 159-181. Web. 미소장
15 정호정, 염행일, 신지선. 『국가 번역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공공번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번역원, 2007. 미소장
16 정호정, 이상원, 조상은, 임순정, 왕기맹, 박현주, 임현경. 『공공번역 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 보고서』. 국립국어원, 2013. 미소장
17 정호정, 임현경. 『공공번역 표준화의 모델: 한국형 모델 개발을 위한해외 선진사례 연구』. 서울: 한국문화사, 2013. 미소장
18 정호정, 박지수. 「통번역학 연구 대상으로서의 통번역정책 - ‘번역청’ 설립 및 통역사인증제 도입 정책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통역과 번역』, 20.3 (2018):105-140. Web. 미소장
19 조용철. 「박양우 장관 "올해 외래 관광객 2000만명, 콘텐츠 산업 규모 133조원 달성 "」. 『파이낸셜뉴스』 2020년 1월 2일: Web. 미소장
20 최혜원. 「공공용어 번역의 현황과 과제」. 『새국어생활』, 24.2 (2014): 3-22. 미소장
21 최혜원. 「공공부문 번역의 효율화를 위한 국가의 역할」. 『공공번역 전담기구 신설을 위한 정책토론회 및 한국통역번역학회 봄 학술대회 발표자료』, 2015. 미소장
22 한식재단. 「한식메뉴 외국어표기 길라잡이 300」. 『한식재단』 2017년 3월 28일: Web. 미소장
23 한식재단. 「한식메뉴 외국어표기 길라잡이 700」. 『한식재단』 2019년 4월 17일: Web. 미소장
24 Nord, Christiane. Text Analysis in Translation. Amsterdam & New York: Rodopi, 2005. 미소장
25 Vinay, Jean-Paul and Jean Darbelnet. Comparative Stylistics of French and English: A Methodology for Translation. Trans. Juan C. Sager and M.-J. .Hamel. www.academia.edu.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