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이 지역문화 활성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기존의 복합문화공간을 통한 지역문화 활성화에 대해 논하였던 선행연구들은 문헌연구법이나 양적 연구방법에 치중되어 있어 공간을 경험한 사용자들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반응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깊이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향후 복합문화공간의 발전 방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는 광주 소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구체적인 관점에서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문화전당을 방문한 광주 거주 5년 이상 된 시민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 인터뷰와 문헌 연구법을 병행한 연구 분석 결과 광주시민들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지역 문화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공간으로서 긍정적으로 기능한다고 인식하지만, 복합문화공간으로 인정받기에는 일부 취약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콘텐츠의 대중성이 약하고, 전당의 운영 시간이 유동적이지 않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며, 사용자가 원하는 체험 콘텐츠의 양과 질이 부족하다는 점 등이 주요 근거이다. 따라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성공적인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위상을 떨치기 위해서는 지역 내 구성원들과 협업하여 구성원들의 콘텐츠와 공간에 대한 필요성을 조사하고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전략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주민의 부정적 관광개발 영향 지각이 지역만족과 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sidents' negative tourism development impact perceptions on their local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성문, 강신겸 p. 127-152

전략적 축제기획이 축제만족과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trategic festival planning on festival satisfaction and urban regeneration : focusing on the Gimje Horizon Festival : 김제지평선축제를 중심으로 김남희 p. 59-98

지역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스토리텔링 개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of co-brand for regional agricultural products : focusing on the case of 'Geudae ginger' in Andong : 안동 '그대생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미혜, 김공숙 p. 153-182

축구월드컵 행사 마스코트에 나타난 지역 특성과 상징 표현 요소 고찰 = A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elements of the soccer World Cup mascots 김시범 p. 183-208

문화를 통한 창조농촌 활성화 모델 연구 = A Study on the model for revitalizing creative village through culture : focusing on Miryang Theater Village : 밀양연극촌 사례를 중심으로 정수희, 이병민 p. 27-57

공간생산이론을 통해 본 지역문화콘텐츠의 창출 과정과 의미 = Creation and meaning of local cultural contents through Maeul-mandeulgi : case of Chilgok-gun Yeong ori : 칠곡군 영오리 사례 이재민 p. 1-26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광주 지역문화 활성화에 끼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Asia Culture Center(ACC) on activating local culture in Gwangju : focusing on the in-depth interview of Gwangju citizens : 광주시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안혜진, 이승하 p. 99-126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계기석(2010),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전략모형의 적용방향 연구: 부천시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3(4), 175-194. 미소장
2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홈페이지 (https://www.acc.go.kr, 자료검색일 2019.12.01.) 미소장
3 김글(2019),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 체험가치, 공유가치가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선욱(2019), 문화·예술·체육·콘텐츠, 극심한 지방소외 지적, 전남일보 2019년 10월 16일. 미소장
5 김숙경(2016), 문화기반의 도시재생에 관한 비교연구: 글래스고와 가나자와를 사례로, 로컬리티인문학 (15), 123-156. 미소장
6 김용남·권기창(2019),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도시 조성 방안,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2(1),88-98. 미소장
7 김종범(2019), [전국네트워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 4주년... 관람객 1천만명 눈앞, 불교방송 2019년 11월 27일. 미소장
8 김종우(2014),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문학관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문학관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28(1), 253-277. 미소장
9 김준우·안영진(2017), 한국 도시의 미래: 도시간 격차를 중심으로 한 시론적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1(1), 33-46. 미소장
10 김후련(2012), 가나자와형 창조도시 발전전략 연구: 문화와 산업의 연계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8), 81-108. 미소장
11 문보옥(2016), 지역문화정책에서의 공연예술 프로그램 거버넌스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문화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2007),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종합계획. 미소장
13 문화체육관광부(2014), 지역문화진흥법. 미소장
14 박민우·나주몽(2017),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공연·전시·창제작 사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2017(1), 1-18. 미소장
15 박상현(2020), 고궁·종묘·조선왕릉 관람객 1천338만명 ‘역대 최다’, 연합뉴스 2020년 01월 06일. 미소장
16 서성은·김치요(2015), <리그 오브 레전드> 트롤링의 유형과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사용자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5(4), 93-110. 미소장
17 송영우·황찬규·한희(2015), 소셜미디어 마케팅 4 가지 모델: 사례와 마케팅효과 평가 방법,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10(9), 1071-1078. 미소장
18 신예철(2012), 지역만들기에 있어서 지역공동체 역량이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이형주(2019), ‘문화발전소’로 쑥쑥 크는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동아일보 2019년 12월 16일. 미소장
20 정환석(2019), 대형 복합문화시설의 도시적 촉매 효과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최명일·이귀옥·박조원(2017), 문화 자본이 미술관 체험 만족 및 관람 후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31(2), 64. 미소장
22 최보윤(2017), 문화가 지방자치단체 지역 주민들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문화예산과 문화 활동(공연횟수) 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Hansen, A., Cottle, S., Negrine, R., & Newbold, C.(1998), Mass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London: NYU Press. 미소장
24 Pine, B. J., Pine, J., & Gilmore, J. H.(1999), The experience economy: work is theatre & every business a stage, Boston: Harvard Business Press. 미소장
25 Tylor, E. B.(1871),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custom.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