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언어로 구성되는 법은 개인의 욕망들과 서로 상호작용을 한 결과, 법은 의식적으로 법을 준수하고 자 하는 욕망과 무의식적으로는 법을 위반하고자 하는 욕망이라는 모순성을 띄는 양가적인 욕망을 지닌다. 라캉의 관점에 따르면, 법은 곧 근본적인 대타자이며, 따라서 법은 인간을 ‘추상적인 평균적 일반인’이라는 (합)법적인 패러다임 속으로 사회화시키면서 동시에 모순적이게도 이러한 패러다임으로 부터 소외시켜버린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필연적으로 각 개인의 주체화를 위한 핵심적인 조 건들을 제공해준다. 라캉의 분리이론을 법에 적용하여 재해석해보면, 법은 의미론적으로 법적 기호 들 속에 누적되어있는 소외들을 줄이고, 끊임없이 자기가 되어가는 과정으로 여겨진다. 라캉적인 분리의 법적인 방법은 정신분석적인 포스트인권이라는 인권의 새로운 차원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 이다. 특정 기표를 특정 기의에 영구적으로 연결시키는 고착화현상을 해결하고자 시도하는 ‘언어 비판’을 통해, 라캉적인 분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법적인 맥락에서 이러한 분리는 5단계로 이루어져야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우리는 한국에서 잘 알려진 범죄 사건을 분석하고, 지금까지 논의된 이론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궁극적인 목적은 인권에 관한 현재의 담론들 이상으로 확장시키는 “포스트 인권”으로서 정신분석적 인권에 대한 비전을 달성하는 것에 있다.

Law which is made up of language, interacts with desires of individuals mutually, with a result that law has a paradoxical desire to be followed consciously and to be violated unconsciously. Law is the radical Other in Lacanian sense, which socializes and ambivalently alienates individuals in the legal paradigm of the average, abstracted, and normalized person, and inevitably provides a key condition for their subjectivation. In the application and refinement of Lacan’s separation theory, law should semiotically be criticized endlessly in the direction of becoming self and alleviating the alienation sedimented in legal semiotics. The legal method of separation could achieve a new dimension of human rights as psychoanalytic posthuman rights. Lacanian separ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language criticism’, which attempts to solve a fixed phenomenon that permanently links certain languages with certain symbols. It also argues that in the legal context this separation should be done in five stages. Finally, The ultimate goal of this analysis is to go beyond the current human rights discourse and achieve the vision of psychoanalytical human rights as a “post human righ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제27조 제2항의 위헌성 연구 = The study on the unconstitutionality of article 27(2) of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s Facilities Act : 재산권 침해 및 평등원칙 위반을 중심으로 신호영 p. 81-114
재건축부담금의 위헌성에 대한 검토 = A study on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building charges 차진아 p. 115-158

라캉의 정신분석에서 바라본 법의 욕망 = Law's desire from Lacanian psychoanalysis 박민정 p. 1-48

함정수사의 위법성 판단기준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judgment standard of illegal entrapment investigation : focusing on proving the validity of objective test : 학설과 판례의 개관 및 객관설의 타당성 논증을 중심으로 권순호 p. 159-188

검찰개혁,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 = Prosecution reform, what is the right reform? 장영수 p. 49-80

역사문화환경 보호제도의 재정립 방향 고찰 = Study on the re-establishment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protection system : focusing on th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protection system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 문화재보호법상 역사문화환경 보호제도를 중심으로 김지민 p. 295-337

프랑스 형사상 원격화상시스템 분석 및 시사점 검토 = L'analyse sur le système français de visioconférence en matière pénale et l’examen des suggestions : sur la base de l'analyse de décision n° 2019-802 QPC du 20 septembre 2019 du Conseil constitutionnel : 헌법재판소 2019년 9월 20일 n° 2019-802 결정을 토대로 하여 심승범 p. 189-212

공정거래법상 알고리즘 담합 책임의 귀속과 준법사항(compliance)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n undertaking's accountability for algorithmic collusion and compli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competition law 박창규 p. 257-293

사회 내 보안처분으로서 보호관찰의 실효성 제고방안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of probation as a security measure in society : focusing on special observance for probation : 보호관찰 특별준수사항을 중심으로 박정일 p. 213-255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envenuto, Bice, and Kennedy, Roger, The Work of Jacques Lacan: AnIntroduction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6) 미소장
2 Bruce Fink, A clinical introduction to Lacanian psychoanalysis : theory and technique(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미소장
3 Caudill, David S., Lacan and the Subject of Law: Toward a Psychoanalytic Critical Legal Theory (New York: Humanities Press, 1997) 미소장
4 Freud, Sigmund, James Strachey (tr.), The Psychopathology of Everyday Life.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ume VI. (London: Vintage, 2001) 미소장
5 Sneddon, Andrew, Autonomy, (London: Bloomsbury, 2013). 미소장
6 Habermas, Jürgen,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Band 2 (Frankfurt am Main: Suhrkamp, 1981) 미소장
7 Homer, Sean, Jacques Laca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5) 미소장
8 Jameson, Frederic, The Political Unconscious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1981) 미소장
9 Lacan, Jacques, Jacques-Alain Miller (ed.), John Forrester (tr.),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I. Freud’s Papers on Technique (New York and London: W. W. Norton & Company, 1991) 미소장
10 Lacan, Jacques, Jacques-Alain Miller (ed.), Dennis Porter (tr.),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VII. The Ethics of Psychoanalysis (New York and London: W. W. Norton & Company, 1997) 미소장
11 Lacan, Jacques, Jacques-Alain Miller (ed.), Alan Sheridan (tr.),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XI. The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New York and London: W. W. Norton & Company, 1998) 미소장
12 Lacan, Jacques, Bruce Fink (tr.), Écrits (New York and London: W. W. Norton & Company, 2006) 미소장
13 Zizek, Slavoj,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2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Verso, 2009) 미소장
14 Soler, Colette, “The Subject and the Other (II)”, in Richard Feldstein, Bruce Fink and Maire Jaanus (eds.) Reading Seminar XI: Lacan’s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미소장
15 Jaanus, Maire, “The Démontage of the Drive”, in Richard Feldstein, Bruce Fink and Maire Jaanus (eds.) Reading Seminar XI: Lacan’s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미소장
16 Weingarten, Elmar und Sack, Fritz, “Ethnomethodologie”, in Elmar Weingarten, Fritz Sack, und Jim Schenkein (Hrsg.), Ethnomethodologie (Frankfurt am Main: Suhrkamp, 1976) 미소장
17 Transnational Human Rights and Local Activism: Mapping the Middle 네이버 미소장
18 Milovanovic, Dragan, “The Postmodernist Turn: Lacan, psychoanalytic semiotics, and the construction of subjectivity in law”, Emory International Law Review 8 (1994) 미소장
19 Redding, Richard E., “Socialization by the Legal System: The Scientific Validity of a Lacanian Socio-Legal Psychoanalysis”, Oregon Law Review 75 (1996) 미소장
20 Salecl, Renata, “The Real of Crime: Psychoanalysis and Infanticide”, Cardozo Law Review 24 (2003) 미소장
21 이상돈, 『법의 깊이』, 법문사, 2018. 미소장
22 이상돈, 『기초법학』, 법문사, 2010, 미소장
23 이상돈, 민윤영, 『법정신분석학』, 법문사, 2010. 미소장
24 김 석, 『무의식의 초대』, 김영사, 2010. 미소장
25 김 석, 『에크리, 라깡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미소장
26 자크 라캉, 『자크 라캉 세미나 11_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개념』, 새물결, 2008. 미소장
27 김 석, “라깡과 지젝- 주체화 윤리와 공동선을 향한 혁명-”, 시대와 철학, 25권 2호 미소장
28 김 석, “선의 윤리와 순수 욕망의 윤리”, 미학 예술학 연구, 38권 0호, 2013. 미소장
29 김 석, “욕망하는 주체와 욕망하는 기계- 라깡과 들뢰즈의 욕망이론”,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29집, 2006. 미소장
30 노상우, 진상덕, “라깡의 정신분석에서 본 주체형성과정과 교육학적 함의”, 한독교육학회, 교육의 이론과 실천, 19권1호, 2014. 미소장
31 민윤영, “학제적 법학으로서 법정신분석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Vol.38 No.4, 2014. 미소장
32 박민정, 라깡의 욕망이론과 정신분석학적 인권, 고려대학교 법학석사학위논문, 2017. 미소장
33 백상현, “실제 정신분석 임상에서 윤리적인 것과 윤리적일 수 있는 것_무의식의 윤리적 구조와 임상의 윤리”,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2016(12), 40-56쪽. 미소장
34 이상돈, “전문법-이성의 지역화된 실천”, 고려법학 39 (2002) 미소장
35 정혜욱, “소외의 주체와 타자의 무대화: 드릴로의 『바디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한국 영미어 문학회, 영미어문학 No.102, 2012. 미소장
36 최재정, “사르트르(J. P. Sartre)의 “앙가주망(engagement)” 개념이 현대 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독교육학회, 교육의 이론과 실천 21권1호, 201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