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Benvenuto, Bice, and Kennedy, Roger, The Work of Jacques Lacan: AnIntroduction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6) |
미소장 |
2 |
Bruce Fink, A clinical introduction to Lacanian psychoanalysis : theory and technique(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
미소장 |
3 |
Caudill, David S., Lacan and the Subject of Law: Toward a Psychoanalytic Critical Legal Theory (New York: Humanities Press, 1997) |
미소장 |
4 |
Freud, Sigmund, James Strachey (tr.), The Psychopathology of Everyday Life.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ume VI. (London: Vintage, 2001) |
미소장 |
5 |
Sneddon, Andrew, Autonomy, (London: Bloomsbury, 2013). |
미소장 |
6 |
Habermas, Jürgen,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Band 2 (Frankfurt am Main: Suhrkamp, 1981) |
미소장 |
7 |
Homer, Sean, Jacques Laca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05) |
미소장 |
8 |
Jameson, Frederic, The Political Unconscious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1981) |
미소장 |
9 |
Lacan, Jacques, Jacques-Alain Miller (ed.), John Forrester (tr.),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I. Freud’s Papers on Technique (New York and London: W. W. Norton & Company, 1991) |
미소장 |
10 |
Lacan, Jacques, Jacques-Alain Miller (ed.), Dennis Porter (tr.),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VII. The Ethics of Psychoanalysis (New York and London: W. W. Norton & Company, 1997) |
미소장 |
11 |
Lacan, Jacques, Jacques-Alain Miller (ed.), Alan Sheridan (tr.),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XI. The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New York and London: W. W. Norton & Company, 1998) |
미소장 |
12 |
Lacan, Jacques, Bruce Fink (tr.), Écrits (New York and London: W. W. Norton & Company, 2006) |
미소장 |
13 |
Zizek, Slavoj,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2nd Edition (London and New York: Verso, 2009) |
미소장 |
14 |
Soler, Colette, “The Subject and the Other (II)”, in Richard Feldstein, Bruce Fink and Maire Jaanus (eds.) Reading Seminar XI: Lacan’s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
미소장 |
15 |
Jaanus, Maire, “The Démontage of the Drive”, in Richard Feldstein, Bruce Fink and Maire Jaanus (eds.) Reading Seminar XI: Lacan’s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
미소장 |
16 |
Weingarten, Elmar und Sack, Fritz, “Ethnomethodologie”, in Elmar Weingarten, Fritz Sack, und Jim Schenkein (Hrsg.), Ethnomethodologie (Frankfurt am Main: Suhrkamp, 1976) |
미소장 |
17 |
Transnational Human Rights and Local Activism: Mapping the Middle  |
미소장 |
18 |
Milovanovic, Dragan, “The Postmodernist Turn: Lacan, psychoanalytic semiotics, and the construction of subjectivity in law”, Emory International Law Review 8 (1994) |
미소장 |
19 |
Redding, Richard E., “Socialization by the Legal System: The Scientific Validity of a Lacanian Socio-Legal Psychoanalysis”, Oregon Law Review 75 (1996) |
미소장 |
20 |
Salecl, Renata, “The Real of Crime: Psychoanalysis and Infanticide”, Cardozo Law Review 24 (2003) |
미소장 |
21 |
이상돈, 『법의 깊이』, 법문사, 2018. |
미소장 |
22 |
이상돈, 『기초법학』, 법문사, 2010, |
미소장 |
23 |
이상돈, 민윤영, 『법정신분석학』, 법문사, 2010. |
미소장 |
24 |
김 석, 『무의식의 초대』, 김영사, 2010. |
미소장 |
25 |
김 석, 『에크리, 라깡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
미소장 |
26 |
자크 라캉, 『자크 라캉 세미나 11_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개념』, 새물결, 2008. |
미소장 |
27 |
김 석, “라깡과 지젝- 주체화 윤리와 공동선을 향한 혁명-”, 시대와 철학, 25권 2호 |
미소장 |
28 |
김 석, “선의 윤리와 순수 욕망의 윤리”, 미학 예술학 연구, 38권 0호, 2013. |
미소장 |
29 |
김 석, “욕망하는 주체와 욕망하는 기계- 라깡과 들뢰즈의 욕망이론”,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29집, 2006. |
미소장 |
30 |
노상우, 진상덕, “라깡의 정신분석에서 본 주체형성과정과 교육학적 함의”, 한독교육학회, 교육의 이론과 실천, 19권1호, 2014. |
미소장 |
31 |
민윤영, “학제적 법학으로서 법정신분석학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Vol.38 No.4, 2014. |
미소장 |
32 |
박민정, 라깡의 욕망이론과 정신분석학적 인권, 고려대학교 법학석사학위논문, 2017. |
미소장 |
33 |
백상현, “실제 정신분석 임상에서 윤리적인 것과 윤리적일 수 있는 것_무의식의 윤리적 구조와 임상의 윤리”,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2016(12), 40-56쪽. |
미소장 |
34 |
이상돈, “전문법-이성의 지역화된 실천”, 고려법학 39 (2002) |
미소장 |
35 |
정혜욱, “소외의 주체와 타자의 무대화: 드릴로의 『바디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한국 영미어 문학회, 영미어문학 No.102, 2012. |
미소장 |
36 |
최재정, “사르트르(J. P. Sartre)의 “앙가주망(engagement)” 개념이 현대 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독교육학회, 교육의 이론과 실천 21권1호, 2016,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