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석원사림』은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1055-1101)이 수집하였던 불교의 제문을 그의 사후 원경왕사 낙진과 그의 문도 각순 등 화엄종 문도가 유별로 편정하여 간행한 일종의 佛敎類書로 본고에서는 『석원사림』의 서지와 내용을 중심으로 의의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석원사림』은 250권 가운데 권191에서 권195까지 영본 5권 1책의 고려시대 간행 목판본이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현전본에는 고려전기의 역대 왕명에 피휘가 있고, 태조 建, 혜종 武, 광종 昭, 성종 治, 목종 誦, 현종 詢, 덕종 欽, 정종 亨, 문종 徽, 순종 勳, 선종 運, 숙종 顒, 隆이며, 1101년에서 1108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완성되어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원사림』에 수록된 「眞觀禪師碑」에는 12개의 묵등이 확인된다. 『석원사림』의 편찬시에는 판독이 불가하였거나, 혹은 후대에 복각이나 중수시 저본의 판독이 불가하였기에 再刻을 위해 해당 부분을 판면으로 남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석원사림』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면, 현전본의 권191에서 권193까지는 비문, 권194는 갈․지, 권195는 뇌문이다. 권195의 뇌문은 『광홍명집』 권제23의 僧行篇 諸僧誄行狀에 동일한 순서와 내용으로 수록되어 있다. 『석원사림』과 비교할 수 있는 초조장본 『광홍명집』 권제23은 현전하지 않지만, 초조장을 반영한 재조장이나 조성금장에는 권23이 현전하므로 대교하였으며, 『석원사림』의 저본이나 계통을 추정할 수 있고, 문자이동을 통해 『석원사림』의 정본화에 참고할 수 있다.

고려의 『석원사림』의 편찬과 간행은 국가적 사업으로 수행된 대규모 편찬 사업으로,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의 교·선종을 망라한 방대한 불교의 제문을 집대성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특히 고려전기 『석원사림』의 편찬은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에서 불교 상호 교류를 통해 이루어진 점에서 그 교류사적 의의와 불교문헌학적 의의가 있다.

SeokwonSarim is a kind of classical encyclopedias(類書) that is compiled and published by Buddhist texts collected by Uicheon (1055-1101). This study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bibliography and contents of SeokwonSarim. The above is summarized as follows.

There are 250 Volumes in SeokwonSarim, and 5 books (Volume 191 to 195) exist at Kyujanggak,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kwonSarim was completed and published between 1101 and 1108. In the current version, there is a Pihwi(避諱) for the kings of the early period of Goryo Dynasty. Pihwi letters are Taejo Gun(建), Hyejong Mu(武), Gwangjong So(昭), Sungjong Chi(治), Mokjong Song(誦), Hyunjong Soon(詢), Dukjong Heum(欽), Jungjong Hyung(亨), Munjong Whi(徽), Soonjong Hoon(勳), Seonjong Woon(運), Sookjong Ong(顒), Ryung(隆).

There are 12 Mukdeung(墨等) in SeokwonSarim’s Jingwanseonsabi(眞觀禪師碑). It was presumed that it could not be read at the time of compilation of SeokwonSarim, so it would have been left on the board for later.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SeokwonSarim are epitaphs(碑文) from 191 to 193, 194 are Gal(碣) and JI(誌), and 195 are Rwe(誄). The Rwe(誄) of Vol. 195 is contained in the same order and content in the Seunghang chapter(僧行篇) of the 23rd Guanghongmingji(廣弘明集). This paper compares SeokwonSarim with Jaejojang(再雕藏) and Chaochengzhang(趙城藏). Thi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Bottom Book(底本) or lineage of SeokwonSarim, and can be referenced to the Authentic book(定本化) of SeokwonSarim through the differences of letters(文字異同).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SeokwonSarim in Goryeo is a large-scale compilation project carried out as a national project. In addition, this compilation project is the result of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and the achievement of the Buddhism as the mission of the tim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御定洪翼靖公奏藁』의 편찬과 간행 및 반사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compilation,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Eojeonghongikjeonggongjugo 강순애 p. 33-54

고려금속활자의 새로운 주물사주조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a new method of sand mould casting of Goryeo movable metal types 유부현 p. 55-87

도서소비자의 독서동기 및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ading motivations and book purchasing behaviors : focusing on age group of 20-30 and 40-50 : 20-30대와 40-50대를 중심으로 김선남 p. 239-258

해인사 백련암 불서의 전래와 그 특징 =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old books at Baekryeonam in Haeinsa 徐秀晶 p. 157-190

고려시대 『釋苑詞林』의 書誌와 내용 연구 = A study on the bibliography and contents of SeokwonSarim in the Goryo Dynasty 朴鎔辰 p. 139-156

『朝鮮實錄』의 2019년 國寶 追加指定에 대하여 = On the designation of the additional volume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s national treasures 裵賢淑 p. 5-31

「사고전서총목제요」 유서류의 내용기술 분석 = An analysis of the contents description in Youseoryu of Sagojeonseochongmokjaeyo 한미경 p. 113-137

김병구 소장 紺紙金字 『大方廣佛華嚴經』 卷苐22의 서지적 연구 = A bibliographical study of Byung-gu Kim's collection written in gold on dark-blue paper Flower Ornamaent Sutra Vol. 22 남권희, 석혜영 p. 89-112

17세기 『史纂』 출판의 문화사적 의미 = Cultural history of the 17th century Sachan publication : focusing on the inflow and transformation of Chinese books : 중국본의 유입과 변용을 중심으로 金昭姬 p. 191-208

朝鮮後期 尙州鄕校 所藏 古書의 書誌的 分析 = A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old books at Sangju Hyanggyo in late Joseon Dynasty 권오덕, 최기척 p. 209-238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釋苑詞林」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청구기호: 「古貴 4016-15」 미소장
2 「智谷寺眞觀禪師碑」, 『韓國金石全文』中世下(서울: 亞細亞文化社, 1984) 미소장
3 『韓國佛敎全書』 미소장
4 『釋門正統』 미소장
5 『佛祖統紀』 미소장
6 『宋高僧傳』 미소장
7 『大覺國師外集』 미소장
8 『樂邦文類』 미소장
9 『續高僧傳』 미소장
10 金龍善. “高麗 前期의 法眼宗과 智宗.” 『江原佛敎史硏究』 (小花, 1996). 100. 미소장
11 朴鎔辰. 『義天 그의 생애와 사상』. 서울: 혜안, 2011. 미소장
12 유부현. 『고려대장경의 구성과 저본 및 판각에 대한 연구』. 서울: 시간의물레, 2014. 미소장
13 大屋德城. 『高麗續藏雕造攷』. 便利堂, 1937. 미소장
14 齋藤光純. “釋苑詞林.” 『高僧傳の硏究』. 櫛田良洪博士頌壽記念會編. 東京: 山喜房佛書林, 1973. 823-849. 미소장
15 稻葉岩吉. “高麗時代の文籍.” 『內藤博士還曆祝賀支那學論叢』. 弘文堂書房, 1926. 26-29. 미소장
16 『규장각한국학연구원/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원문검색서비스』 .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