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이청준과 헤밍웨이의 바다 소재 작품 비교 연구 = A study of comparison on the subject of "sea" : focusing on the Works of Lee Chung-Joon and Ernest Hemingway : 『당신들의 천국』과 『노인과 바다』를 중심으로 / 김민주 1

국문 초록 1

I. 문제제기 2

II. 『당신들의 천국』과 『노인과 바다』의 창작 환경과 담론 구조 5

1. 『당신들의 천국』의 자기정체성과 그 소설적 형상 5

2. 『노인과 바다』의 자기정체성과 그 소설적 형상 8

III. 두 작품의 자기정체성 및 비교론적 고찰 12

1. 정체성을 보는 시각과 자아성찰의 형식 12

2. 교육소설로서의 의의와 그 활용의 방식 14

IV. 나오는 말 16

참고문헌 18

Abstract 1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터넷 문화와 타인과의 관계 = Internet culture and relation with other 박준상 p. 133-167

보기
이청준과 헤밍웨이의 바다 소재 작품 비교 연구 = A study of comparison on the subject of "sea" : focusing on the Works of Lee Chung-Joon and Ernest Hemingway : 『당신들의 천국』과 『노인과 바다』를 중심으로 김민주 p. 81-100

보기
구연식 시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방법론 = Surrealist methodology in the poems by Gu, Yeon-sig : the anthology 『The City of Black Coral』 : 첫 시집 『검은 珊瑚의 都市』를 중심으로 간호배 p. 59-80

보기
김광균 시에 나타난 감각의 '반복'과 '생성' 연구 = A study on "repetition" and "generation" of senses in Kwang-gyun's poems : focusing on 『Wasadeung』 and 『Gihangji』 : 『와사등』과 『기항지』를 중심으로 박한라 p. 169-190

보기
신동엽 시인의 비평논리와 시 텍스트의 상관성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iticism logic and text of poet Shin Dong-yup 이주열 p. 191-219

보기
평등의 몰락에 대한 영화적 대응과 의미 = The cinematic response to collapse of equality and its meaning : focused on films <Snowpiercer> and <Parasite> : 영화 <설국열차>와 <기생충>을 중심으로 정현경 p. 7-33

보기
<기생충>에 드러난 자본과 공간 연구 = A study of capital and space as depicted in <Parasite> 조규찬 p. 35-57

보기
이성선 시에 형상화된 음양오행의 상상력과 치유성 연구 = A study on the imagination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and healing effects embodied in Lee Sung-sun's poetry 김지연 p. 101-131

보기
신동엽의 자연 개념과 비근대적 대지 공동체 = Shin Dong-yup's concept of nature and the nonmodern earth community 임지연 p. 221-246

보기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민주, 「‘소나기’와 『톰 소여의 모험』 비교를 통한 교육적 관점 고찰」, 『비교한국학(Comparative Korean Studies)』 제27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9.8,31. 미소장
2 김욱동, 「작품 해설」, 어니스트 헤밍웨이, 『노인과 바다』, 민음사, 2012. 미소장
3 김욱동, 「작품해설」, 어니스트 헤밍웨이,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민음사, 2012. 미소장
4 김유조, 『어니스트 헤밍웨이』, 건국대학교출판부, 2001. 미소장
5 김진기, 조미숙 공저, 「이창준론」, 『한국현대작가론』, 건국대학교출판부, 2002. 미소장
6 김주연, 「사회와 인간」, 김병익, 김현 편, 『이청준』, 은애, 1979. 미소장
7 김천혜, 「치자와 피치자의 논리」, 김병익·김현 편, 『이청준』, 은애, 1979. 미소장
8 김 현, 「자유와 사랑의 실천적 화해」,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미소장
9 김 현, 「장인의 고뇌」, 김병익·김현 편, 『이청준』, 은애, 1979. 미소장
10 소수만, 『어니스트 헤밍웨이―그의 인생과 작품세계』, 동인, 2007. 미소장
11 안범희, 『성격심리학』, 하우, 2009. 미소장
12 이길구,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문학작품세계』, 한빛문화, 2010. 미소장
13 이동하, 『1990년 이전의 소설』, 나남, 1987. 미소장
14 이종인, 「생물적 덫과 단독 평화조약」, 어니스트 헤밍웨이, 『무기여 잘 있거라』, 열린책들, 2012. 미소장
15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문학과지성사, 1976. 미소장
16 장영우, 「이청준 초기 소설에 나타난 작가의식」, 『동학어문론집』 36집, 동학어문학회, 2000. 미소장
17 Baker, Carlos, Ernest Hemingway: A Life Story,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69. 미소장
18 Hemingway, Ernest, 『노인과 바다』 『라이프』지, 미국, 1952, 김욱동 옮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8, 2012. 미소장
19 W. W. Perky, 안범희 역, 『자아개념과 교육』, 민음사, 199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