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이청준과 헤밍웨이의 바다 소재 작품 비교 연구 = A study of comparison on the subject of "sea" : focusing on the Works of Lee Chung-Joon and Ernest Hemingway : 『당신들의 천국』과 『노인과 바다』를 중심으로 / 김민주 1
국문 초록 1
I. 문제제기 2
II. 『당신들의 천국』과 『노인과 바다』의 창작 환경과 담론 구조 5
1. 『당신들의 천국』의 자기정체성과 그 소설적 형상 5
2. 『노인과 바다』의 자기정체성과 그 소설적 형상 8
III. 두 작품의 자기정체성 및 비교론적 고찰 12
1. 정체성을 보는 시각과 자아성찰의 형식 12
2. 교육소설로서의 의의와 그 활용의 방식 14
IV. 나오는 말 16
참고문헌 18
Abstract 19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민주, 「‘소나기’와 『톰 소여의 모험』 비교를 통한 교육적 관점 고찰」, 『비교한국학(Comparative Korean Studies)』 제27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9.8,31. | 미소장 |
2 | 김욱동, 「작품 해설」, 어니스트 헤밍웨이, 『노인과 바다』, 민음사, 2012. | 미소장 |
3 | 김욱동, 「작품해설」, 어니스트 헤밍웨이,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민음사, 2012. | 미소장 |
4 | 김유조, 『어니스트 헤밍웨이』, 건국대학교출판부, 2001. | 미소장 |
5 | 김진기, 조미숙 공저, 「이창준론」, 『한국현대작가론』, 건국대학교출판부, 2002. | 미소장 |
6 | 김주연, 「사회와 인간」, 김병익, 김현 편, 『이청준』, 은애, 1979. | 미소장 |
7 | 김천혜, 「치자와 피치자의 논리」, 김병익·김현 편, 『이청준』, 은애, 1979. | 미소장 |
8 | 김 현, 「자유와 사랑의 실천적 화해」, 『이청준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1999. | 미소장 |
9 | 김 현, 「장인의 고뇌」, 김병익·김현 편, 『이청준』, 은애, 1979. | 미소장 |
10 | 소수만, 『어니스트 헤밍웨이―그의 인생과 작품세계』, 동인, 2007. | 미소장 |
11 | 안범희, 『성격심리학』, 하우, 2009. | 미소장 |
12 | 이길구,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문학작품세계』, 한빛문화, 2010. | 미소장 |
13 | 이동하, 『1990년 이전의 소설』, 나남, 1987. | 미소장 |
14 | 이종인, 「생물적 덫과 단독 평화조약」, 어니스트 헤밍웨이, 『무기여 잘 있거라』, 열린책들, 2012. | 미소장 |
15 |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문학과지성사, 1976. | 미소장 |
16 | 장영우, 「이청준 초기 소설에 나타난 작가의식」, 『동학어문론집』 36집, 동학어문학회, 2000. | 미소장 |
17 | Baker, Carlos, Ernest Hemingway: A Life Story,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69. | 미소장 |
18 | Hemingway, Ernest, 『노인과 바다』 『라이프』지, 미국, 1952, 김욱동 옮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8, 2012. | 미소장 |
19 | W. W. Perky, 안범희 역, 『자아개념과 교육』, 민음사, 199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