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권미영. (2018). 체험경제이론(4E’s)에 기반한 음식축제의 체험성이 러브마크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산업연구, 41(2), 223-244. |
미소장 |
2 |
김민정, 전현모. (2015). 음식축제 웹사이트 서비스품질과 이용후기 정보성이 이용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21(4), 294-308. |
미소장 |
3 |
김선희. (2007). 지역축제에 참여한 지역주민과 외지관광객의 만족도 비교연구: 나주 영산강 문화축제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1(1), 405-420. |
미소장 |
4 |
김영하, 박현지. (2013). 관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고객가치가 고객만족,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5(5), 183-198. |
미소장 |
5 |
김은진, 박상현. (2014). 엔터테인먼트가 여행전시박람회 관람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무역전시연구, 9(2), 67-83. |
미소장 |
6 |
김장호, 홍종숙, 백남길. (2017). 음식축제를 찾는 방문객들의 참여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14 남도음식문화큰잔치를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3(1), 27-39. |
미소장 |
7 |
김정훈, 장미향, 김대철. (2016). 음식 관여도 및 신기성 추구가 음식관광 행동과 전주비빔밥 축제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0(6), 71-84. |
미소장 |
8 |
김한도, 조승아. (2014). 음식문화축제의 성공요인과 축제개최에 대한 지역주민 태도와의 관계- 진해 웅천지역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39(3), 199-218. |
미소장 |
9 |
김홍철. (2012).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과 축제만 족도, 사후 행동의도 간의 구조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8(3), 326-335. |
미소장 |
10 |
김현지, 최지영, 다니구찌기요미. (2014). 음식축제 방문동기와 만족도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10(2), 201-223. |
미소장 |
11 |
류시영, 김혜영. (2008). 농촌관광객의 재방문 의도에 관한 연구-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을 적용하여. 관광연구저널, 22(3), 23-36. |
미소장 |
12 |
문화체육관광부. (2019). 2018 문화관광축제 종합평가보고서. |
미소장 |
13 |
문화체육관광부. (2020). 2020-2021년 문화관광축제 및 예비 문화관광축제 목록. |
미소장 |
14 |
박기순, 이영빈. (2018). 축제 음식판매장의 메뉴 선택속성과 축제 만족도 간에 있어서 지각 가치의 매개효과 연구. 관광연구저널, 32(12), 179-193. |
미소장 |
15 |
박상현, 박근수, 권기준. (2018). 여행박람회의 역할이 관람 만족도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입장료를 조절변수로. 무역전시연구, 13(1), 69-89. |
미소장 |
16 |
박종천, 김화경. (2005). 국제전시회에 참가한 기업고객의 만족도 평가. 컨벤션연구, 5(2), 135-153. |
미소장 |
17 |
박현호, 정형우, 김동한. (2019). 비 연고성 소재를 활용한 축제의 서비스 품질과 지각된 가치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1(1), 131-150. |
미소장 |
18 |
복미정, 박나은. (2019). 음식축제에 대한 참여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4(4), 177-183. |
미소장 |
19 |
선우영수, 손재영. (2012). 향토음식축제의 서비스스케이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7(5), 299-316. |
미소장 |
20 |
성현아, 이애주. (2019). 지역축제에서 음식판매장 메뉴선택요인이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빙어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5(1), 193-206. |
미소장 |
21 |
손선미. (2015). 음식축제 체험이 지역특산 음식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벤트컨벤션연구, 11(2), 19-33. |
미소장 |
22 |
손해경, 윤유식. (2013). 축제품질과 지각된 가치, 만족, 충성도, 지출비용 간 구조적 관계분석: 경북 영덕대게축제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7(4), 187-210. |
미소장 |
23 |
신창열, 송학준, 이충기. (2012). 축제품질, 축제주제 인식, 지각된 가치, 만족도 간 구조관계 연구-2010 제천국제한방바이오엑스포를 사례로. 관광연구, 26(6), 205-225. |
미소장 |
24 |
안현영, 윤연숙, 서철현. (2018). 축제 방문객이 지각한 가치가 지역 브랜드 인지 및 브랜드 애호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14(2), 259-279. |
미소장 |
25 |
양길승. (2015). 음식축제의 물리적 환경과 지역이미지와의 관계에서 관계품질의 매개효과 연구. 『관광연구저널』, 29(3), 93-107. |
미소장 |
26 |
은지영, 박양우. (2014). 축제 서비스품질이 이미지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중음악축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8(12), 29-43. |
미소장 |
27 |
이경여, 이훈. (2018). 궁중문화축전 프로그램의 체험 영향 분석. 관광학연구, 42(2), 103-119. |
미소장 |
28 |
이경여, 임형택, 박상현. (2018). 무료 및 유료 방문객의 소비지출행동에 따른 지역축제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남양주 슬로라이프 국제대회 방문객을 대상으로. 관광진흥연구, 6(1), 219-237. |
미소장 |
29 |
이상호, 김주연. (2019). 축제방문객에 의한 축제품질과 진정성 지각이 축제신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안리어방축제와 낙동강구포나루축제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3(11), 5-18. |
미소장 |
30 |
이애주, 김민정, 전현모. (2014). 음식축제 웹사이트의 서비스품질이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덕 대게 축제를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57, 358-371. |
미소장 |
31 |
전규미. (2018). 지역축제의 축제품질, 축제만족, 인지적 이미지, 정서적 이미지 간의 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30(8), 259-273. |
미소장 |
32 |
전영주. (2019). 지역축제 이미지 및 지각된 가치가 방문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강원지역 축제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3(7), 389-408. |
미소장 |
33 |
정승훈. (2015). 해양축제의 환경단서가 방문객의 긍정적 감정, 지각된 가치, 전반적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14회 최남단 방어축제를 사례로. 관광연구저널, 29(3), 77-92. |
미소장 |
34 |
조봉석, 허철무. (2017). 융복합트렌드에 따른 지역문화축제의 서비스품질과 지각된 가치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2), 99-113. |
미소장 |
35 |
최영민, 길가영. (2017). 음식축제 방문동기가 관광지 선택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17 정남진 장흥 키조개 축제를 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17(3), 147-158. |
미소장 |
36 |
Tourist loyalty to a local cultural event: The case of Turkmen handicrafts festival  |
미소장 |
37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
미소장 |
38 |
Designing Festival Experiences to Influence Visitor Perceptions: The Case of a Wine and Food Festival  |
미소장 |
39 |
Baker, D. A., & Crompton, J. L. (2000).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7(3), 785-804. |
미소장 |
40 |
Mussels, Tourism and Community Development: A Case Study of Place Branding Through Food Festivals in Rural North Jutland, Denmark  |
미소장 |
41 |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
미소장 |
42 |
Local food festivals in Northeast Iowa communities: A visitor and economic impact study  |
미소장 |
43 |
A Taste of Tourism: Visitors' Motivations to Attend a Food Festival  |
미소장 |
44 |
Investigating factors affecting festival quality: A case study of Neimen Song Jiang Jhen Battle Array, Taiwan  |
미소장 |
45 |
Examining the festival attributes that impact visitor experienc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미소장 |
46 |
Journal of Travel Research  |
미소장 |
47 |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
미소장 |
48 |
Holbrook, M. B. (1994). The nature of customer value: an axiology of services in the consumption experience. Service quality: New Directions in Theory and Practice, 21(1), 21-71. |
미소장 |
49 |
Jeon, S., & Bae, M. (2019). The Impact of lifestyle-congruence on affective image,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festival loyalty. 관광레저연구, 31(2), 173-191. |
미소장 |
50 |
Influence of festival attribute qualities on Slow Food tourists’ experi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visit intention  |
미소장 |
51 |
The relationships between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satisfaction, and loyalty among visitors attending food events and festivals  |
미소장 |
52 |
Involvement, Satisfaction, Perceived Value, and Revisit Intention: A Case Study of a Food Festival  |
미소장 |
53 |
Railbike experience and tourist satisfaction  |
미소장 |
54 |
The Role of Regional Food Festivals for Destination Branding  |
미소장 |
55 |
Examining the Role of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in Festival Evaluation  |
미소장 |
56 |
Traditional costume experience at a cultural heritage festival  |
미소장 |
57 |
The effects of festival attendees’ experiential values and satisfaction on re-visit intention to the destination  |
미소장 |
58 |
Leisure needs and vacation satisfaction  |
미소장 |
59 |
Markovic, S., Dorcic, J., & Krnetić, M. (2015). Visitor satisfaction and loyalty measurement of a local food festival: Application of FESTPERF scale. In 3rd International Scientific Conference Tourism in Southern and Eastern Europe. |
미소장 |
60 |
Reflections on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customer value  |
미소장 |
61 |
The impact of technology on the quality-value-loyalty chain: A research agenda  |
미소장 |
62 |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
미소장 |
63 |
Visitors' Motivation for Attending the South Beach Wine and Food Festival, Miami Beach, Florida  |
미소장 |
64 |
Perceived value of the purchase of a tourism product  |
미소장 |
65 |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77(1), 159-170. |
미소장 |
66 |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
미소장 |
67 |
Weber, K. (1997). The assessment of tourist satisfaction using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ory: a study of the German travel market in Australia. Pacific Tourism Review, 1(1), 35-45. |
미소장 |
68 |
Green events, value perceptions, and the role of consumer involvement in festival design and performance  |
미소장 |
69 |
An Empirical Analysis of Synthesizing the Effects of Festival Quality, Emotion, Festival Image and Festival Satisfaction on Festival Loyalty: A Case Study of Macau Food Festival  |
미소장 |
70 |
A study of festival switching intentions, festival satisfaction, festival image, festival affective impacts, and festival quality  |
미소장 |
71 |
Measuring festival quality and value affecting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using a structural approach  |
미소장 |
72 |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