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로 인해 지방자치단체 무기계약직 및 노동조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노사분쟁과 그로 인한 소요비용도 상당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응이 지방자치단체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무기계약직의 개념과 특성, 노동조합 및 노사분쟁의 현황을 조사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상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자치단체에는 상당수의 무기계약직 노동조합이 설치되어 있고 그로 인한 노사분쟁과 소요비용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상황을 분석해 보면 업무담당자들의 전문성 부족, 협약의 원만성 부족, 관련 정보의 제한적 공유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단기적 대응방안은 담당자의 전문성 제고, 상위정부의 노조협상 지원이며, 중장기적 대응방안은 공무직 정식직제화 방안이다.

As a result of the regularization of non-regular workers, the number of indefinite-term contract workers and labor unions in local governments is increasing rapidly, resulting in labor disputes and the expenses required. Therefore, the response to this problem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for local governments. To prepare countermeasures against this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local governments' indefinite-term contract worker labor unions and labor disputes and analyzed the response status of local governments. The survey found that local governments have a considerable number of indefinite-term contract workers labor unions resulting in a significant amount of labor disputes and related costs. However, the analysis of the local governments' response to the situation reveals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expertise of the officials in charge of affairs, the lack of seamless of the agreement, and the limited sharing of relevant information. The short-term countermeasures proposed by this study to resolve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expertise of those in charge. Second, higher governments need to support the negotiation process with indefinite-term contract worker labor unions. The mid- to long-term countermeasure is to create official positions for indefinite-term contract work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역상생발전기금 성과분석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 Improvements of performance analysis of the fund for mutual development of municipalities in Korea 한재명, 하능식, 이슬이 p. 197-226

동주민센터 일선공무원과 지역주민 간 관계성에 대한 상호지향성 분석 = An analysis on co-orientation for relationship between public official at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local resident : focusing on cases of 20 districts at Seongbuk-gu, Seoul : 서울시 성북구 20개 동을 사례로 주경일 p. 135-170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충청북도 농촌중심지 계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ural central place class of Chungcheongbuk-do using GIS spatial analysis 심재헌, 이세규, 이은미, 마상진 p. 269-296

지방의회 연구 경향 비교·분석 = Analyzing trends in the study of the local council : a comparison with the National Assembly : 국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정숙, 유은지, 한승혜 p. 171-196

도농교류의 지불가치 추정 연구 = Estimating the payment value of urban and rural exchange : the case of city family weekend fa[r]mer program : 서울시-농협의 '도시가족 주말농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강현 p. 297-320

삶의 질과 사회적 연결망 =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network : the influence of public policy to social support network :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공공정책부문 효과분석 김상민, 김현호, 이성원 p. 227-268

지역 사회혁신 촉진을 위한 참여적 지역 거버넌스의 역할 = The role of participatory local governance system as an enabling environment for social innovation : a case study of Seongbuk-Gu and Hongseong-Gun : 서울시 성북구와 충남 홍성군을 사례로 김상민, 이소영 p. 49-89

지역균형발전의 접근논리 탐색 = Exploring the approach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recognition of regional disparity : 지역격차 인식을 중심으로 소진광 p. 3-47
지방자치단체 무기계약직 노동조합 대응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of the local government's indefinite-term contract worker labor unions 김대욱, 손화정 p. 113-134

공공부문 성과관리에 대한 인식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public sector : focusing on acceptance of performance management 박건우, 윤성일 p. 91-112

The role of state expenditure and accumulated experience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green energy policies= 지방정부의 재정역량과 축적된 집행경험이 정책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회생 및 재투자 법안을 통해 집행된 녹색에너지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Lim, Taekyoung p. 32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