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세기 전반 간척으로 인한 섬마을 중등교육기관의 설립과 운영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econdary schools at the island result from land reclam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focusing on a case of Shinan Docho Higher Civil Education School : 신안 도초고등공민학교 사례 김경옥 p. 5-38

북한 역사첩보영화 <붉은 단풍잎>의 역사 재현과 냉전의 재구조화 = Reconstructing the Cold War and recreating history in the North Korean historical spy film, Red Autumn Leaves 이하나 p. 175-212
한양 北里 淸風溪의 장소적 의미와 鄭敾(1676 ~1759)의 <淸風溪圖> = The symbolic meaning of Kim Sang-yong's Cheong-poong-gye in Hangyang Buk-ri and the style of Chung Sun's (1676~1759) <Cheongpoonggyedo> 이순미 p. 139-173
1936년 극예술연구회의 '신방침'과 제9회 <어둠의 힘> 공연의 의의 = New policy of Geugyesuryeonguhoe in 1936 and significance of Power of Darkness performance as the 9th regular performance 김남석 p. 39-71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사라진 히치하이커(The Vanishing Hitchhiker)>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nishing Hitchhiker between Korea and Indonesia 염원희 p. 105-137

학습자 상호동료교수 활동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및 문법 교육 연구 = A study on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education using reciprocal peer teaching activities between learners 장미정 p. 213-239
안익태 연구= Study on Eak-tai Ahn. 1, Focusing on his Liszt Academy days . 1, 리스트 음악원 재적 시기를 중심으로 김보국 p. 73-103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동아일보』 미소장
2 『조선일보』 미소장
3 『매일신보』 미소장
4 『사해공론』 미소장
5 『삼천리』 미소장
6 『동광』 미소장
7 『극예술』창간호 미소장
8 『학등』21) 미소장
9 고설봉, 『증언 연극사』, 진양, 1990. 미소장
10 구인환, 「이광수 소설에 수용된 톨스토이」, 『국어교육』 3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78, 1~24쪽. 미소장
11 김미연, 「이광수의 톨스토이 수용과 번역 양상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1~79쪽. 미소장
12 김원중, 「춘원 이광수의 희곡문학」, 『국어국문학』 86, 국어국문학회, 1981, 327~335쪽. 미소장
13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1, 솔, 2008. 미소장
14 김윤정, 「극예술연구회의 관객에 대한 시각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54, 한국현대문학회, 2018, 257~277쪽. 미소장
15 김재석, 「극예술연구회 제1기의 번역극 공연 인식과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 89, 대동문화연구원, 2015. 237~272쪽. 미소장
16 김재석, 「극예술연구회 제2기의 번역극 공연에 대한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46, 한국극예술학회, 2014, 57~92쪽. 미소장
17 박진영, 「한국에 온 톨스토이」, 『한국근대문학연구』 23, 한국근대문학회, 2011, 197~227쪽. 미소장
18 안숙현, 「톨스토이 작품의 한국 공연사 연구」, 『노어노문학』 29-4, 한국노어노문학회, 2017, 71~105쪽. 미소장
19 오종우, 「<어둠의 힘> 연구-주제와 등장인물 및 구조와의 연관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1~62쪽. 미소장
20 우수영, 「<어둠의 힘>에 나타난 이광수의 번역 의도」, 『어문론총』 58, 한국문학언어학회, 2013, 309~330쪽. 미소장
21 유치진, 『동랑 유치진 전집』8~9, 서울예대출판부, 1993. 미소장
22 이상우, 「극예술연구회의 창작극과 유치진」, 『인문연구』 18-1,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121~147쪽. 미소장
23 극예술연구회에 대한 연구 : 번역극 레퍼터리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소장
24 이상우, 『유치진 연구』, 태학사, 1997. 미소장
25 이정숙, 「극연의 영화제작과 전문극단 모색」, 『한국극예술연구』 62, 한국극예술학회, 2018, 195~228쪽. 미소장
26 최주한, 「이광수와 번역」, 『대동문화연구원』 94, 대동문화연구원, 2016, 424~451쪽. 미소장
27 톨스토이·이광수 역, 『어둠의 힘』, 중앙서림, 192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