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동아일보』 | 미소장 |
2 | 『조선일보』 | 미소장 |
3 | 『매일신보』 | 미소장 |
4 | 『사해공론』 | 미소장 |
5 | 『삼천리』 | 미소장 |
6 | 『동광』 | 미소장 |
7 | 『극예술』창간호 | 미소장 |
8 | 『학등』21) | 미소장 |
9 | 고설봉, 『증언 연극사』, 진양, 1990. | 미소장 |
10 | 구인환, 「이광수 소설에 수용된 톨스토이」, 『국어교육』 3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78, 1~24쪽. | 미소장 |
11 | 김미연, 「이광수의 톨스토이 수용과 번역 양상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1~79쪽. | 미소장 |
12 | 김원중, 「춘원 이광수의 희곡문학」, 『국어국문학』 86, 국어국문학회, 1981, 327~335쪽. | 미소장 |
13 |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1, 솔, 2008. | 미소장 |
14 | 김윤정, 「극예술연구회의 관객에 대한 시각 고찰」, 『한국현대문학연구』 54, 한국현대문학회, 2018, 257~277쪽. | 미소장 |
15 | 김재석, 「극예술연구회 제1기의 번역극 공연 인식과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 89, 대동문화연구원, 2015. 237~272쪽. | 미소장 |
16 | 김재석, 「극예술연구회 제2기의 번역극 공연에 대한 연구」, 『한국극예술연구』 46, 한국극예술학회, 2014, 57~92쪽. | 미소장 |
17 | 박진영, 「한국에 온 톨스토이」, 『한국근대문학연구』 23, 한국근대문학회, 2011, 197~227쪽. | 미소장 |
18 | 안숙현, 「톨스토이 작품의 한국 공연사 연구」, 『노어노문학』 29-4, 한국노어노문학회, 2017, 71~105쪽. | 미소장 |
19 | 오종우, 「<어둠의 힘> 연구-주제와 등장인물 및 구조와의 연관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1~62쪽. | 미소장 |
20 | 우수영, 「<어둠의 힘>에 나타난 이광수의 번역 의도」, 『어문론총』 58, 한국문학언어학회, 2013, 309~330쪽. | 미소장 |
21 | 유치진, 『동랑 유치진 전집』8~9, 서울예대출판부, 1993. | 미소장 |
22 | 이상우, 「극예술연구회의 창작극과 유치진」, 『인문연구』 18-1,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121~147쪽. | 미소장 |
23 | 극예술연구회에 대한 연구 : 번역극 레퍼터리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소장 |
24 | 이상우, 『유치진 연구』, 태학사, 1997. | 미소장 |
25 | 이정숙, 「극연의 영화제작과 전문극단 모색」, 『한국극예술연구』 62, 한국극예술학회, 2018, 195~228쪽. | 미소장 |
26 | 최주한, 「이광수와 번역」, 『대동문화연구원』 94, 대동문화연구원, 2016, 424~451쪽. | 미소장 |
27 | 톨스토이·이광수 역, 『어둠의 힘』, 중앙서림, 192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