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 전통과 현대의 건축을 어떻게 이어갈 것이며, 전통을 계승하여 발전할 것인지는 현시대 건축계의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왕슈(王澍)는 전통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현대적인 설계 방식으로 새롭게 표현함으로써 현대인의 심미적 요구에 적합한 건축가로서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왕슈 건축의 표현특성을 들뢰즈의 기호론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관찰하고자 한다. 기호학은 다양한 예술과 미학에서 중요한 지식의 토대가 되고 있으며, 대상의 의미와 해석 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본 연구에서 왕슈의 건축과 기호학의 연관성을 통해 작품을 해석하고 기능적 도구의 건축이 아닌 문화현상의 의미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간주하여 새로운 건축해석의 방법을 알리려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절차는 첫째, 왕슈의 건축의 사상과 배경 및 특성을 고찰한다. 둘째, 기호학의 학술 저서와 논문을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정리한다. 셋째,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분석의 방법과 분석의 틀을 도출한다. 넷째, 도출된 기호적 개념을 바탕으로 왕슈 건축에서 나타나는 기호적 표현특성에 대해 분석한다. 결론에서는 사례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왕슈의 기호론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결과) 들뢰즈의 기호론을 통해 왕슈 건축의 전통성 표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들뢰즈의 3가지 기호를 통해 9가지의 기호요소가 파생되었다. 사교계의 기호는 건축가의 의도를 이해하지 못한 순수한 형체로서의 기호로서 형태, 색채, 재료, 공간요소가 나타났다. 사랑의 기호는 공간 안에서 메시지와 의미가 연결 관계를 갖는 기호로 공간개념, 메시지, 상징성의 요소가 나타났다. 감각적 기호는 사용자들의 경험과 체험을 바탕으로 발현되는 기호로 경험, 체험, 인지 요소가 나타났다. (결론)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왕슈 건축에서 나타난 들뢰즈의 기호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과 현대건축 관계의 재구성 특성이 나타난다. 둘째, 건축에서 함축되어 있는 전통 공간의 특성이 나타난다. 셋째, 과거와 현재 사이에서 오는 기억의 특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는 들뢰즈의 기호학적 관념을 통해 왕슈 건축에서 보여지는 공간 요소를 도출하여 구조화 시켰으며, 인간과 건축 사이에 가치와 의미작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Background and purpose) Taken together, methods for continuing with modern architecture while succeeding and developing tradition have emerged as a major topic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Wang Shu studied tradition, capturing the world’s attention as an architect who is well-suited to modern people’s aesthetic needs by expressing it in a new way through modern design. I would like to examine this expressive characteristic in Wang Shu’s architecture from Deleuze’s semiotics perspective. Semiotics is the foundation of important knowledge in various arts and aesthetics; it refers to the study of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objects. With a focus on the connection between Wang Shu's architecture and semio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work as a medium that conveys the meaning of cultural phenomena rather than the construction of functional tools. It aims to inform new methods for interpreting architecture. (Method) The research method firstly considered the ideas,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Wang Shu’s architecture. Second, it was theoretically organized around academic books and semiotics papers. Third, the analytical method and framework were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urth, the symbolic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at can be seen in Wang Shu’s architecture were analyzed based on derived symbolic concepts. In conclusion, Wang Shu’s semiotic characteristics, which were derived through case analysis, are summarized.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Wang Shu’s architecture’s traditional expression through Deleuze's semiotics. As a result, nine symbolic elements were derived from Deleuze's three symbols. The social sign is a pure form that does not understand the architect's intention; it has form, color, material, and spatial elements. The symbol of love is a symbol in which the message and the meaning are connected in space, and elements of space concept, message, and symbolism appeared. The sensuous sign is express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users, and the elements of experience and cognition appeared. (Conclusion) Based on case analysis, Deleuze’s symbolic characteristics in Wang Shu’s architecture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modern architecture relationship appear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paces implied in architecture also appear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memory that intervene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ppeared as well. This study identified and constructed the spatial elements that are seen in Wamg Shu's architecture through Deleuze's semiotic notion, examining the value and meaning that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rchitec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빛 연출을 통한 문화시설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ight performance in transition of space in cultural facilities 조능혜, 이재규 p. 309-319

지하철역의 공공미술과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ublic art and place identity in subway station 이지은, 이재규 p. 295-307

조지 프레드 켁의 1933년 시카고 박람회 전시주택 연구 = A study on the George Fred Keck's exhibition houses at Chicago world's fair in 1933 신은기, 나인수 p. 249-258

포괄적 비주얼 머천다이징 평가에 의한 럭셔리 브랜드 매장의 현상 분석 = Analysis of the phenomenon of luxury brand stores by comprehensive visual merchandising evaluation : focusing on fashion brands :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최원선 p. 349-362

지속가능한 학교 숲 활성화 전략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sustainable school forest activation strategy : design proposal of Incheon Yongil Elementary School : 인천 용일초등학교 설계안을 중심으로 최유정, 김진호 p. 259-270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적 접근에 의한, 건축 재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rchitectural regeneration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Merleau Ponty : focusing on architectural regeneration cases in Korea : 국내 건축 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최지연, 여영호 p. 363-374

왕슈(王澍) 건축의 전통성을 기반으로 한 기호론적 특성연구 = A study on semiotics based on the traditionality of Wang Shu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semiotics of Jill Deleuze : 질 들뢰즈의 기호론을 중심으로 위성원, 윤재은 p. 339-348

잠실 올림픽주경기장 버스정류장 디자인 개발 = Jamsil Olympic Stadium bus stop design development 송규호 p. 331-338

시선추적을 통한 지하복합상업공간 주시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complex commercial space by eye-tracking 문보경, 양지윤, 김주연 p. 321-330

브랜드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자연주의화장품 판매공간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sales space for naturalistic cosmetics to establish a brand identity 이주형 p. 283-294

수변공원의 은신 공간 형성계획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nning of refuse spatial in waterfront park 최민석, 김지현, 김주연 p. 271-282

노인 행위 시나리오 기반한 주택개조 매뉴얼 개발 = Development of manual for home modification based on scenario of elderly residents' behaviors 권오정, 이용민 p. 235-247

프리츠커 수상작품 선행연구들에 나타나는 공간인식 경향에 관한 연구 = An study of space recognition trends on the preceding studies of Pritzker price winners' works 진제스민, 이종세, 김주연 p. 79-90

공간구문론을 통한 공간분석 경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end of spatial analysis through space syntax 이범동, 이종세, 김주연 p. 103-116

무장애 공간 인증 관련 초등학교 설계안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elementary school in relation to the barrier free 성이용 p. 91-102

가상현실 체험자의 안전 확보 방안 사례 분석 = A case study on safety measures for users experiencing the virtual reality : focusing on experiential space for immersive virtual reality : 몰입형 가상현실 체험공간을 중심으로 김경태, 한정엽, 이하은 p. 161-168

개인형 이동수단의 자전거도로 사용을 위한 도로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ad environment design for the use of personal mobility on bicycle roads 김승호, 김수홍, 김주연 p. 149-159

조선시대 정원과 원림, 그 용어 구분과 공간적 특성 = Terms classifi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garden and Wonlim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이주희 p. 67-78

안내사인의 복잡성과 이용자 인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xity of signboards and the recognition of users : focusing with metro transit station examples : 도시철도 환승역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수, 장영호, 김주연 p. 209-219

공간 업사이클링을 통한 레트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tro design through space upcycling : focusing on the commercial space of cafe : 카페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정다인, 박보람 p. 25-39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을 통해서 본 현대미술관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temporary art museum by M. Merleau-Ponty's physical phenomenology for the method of space perception : focusing on cases where traditional elements appear : 전통적 요소가 나타나는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빈, 공순구, 박지훈 p. 169-179

경험디자인 구성요소와 VMD공간 구성요소 간의 상관관계 중요도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design components and VMD spatial components : focusing on the clothing brands : 의류브랜드 공간을 중심으로 김운걸 p. 181-194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한 재사용 디자인의 웹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 A basic study on web development of reuse design for sustainable space design : focus on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하숙녕, 이준민 p. 139-148

일본 대도시의 임차가구를 고려한 소규모 인테리어전문 DIY 쇼룸의 특성 연구 = Characteristics of small-scale interior-specialized DIY showrooms for rental households in major cities of Japan 정미렴 p. 11-23

스페이스 마케팅 기반의 백화점 VMD 아트 협업 전략 연구 = A study on VMD in department stores using art collaboration strategy based on space marketing : focusing on Le Bon Marche : 봉 마르셰(Le Bon Marche) 백화점을 중심으로 김유라, 이재규 p. 127-138

도시 리질리언스 관점의 동인천역 주변 도시재생 기본계획 및 디자인 제안 = The urban regeneration master plan and design around Dongincheon Station area based on urban resilience 김하늘, 곽동화 p. 41-54

일본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체계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network system in public libraries in Japan 박지훈, 유다평, 김홍 p. 221-233

공기막 구조(空氣膜 構造)의 전시적 활용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hibitional utilization of pneumatic structure 방효선, 최익서 p. 55-66

상해 웨스트번드 뮤지엄을 통한 문화적 재생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regeneration through the West Bund Museum in Shanghai : focusing on renovation cases : 리노베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김희근, 오주석 p. 195-208

노인 복합 커뮤니티케어 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ld people complex community care space 이승일, 김주연, 안진근, 김성배 p. 117-126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Deleuze, Gilles, (1997). Proust et les signes. minumsa 미소장
2 Eum, Ji Hyun, (2018). A Study on Images of Webtoon Mother through Deleuze's theory of 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미소장
3 Huh, Jin, (2012). Examination on Rational Interpretation Criteria and Signification of Visual Symbol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2(7), 94-101 미소장
4 Kim, Bi Ah, (2014).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G. Deleuze's theory of sign. Yeungnam University, Ph. D. Dissertation 미소장
5 Kim, Ji Soo, (2019). Characteristics in the Complex Culture Space - Focusing on the Semiotics of Peirc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Vol.20 No.1, 108-119. 미소장
6 Kim, Seul Ki, (2017). A Study on the S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wer Space Designs Reflected in Wedding Space. Kookmin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미소장
7 Lee, Min, (2015). A Research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Works through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e by Wang Shu.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49, 177-185. 미소장
8 Lee, Sang Jun, (2015).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ypermediacy Revealed in Installation Space. Kookmin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미소장
9 Lee, Young Jae, (2013).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Locality in the Architectural Works of Wangshu.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미소장
10 Lee, Hyun Jung, Kim, Kyung Hee, & Kim, So Young, (2011). The Formativeness Study of Sandra Backlund's Works from a Semiotic Perspectiv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Vol. 14, No. 1, 31-46 미소장
11 Li, Zhao Yang, (2015).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Chinese Architects Wang Shu's Works. Soonchunhyang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미소장
12 Ryu, Jong Woo, (2014). Genesis of Apprenticeship by the Violence of Signs in Deleuze's Philosophy,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Vol.37, May 2014, 261-290 미소장
13 Ryu, Mi Ri, (2017).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Traditional Motifs in the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미소장
14 Wu, Zheng, (2018).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hinese Traditional Architectural Elements in Wang Shu's Architecture. Konkuk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미소장
15 Zheng, Kang, (2014). A Study on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lk House in South of the Yangtze River in the Architectural Works of Wangshu. Daegu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