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디지털 사진의 등장으로 사진의 대한 신뢰가 급격히 무너졌다. 이는 디지털 사진의 경우 이미지의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미지와 현실세계의 진실한 관계가 단절된다는 일반적이지만 성급한 통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이런 통념은 디지털 사진에서 인덱스가 소멸됨으로써 바르트나 바쟁 혹은 벤야민의 사진이론이 유효하지 않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들의 인덱스 소멸론에 전제된 인덱스의 개념은 정작 바르트나 바쟁, 소급하면 퍼스의 인덱스론과 무관하다. 이 글은 퍼스의 인덱스 개념과 바쟁 및 바르트의 사진론을 면밀하게 살핌으로써, 디지털 사진의 변형가능성이 사진의 인덱스를 소멸시키지 않을 뿐더러 증강시킬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밝힐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오윤겸(吳允謙)의 일본사행과 대일인식 = Oh Yun-Gyeom's diplomatic envoy mission to Japan and perceptions of Japan 방기철 p. 321-351
사진의 인덱스에 대한 재고 = Reconsidering the index in photography for an ontology of digital photography : 디지털 사진의 존재론을 위한 시론 박영욱 p. 275-320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통해 본 분단적대성의 언어적 재현과 의미 = The representation and meaning through language of the inter-Korean antagonism seen through big-data analysis 박재인 p. 47-77

'분단적대성 지표'(IKAI)의 개발과 타당성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ter-Korean antagonism index (IKAI) 김종곤 p. 5-45

한국인의 분단적대성 구축 서사의 유형과 의미 = Types and meanings of stories that establish the inter-Korean antagonism to Koreans 김종군 p. 79-113

대중들의 눈을 통해 본 북한의 친일파 청산과 토지개혁 = Pro-Japanese group liquidation and land reform in North Korea seen through the eyes of the public 김재웅 p. 235-247
통일교육의 윤리학적 토대 마련을 위한 제언 = A proposal for preparing ethical found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차승한 p. 157-199
1990년대 후반 북한 선군정치 담론의 예술적 형상화 = Artistic rendition of military-first policy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 the late 1990’s : the Letter and Comrade by Park Ho-il : 박호일의 <편지>와 <동지>를 중심으로 이유영, 홍재범 p. 201-234
재한 조선족의 사회적 삶과 경계 재생산 = The creation of segregation and social life of Chinese Koreans in Korea 방미화 p. 115-156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E. H. 곰브리치, 차미례 옮김, 『예술과 환영』, 열화당, 1994. 미소장
2 레프 마노비치, 서정신 옮김,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2004. 미소장
3 롤랑 바르트, 조광희 올김, 『카메라 루시다 – 사진에 관한 노트』, 열화당, 1997. 미소장
4 리즈 웰스, 「흰 벽 위와 그 너머, 예술사진」, 리즈 웰스 엮음, 문혜진, 신혜영 옮김, 『사진이론 - 사진해석을 둘러싼 논쟁과실천의 역사』, 두성북스, 2016. 미소장
5 발터 벤야민, 최성만 옮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작은 역사 외』, 발터 벤야민 선집 2, 도서출판 길, 2008. 미소장
6 수잔 손택, 이재원 옮김, 『사진에 관하여』, 이후, 2009. 미소장
7 앙드레 바쟁, 박상규 옮김, 『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2001. 미소장
8 윌리엄 미첼, 김은조 옮김, 『디지털 이미지론』, 아이비스 출판부, 1997. 미소장
9 지젤 프로인트, 성완경 옮김, 『사진과 사회』, 눈빛, 2001. 미소장
10 찰스 샌더스 퍼스, 김동식, 이유선 옮김, 『퍼스의 기호학』, 나남, 2008. 미소장
11 필립 뒤봐, 이경률 옮김, 『사진적 행위』, 사진 마실, 2005. 미소장
12 The Surrealism of the Photographic Image: Bazin, Barthes, and the Digital "Sweet Hereafter" 네이버 미소장
13 Peirce and Photography: 네이버 미소장
14 Andreas Gursky and the Contemporary Sublime 네이버 미소장
15 The Macro and the Micro: Andreas Gursky's Aesthetics 네이버 미소장
16 Automatism and Agency Intertwined: A Spectrum of Photographic Intentionality 네이버 미소장
17 Charles Sanders Peirce, edited by Charles Hartshorne and Paul Weiss,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anders Peirce, Volume II,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미소장
18 Charles Sanders Peirce, edited by Charles Hartshorne and Paul Weiss, Collected Papers of Charles Sanders Peirce, Volume III,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미소장
19 Daniel Morgan, “Rethinking Bazin: Ontology and Realist Aesthetics”, Crtical Inquiry , 32,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6. 미소장
20 The Transcendental Machine? A Comparison of Digital Photography and Nineteenth-Century Modes of Photographic Representation 네이버 미소장
21 AnotherPunctum: Animation, Affect, and Ideology 네이버 미소장
22 Sutured Reality: Film, from Photographic to Digital 네이버 미소장
23 Friedrich Kittler, Grammophon Film Typewriter, Brinkmann & Bose Verlag 미소장
24 Georges Didi-Huberman, translated by Alisa Hartz, Invention of Hysteria – Charcot and the Photographic Iconography of the Salpêtrière, The MIT Press, 2003. 미소장
25 Hector-Neri Catañeda, “Indexicality: The Transparent Subjective Mechanism for Encountering A World”, Noûs , Vol. 24, No. 5, Wiley Press, 1990. 미소장
26 Helmut Pape, “Searching for Traces: How to Connect the Scieces and the Humanitiesby a Peircean Theory of Indexicality”, Transactions of the Charles Sanders Peirce Society , Vol. 44, No.1, 2008. 미소장
27 Screens — The Place of the Image in Digital Culture 네이버 미소장
28 James Elkins, “Critical Response: What Do We Want Photography to be? A Response to Michael Fried”, Critical Inqury, Vol.31, No.4,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미소장
29 Are Digital Images Allographic? 네이버 미소장
30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 Remediation – Understanding New Media , The MIT Press, 1999. 미소장
31 The Index and the Interface 네이버 미소장
32 Barthes’sPunctum 네이버 미소장
33 Mikael Petterson, “Deceptive Traces: On the Phenomenology of Photography”,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Vol. 69, No.2, 2011. 미소장
34 Nelson Goodman, Languages of Art – An Approach to a Theory of Symbols ,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76. 미소장
35 Photography as Performative Process 네이버 미소장
36 Svetlana Alpers, The Art of Describing – Dutch Art in the Seventeenth Centu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미소장
37 Timothy Binkley, “Digital Dilemmas”, Leonardo , Special Issue, Vol.3, The MIT Press, 199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