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커먼즈는 어떻게 보존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입각해 일본의 삼림 보존 사례를 주목하고자 한다. 시가현(滋賀県) 고가군(甲賀郡) 오하라(大原) 지역의 공유림은 메이지 초기에 황폐해졌으나 지역공동체가 자치적으로 식수하고 보육해 이제 아름다운 숲이 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강조할 대목은 오하라촌의 지역공동체가 오하라공유산 맹약・규약을 제정하고 개정해나간 노력이 삼림 보전에 주효했다는 사실이다. 1887년 처음으로 체결된 공유산맹약은 5개조에 불과했으나 시행착오를 거치며 다섯 차례에 걸쳐 개정되며 내용이 충실해졌고, 그로써 공유림의 지속적인 보전과 이용을 가능케 하는 토대가 되었다. 이 글은 엘리너 오스트롬(Elinor Ostrom)이 가다듬은 ‘커먼즈 장기 존립 조건’에 관한 시각을 견지하여 오하라촌민이 구축하고 발전시킨 오하라공유산 맹약・규약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로써 커먼즈에 관한 문제의식이 확산되고 있지만 자연자원 보전을 위한 자치규약에 대한 실증 연구가 아직은 많이 축적되지 않은 한국학계의 커먼즈 연구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この論文は「コモンズはいかに保存できるか」という質問に基づいて日本の森林保存の事例を注目する。滋賀県甲賀郡大原地域の共有林は明治初期に荒廃になったが、地域共同体が自治的に植樹・保育して、今や美森になり、そこからの収益が地域経済を支えている。ところで、この事例において注目のところは大原村の地域共同体が大原共有山盟約・規約を制定・改正する努力が、森林保全のために奏效したという事実である。1887年、初めて締結された共有山盟約は5個條に過ぎなかったが、試行錯誤を行いながら五回にわたって改定され内容が充実となり、共有林の持続的な保全と利用を可能にする土台になった。これは、ギャレット・ハーディン(Garrett Hardin)の言った「コモンズの悲劇」, すなわち資源の過剰利用によって破壊された自然資源を自治規約の策定と運営を通して生かした事例であることだ。この論文はエリノア・オストロム(Elinor Ostrom)が整理した「コモンズ長期存立条件」に関する視点を元とし大原村民が構築して発展させた大原共有山盟約・規約の歴史的展開過程を時計烈的に分析する。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커먼즈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역공동체와 자치규약의 역할 = The roles of local communities and self-rules for sustainability of the commons : a case study of common forest in the Ohara region, Koka county, Shiga prefecture, Japan : 일본 오하라 지역 공유림을 사례로 미쓰마타 가쿠, 윤여일 p. 67-89

「願う」「望む」의 콜로케이션 분석 = An analysis of『NEGAU』and『NOZOMU』 박노순 p. 91-108

한일협정 이후 한일 간의 '해양경계 변경'이 독도 '영유권'에 미친 영향 = Influence on Dokdo's sovereignty after the Korea-Japan agreement on marine border 최장근 p. 295-314
対馬の観光における他者イメージの形成 = Formation of image of other in Tsushima Island tourism focused on middlemen : ミドルマンを中心として 中村八重 p. 27-43
日本語の発音指導の授業における学習者の行動と考え方の分析 =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students' behavior and thinking in Japanese pronunciation instruction classes : 授業参加観察とインタビューを通して 李玧兒 p. 185-203

일본 애니메이션과 일본문화콘텐츠의 상징성 연구 = A study on the symbolism of the Japanese cultural contents and the Japanese animation 박희영 p. 129-147
일본의 한자 전래에 관한 일고찰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kanji in Japan : 중일 사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오수문 p. 149-166
치매인식개선에 관한 연구 = Study on improving awareness of dementia : focus on dementia and cognitive disorder terminology : 치매용어를 중심으로 장세철, 유애란, 조문기 p. 239-256
柿本人麻呂の枕詞「嬬ごもる」と「ささらの月」神話考 = A study of myth function related to "Tumagomoru & Sasara's Moon" of the pillow word in Hitomaro song 高龍煥 p. 5-26
혐한 작가 '신시아리' 연구 = Study of 'Sincere Lee' that hates Korea : Sincere Lee as text : 텍스트로서의 신시아리 박상현, 미네자키 도모코 p. 109-127
다문화가족 여성의 가족건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mily health of women in multicultural family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life and the factors of social support : 가족생활 특성과 사회적 지지 요인을 중심으로 이재화, 이재모 p. 205-224
동아시아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직장불안 심리상태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The control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ress felt by East Asian workers and the psychological state of work instability 문유미 p. 45-65
일본지방자치단체의 복지옴부즈맨연구 = Study on the Japanese local welfare ombudsman system : a case study of Kitakyushu in Japan : 기타큐슈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서영, 김진 p. 167-184
일본 소비문화의 변화 = Changes in Japanese consumer culture : from ownership to sharing : 소유에서 공유로 이진희 p. 225-238
전국시대 일본 예수회의 적응 선교의 한계 = The limits of the Japanese Jesuits' adaptability in Sengoku period : 「일본제사요록」과「일본사」를 중심으로 장혜진 p. 257-278

일본영상물, 한일관계의 교육텍스트로서 활용가능성 = Possibility of utilizing Japanese video material as educational text for Korean-Japanese interactive relationship : focusing on <Onmyoujii陰陽師2>, <The Castle of an Owl梟の城>, and <GO> : <음양사2> <올빼미의 성> <고>를 중심으로 조경숙 p. 279-293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어 '가다' 동사와 일본어 'いく' 동사의 대응관계 =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Korean verb 'Gada' and the Japanese verb 'iku' from the point of view of a cognitive linguistics 홍영주 p. 315-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