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申宅權, 『樗庵漫稿』 | 미소장 |
2 | 申宅權, 『國譯 樗庵漫稿』, 楊平文化院. | 미소장 |
3 | 沈, 『沙川集草藁』, 서울역사문화포럼 영인본. | 미소장 |
4 | 申濡, 『竹堂先生集』, 한국문집총간 속 31. | 미소장 |
5 | 申混, 『初菴集』, 한국문집총간 속 37. | 미소장 |
6 | 강경훈, 「重菴 姜彛天 文學 硏究 : 18세기 近畿南人, 小北文壇 展開와 관련하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미소장 |
7 | 조선후기 서울과 한시의 변화 | 소장 |
8 | 강민호, 「押韻의 미학으로 본 次韻詩의 특성에 대한 연구 -元白과 蘇軾의 차운시를 중심으로」, 『중국문학』 72,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 미소장 |
9 | 강성위, 「화운시(和韻詩)의 유형(類型)과 특성고(特性考)」, 『중국문학』 30, 한국중국어문학회, 1998. | 미소장 |
10 | 김묘정, 「17세기 小北八文章의 시세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미소장 |
11 | 김영진, 「鄭遂榮의 『之又齋詩稿』」, 『고전과 해석』 6, 고전한문학연구학회, 2009. | 미소장 |
12 | 김영진, 「허필의 烟客詩稿」, 『문헌과 해석』 26, 2004. | 미소장 |
13 | 김종하, 「樗庵 申宅權 ‘十老詩’ 연구」, 『大東漢文學』 60, 대동한문학회, 2019. | 미소장 |
14 | 남윤수, 「樗庵 申宅權의 生涯와 詩文」, 『고서연구』 22, 한국고서연구회, 2004. | 미소장 |
15 | 박동욱, 「연객 허필의 예술 활동과 일상성의 시학」, 『한국한문학연구』 46, 한국한문학회, 2010. | 미소장 |
16 | 박 탄, 「重菴 姜彛天의 散文 硏究」,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미소장 |
17 | 방현아, 「重菴 姜彛天의 『漢京詞』 硏究 : 18世紀 서울의 都市的 樣相의 形象化」,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미소장 |
18 | 서동형, 「豹菴 姜世晃의 詩世界」,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 미소장 |
19 | 안대회, 「성시전도시 9종」, 『문헌과해석』 46, 문헌과해석사, 2009. | 미소장 |
20 | 안대회, 「성시전도시와 18세기 서울의 풍경」, 『고전문학연구』 35, 한국고전문학회, 2009. | 미소장 |
21 | 이영순, 「醉松 李羲師의 한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미소장 |
22 | 이종묵, 「樗庵 申宅權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 17, 한국한시학회, 2013. | 미소장 |
23 | 정우봉, 「姜彛天의 『漢京詞』에 대하여 : 18세기 서울의 시적 형상화」, 『한국학보』 20, 일지사, 199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