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 경력단절여성의 구직행동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충청남도 지역의 취업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중장년 경력단절여성 17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기간, 구직효능감, 재취업 욕구가 구직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력단절 기간이 짧고, 사회적 욕구가 낮을수록, 구직효능감과 개인적 욕구, 경제적 욕구가 높을수록 구직행동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취업훈련프로그램에 기술관련 교육 외에도 자신감을 강화시켜주는 직업교육이 포함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일자리가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심리적 자본 요인구조의 성별 측정동일성 및 잠재평균 분석 = Measurement invariance of psychological capital factor structure across gender and latent means analysis 신현숙 p. 1-16

성인 발달장애인의 건강상태와 도전적 행동이 부모의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ealth status and challenging behavior on parents’ caregiving burde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강승원, 김민경 p. 17-28

3단계 접근법을 활용한 잠재계층모형의 추정 = Latent class analysis using 3-step approach 구소희, 맹세호, 조영일 p. 29-44

중년기 대인관계 능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iddle-aged interpersonal ability on self-efficacy : mediating effect of severity and differences between gender groups : 진정성의 매개효과와 남녀 집단 간 차이 염선애, 강이영 p. 317-330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도준, 최용민 p. 45-60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on displaced aggression :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문지혜, 박성옥 p. 169-181

행복 지역격차와 시민 행복 영향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regional difference of happiness and factors affecting citizens’ happiness 민보경, 정우성 p. 183-198

학업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외적발달자산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external development asse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resilience : compar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중·고등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연화 p. 89-104

예술산업 유통 채널로서의 공공MCN 고찰 = Public MCN research as a distribution channel for the arts industry 김선영, 최중빈 p. 61-76

대학축구선수들의 합숙훈련 만족도, 운동스트레스, 스포츠 행복과의 관계 = Analyzing relations among camp training satisfaction, exercise stress, sports happiness in college soccer players 이승원, 김성훈 p. 77-88

수산물 기업의 정보유용성에 따른 기업이미지가 구매의도,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orporate image in purchase intention and customer loyalty on information usefulness of a fishery companies 김제범, 정윤승, 이윤 p. 137-152

비정규직 근로자의 차별시정을 위한 신청인적격 = Applicants’ qualification to correct discrimination of non-regular workers 노갑영 p. 153-168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감이 삶의 질, 스트레스,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burden on the quality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family car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김영욱, 변상해 p. 105-119

한국 신체활동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n physical activity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Korean elderly : based on ICF : ICF를 기반으로 민혜지, 장진경 p. 211-223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에 나타난 35초의 간극, 예측과 판단 = 35 second gap, prediction and judgement in Sully: Miracle on the Hudson 최정미 p. 287-299

국내 학술지 토익 교육 및 학습 관련 논문 분석 = An analysis of the articles related to TOEIC teaching or studying in Korean academic journals 전은실, 고미숙 p. 257-270

대학원 유학생의 필자 정체성 강화를 위한 제언 = A suggestion for reinforcement of writer identity in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academic writing 민정호 p. 199-210

전념하는 삶 척도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engaged living scale 박세란 p. 225-240

행복증진을 위한 국내 음악치료 문헌연구 = A study on the domestic literature of music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happiness : from 2008 to 2019 : 2008년-2019년 김정희 p. 121-136

SICAF,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현황과 흐름 = Current situation and flow of Russian animations at SICAF 신혜조 p. 301-315

대학에서의 플립트-문제기반학습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 = A study on developing flipped-PBL course model and applying in the university 박은숙 p. 241-255

유비(劉備)와 조조(曹操)의 리더십 비교 = Yubi and Jojo’s leadership study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qualities and competencies" : "자질과 역량" 분석을 중심으로 신정원, 정동 p. 271-286

증강현실을 활용한 대학생 대상 영어·식생활 창의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onvergence program using augmented reality (AR) for college students on English-dietary education 이현주, 이정희 p. 941-956

북한 관련 교육 분야의 역대 정부별 학술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government-specific academic research trends in education related to North Korea 김영환, 황자옥 p. 1003-1017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한 암 생존자의 구직과 사회복귀 경험 = Cancer survivor’s job search and social return experience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김미란 p. 611-623

주택경기지수 전이효과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illover effect of housing business cycle index 전해정 p. 785-799

청소년의 사이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cyber delinquency 주소희 p. 829-840

구술생애담으로 본 다산문화에서 피임문화로의 전환과 코리언 여성들의 삶 = Women’s life with contraceptive culture through oral life stories 박재인 p. 915-928

북한의 『대중생활상식』에 나타난 여성상과 그 의미 = Feminity and its meanings of common sense in North Korean 전주람, 최경 p. 973-988

"불길한" 존재와 "불건전한 존재"의 죽음을 통해 본 페미사이드 연구 = Study on femicide through the death of “ominous” and “unwholesome” women 김영신 p. 1079-1088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와 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Factors contributing to learners’ academic motivation and concentration 이승한 p. 731-744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애착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parents’s attachment on parenting efficacy : dual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 알아차림과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가영, 김종두 p. 331-342

한국 속담의 다문화성 양상 탐색 = Exploring the multicultural trends of Korean proverbs 채은희 p. 481-494

사주명조의 오행 중 水의 태과(太過)·불급(不及)과 건강의 연관성에 관한 명리학적 고찰 = Study on excessiveness or insufficiency of water among five elements of the universe in Saju destiny frame from the viewpoint of Myeongli science 김용회, 임동호 p. 1103-1116

집단원의 내사, 전이 및 집단분위기 인식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the group members’ introjection, transference, and perception of group climate 강민철, 김수임 p. 1063-1078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지역문화공간의 특성 및 지역민들의 인식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e space and the perception of local people us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 the case of Yeongju 148 art square in Gyeongbuk Province : 경북 영주148아트스퀘어 사례를 중심으로 김용남 p. 1089-1102

남북한 보건의료 및 방역체계에 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care and disease prevention system in North and South Korea 주경일 p. 813-828

요양병원 주보호자의 관계혜택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lational benefits for the main caretaker of patients at the convalescent hospital for senior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허은주 p.841-856

중고령층의 사회참여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elderly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subjective health :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신유리, 김정석, 문경주 p. 701-716

통신사의 5G 비즈니스 모델 혁신 = Innovation in telecom operators’ 5G business model : bundling digital content : B2C 콘텐츠 결합을 중심으로 이영렬 p. 745-760

감염병 재난의 예방·대비 체계 개선과 그 플랫폼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platformization of prevention and preparation system for infectious disease disasters : focusing on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Act and disaster and terrorism legislation :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과 재난·테러법제를 중심으로 문현철 p. 885-900

Community Music Therapy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성인의 자기통제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munity music therapy program on self-control and self-effectivenes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이동주, 이지우 p. 957-972

뷰티스페셜리스트의 직무모형 검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the job model of the beauty specialist 강현미, 권혁 p. 1019-1034

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국투자법 연구 = A study on the foreign investment law of Saudi Arabia 김종도 p. 1133-1144

소상공인의 창업가적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Impact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mall business owners’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s : focusing on the mediation of social capital :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 박송춘, 이유리 p. 655-668

ACT 기반 집단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분노 감소에 미치는 영향 = Effectiveness of ACT program on anger reduction of upp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김선엽, 박선영, 이윤희, 강미숙, 양승지 p. 761-772

병원의 사회적책임 활동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 hospital’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revisit intention 박화식, 박현숙 p. 685-700

복지국가의 육아휴직제도의 변화와 시사점 = Changes and implications of parental leave in welfare states : focusing on UK, Germany, and Sweden : 영국, 독일, 스웨덴을 중심으로 남현주 p. 871-884

대학교 '독서와 토론' 교과목의 효율적 운영방안 =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for the subject of ‘reading and discussion’ in college liberal arts : focused on K university in Gyeongsangnam-do : 경상남도 소재 K대학교를 중심으로 김보민 p. 1051-1062

수학능력시험 영어 영역 읽기 지문의 이독성 및 어휘 정보와 문항 난이도 간의 상관관계 = Correlation between readability/word information and item difficulty in csat English reading passage 황이수, 이제영 p. 389-400

영어 말하기 교육 및 평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 The study of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English speaking education and evaluation 이일지 p. 373-388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overprotection by university students on social anxiety :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유리, 박성옥 p. 551-566

항만과 도시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 and the city 최진이 p. 521-536

양자간 명의신탁 부동산의 처분과 사해행위 = Bilateral title trust real property registry act of disposition and deceptive act 최춘식 p. 537-550

출산 후 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산후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석소원, 윤명숙 p. 343-358

택지개발 이주노인의 정착형태에 따른 우울, 삶의 만족도 및 지역공동체 의식의 관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ense of community according to settlement type of migrant elderly by land development 전병주 p. 449-464

한국 지방 SDGs 교육의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provinces of Korea : focused on Pyeongtaek school of sustainable development : 평택지속가능발전대학을 중심으로 이창언 p. 401-416

청소년 우울이 인터넷 게임중독과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youth depression o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곽효정, 강상준 p. 581-596

Currency centrality and exchange rate volatility in global foreign exchange network = 글로벌 외환 네트워크에서 통화 중심성과 환율 변동성 Myoungshik Choi, Iljung Seo p. 511-520

한국군 해외파병 결정에 관한 전문가 집단의 의식 분석 =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expert groups on overseas troop deployment decision 이윤주 p. 359-372

폐지수집 빈곤 노인의 갈등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flict experience of the poor elderly in the waste paper collection 임승자 p. 417-432

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냄새의 타자성 = The otherness of smell in the film, Parasite 김문주 p. 597-610

장애인의 여행실태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A study on travel’s actual condition and variables influence self-esteem for the disabled 전리상 p. 773-784

The relationships among sexual double standard, sex communication,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성 이중기준, 성 의사소통, 성태도, 성행동 간의 관계 Seunghui Cho p. 465-480

과민대장증후군 환자의 장증상에 인지행동중재가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to bowel symptom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강희숙 p. 567-580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on learning flow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ness :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 임후남 p. 433-448

대학 신입생의 자기계발 수업 수강이 자아개념 및 자아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taking a self-development class of university freshmen on improving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김정연 p. 641-654

틴스타 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여성의 자기이해 향상 = Enhancing women’s self-understanding through teenstar sexuality education : focusing on female North Korean migrants : 탈북이주여성 참가자를 중심으로 신난희 p. 929-940

진로상담에서 체계이론 틀에 관한 이론적 고찰 = A theoretical inquiry about system theory framework of career counseling 김이준 p. 1117-1132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식, 태도, 돌봄효능감 및 관련요인 =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and related factors to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mong child care teachers 김태임, 김미종, 권윤정 p. 625-640

장사복지의 실태와 발전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funeral & burial welfare 최두훈, 박경일 p. 495-510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중년기 어머니의 평생계획 준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uture planning on depression of middle-aged mothers of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mediating effects of hopelessness and moderating effects of professional support : 무망감의 매개효과와 전문가 지지의 조절효과 김고은, 임정숙 p. 1035-1050

보육교사가 지각한 아동학대 인식과 수행 정도 및 신고의무자 실천의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child abuse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nd mandatory reporter’s practical volition 조은정, 박은영 p. 669-684

공영형 사립대의 지역균형발전형 재정위원회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ethodology to introduce the finance committee emphasizing th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to the publicized-private university 이건근, 정종희 p. 717-730

천도교의 '문화주의'가 백철 문학에 미친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ulturalism’ of Cheondogyo in the literature of Baek Cheol 조미영 p. 801-812

초등학교 합창 동아리 운영 프로그램 분석 연구 = Analysis of chorus club oper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 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은주 p. 857-870

ACT 기반 집단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분노 감소에 미치는 영향 = Effectiveness of ACT program on anger reduction of upp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김선엽, 박선영, 이윤희, 강미숙, 양승지 p. 761-772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역량 중요인식수준과 실행수준의 차이 = The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level and implementation level of father’s parent competency with early childhood 박경, 황선영, 김경란, 오재연 p. 989-1002

중장년 경력단절여성의 구직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redictors of job search behavior of the middle-aged career-interrupted women 이윤정, 모선희 p. 1145-1156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혜원, 박천수, 김상호(2007),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능력개발과 재취업 촉진』,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미소장
2 구강희(2018),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경력단절 여성의 구직행동에 미치는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 국미애, 이현주(2015), 『서울시 경력단절여성의 일 경험 분석을 통한 지속고용지원방안 연구』, 서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미소장
4 김경민(2015), “심리적 구직준비 특성이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경희(2018), “중장년 구직자의 사회적 지지, 부정적 구직정서, 구직태도, 구직행동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 김나래, 홍아정(2016), “중장년 구직자의 사회적 지지가 구직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폐기학습의 매개효과”, 『평생교육학연구』, 22: 109-136. 미소장
7 김난주(2014),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여성연구』, 32(35): 13-27. 미소장
8 김난주, 김영숙, 강민정, 박건표, 박미연(2016), 『2016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미소장
9 김명언, 장재윤, 조성호, 노현희(2003), “성취프로그램의 효과: 구직효능감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과 조직』, 16(2): 181-204. 미소장
10 김성희(2010), “취업희망프로그램이 장기실업자의 구직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에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김혜원(2011), “여성의 경력단절과 임금 손실”, 『한국경제발전학회』, 17(2): 181-210. 미소장
12 문란영(2013),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3 박재규, 공선영, 임경희, 노성향, 장지예(2008), 『경기도 여성인력 고용실태조사 및 취업활성화방안 연구』, 수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미소장
14 백인화(2016), “경력단절 여성베이비부머의 구직결정 요인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손영미, 박정열(2016),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예측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2): 165-184. 미소장
16 송성이(2009), “중·고령자의 직업복귀유형별 재취업욕구와 미래시간 전망 비교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신연자(2018), “재취업 구직자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와 구직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8 신연하(2018), “사회적 지지가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오승국(2016), “중장년 남성 실직자의 진로장벽,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0 오은진, 김종숙, 김난주, 이상돈, 김지현(2008),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미소장
21 천미라(2001), “실직자의 구직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채은진(2005), “여성 실여급여 수급자의 구직활동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통계청(2018), 『경제활동인구조사』, 대전: 통계청. 미소장
24 한지현, 장재윤(1994), “남성 또는 여성 중심적 직업을 희망하는 여대생들의 개인특성 및 구직행태에서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3): 585-609. 미소장
25 황윤주(2015), “중년기 기혼여성 재취업과정에서의 학습경험 유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6 Testing a Two-Dimensional Measure of Job Search Behavior 네이버 미소장
27 The impact of career exploration and interview readiness on interview performance and outcomes 네이버 미소장
28 Vinokur, A. D., Price, R. H., & R. D. Caplan(1991), “From Field Experiments to Program Implementation: Assessing the Potential Outcomes of an Experimental Intervention Program for Unemployed Persons”, 『Personnel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4): 543-562. 미소장
29 Attitudes and Social Support: Determinants of Job-Seeking Behavior and Well-Being among the Unemployed1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