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부(2018a). 과학 3-2. ㈜비상교육, 118. | 미소장 |
2 | 교육부(2018b). 과학 4-1. ㈜천재교과서, 126. | 미소장 |
3 | 교육부(2018c). 과학 4-2. ㈜비상교육, 119. | 미소장 |
4 | 교육부(2018d). 과학 실험관찰 3-2. ㈜비상교육, 65. | 미소장 |
5 | 권치순, 장문수(2004). 한국과 북한의 초, 중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연계성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58-564. | 미소장 |
6 | 김덕호, 홍승호(2014). 초등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층과 화석 관련 STEAM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46(4), 1-25. | 미소장 |
7 | 김덕호, 홍승호(2015).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의 학습에적합한 제주도 체험학습장 개발-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26(2), 25-46. | 미소장 |
8 | 김해경(2015). 지역 지질을 활용한 초등학교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오동도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28-138. | 미소장 |
9 | 김해경(2019). 무안군 남측 대죽도(중앙동산) 노두의 특징과 교육적 활용방안. 한국도서연구, 31(1), 169-183. | 미소장 |
10 | 김해경, 이경학, 나경아(2017).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73-184. | 미소장 |
11 | 김화성, 함호식, 이문원(2013). 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74-285. | 미소장 |
12 | 노병섭, 양우헌, 조규성(2009). 전북 마이산 일대의 야외지질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초등 교사들의 반응.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869-882. | 미소장 |
13 | 노태희, 김선경, 장종목, 강석진, 임희연, 양찬호, 박재근, 민진선, 배영혜, 오필석, 김연귀, 박장용(2018). 중학교 과학 1. ㈜천재교과서, 293. | 미소장 |
14 | 박재문, 양우헌, 조규성(2007). 전북 부안군 채석강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8(7), 747-761. | 미소장 |
15 | 서동욱(2004). 야외 지질 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조에관한 초등학생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86-594. | 미소장 |
16 | 안건상(2013).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금당산의 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성.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35-248. | 미소장 |
17 | 오강호, 고영구, 윤석태(2004).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해양영역에 관련된 용어 및 탐구의 연계성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76-585. | 미소장 |
18 | 위수민, 곽정실, 조현준, 김현정(2008). 초등학교 과학과지질 단원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4), 420-436. | 미소장 |
19 | 윤마병, 남기수, 백제은, 이종학, 봉필훈, 김유영(2017). 충북 영동 지역의 과학학습장을 활용한 토포필리아야외지질학습장 프로그램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76-89. | 미소장 |
20 | 이재언(2015). 한국의 섬(신안군). 지리와 역사, 312. | 미소장 |
21 | 이창진, 정상원(2005). 충북 괴산군 두타산 일대의 야외지질조사 학습장 개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6(1), 41-57. | 미소장 |
22 | 임성만(2020). 초등과학 교과서 지질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184-197. | 미소장 |
23 | 전라남도교육청(2019). 2019 도서·벽지학교 및 농·어촌교육진흥지역학교 지정 일람. 143. | 미소장 |
24 | 조규성, 양우현, 신순선, 오재명, 정덕호(2012). 변산반도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3(7), 658-671. | 미소장 |
25 | 조규성, 황지현, 김정빈(2003). 지각의 물질과 변화 단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4(3), 128-135. | 미소장 |
26 | 한국자원연구소(1991). 도서·폐광현황 및 활용성 연구(부록1). 759. | 미소장 |
27 | 한국지질자원연구원(2002). 목포·여수 도폭 지질보고서(1:250,000). 45. | 미소장 |
28 | 홍미영, 정은영, 맹희주(2002). 초등학교 과학과 교수, 학습 방법과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2002-18, 15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